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18:09:41

심노술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파일:건국훈장애국장.jpg
가네코 후미코 강경근 강계선 강관수 강귀손 강근호 강기찬
강길환 강달주 강덕보 강동렬 강두필 강만식 강만형
강명선 강명희 강문진 강문영 강병관 강병근 강병욱
강병일 강봉우 강봉학 강봉환 강사문 강상봉 강상호
강서희 강석대 강석봉 강석진 강석훈 강성리 강수오
강수원 강순성 강순희 강승경 강승덕 강시만 강신경
강양성 강양오 강연상 강영갑 강영삼 강영수 강영승
강영식 강우범 강운학 강원호 강윤국 강이진 강인수
강일봉 강재천 강정하 강제억 강제희 강종근 강준익
강준학 강진구 강진남 강진석 강진선 강진여 강찬중
강창규 강창보 강철규 강춘근 강춘삼 강태동 강태성
강태영 강태일 강택진 강필주 강학서 강한수 강한용
강혜원 강화순 강흥문 강희경 강희옥 견관덕 경권중
경현수 계동화 계석노 계성근 계영기 계용순 고강산
고광채 고광훈 고대선 고덕린 고덕수 고두일 고득수
고병희 고봉준 고사훈 고석진 고성한 고승득 고시복
고앙주 고영신 고예진 고용진 고용환 고웅주 고원직
고윤한 고융건 고응남 고응칠 고익규 고인식 고인재
고정식 고제남 고제신 고진홍 고창희 고채주 고치범
고판홍 고형림 고희순 공덕흡 공사겸 공사일 공석두
공성찬 공심연 공영팔 공예수 공재형 공준서 공창준
곽경렬 곽낙삼 곽낙원 곽무 구찬회 권득수 김광섭
김규식 김도연 김동식 김동진 김백선 김알렉산드라 김윤경
김응삼 김이원 김재헌 김정익 김준연 김준엽 김양수
나경서 나봉산 나사진 나상원 나상필 나선도 나성화
나수범 나순익 나순호 나승렬 나신택 나영관 나용균
나운규 나의집 나장헌 나정련 나정문 나정화 나종헌
나창운 나희규 남경숙 남계병 남광원 남궁욱 남궁현
남규천 남기동 남기영 남도경 남복이 남상규 남석순
남석술 남세극 남승하 남영진 남왈성 남용순 남원수
남위 남정 남지학 남진두 남태영 노간선 노공일
노광엽 노기영 노내화 노덕세 노도원 노동식 노명이
노병한 노병희 노봉돌 노봉우 노봉현 노석정 노석중
노섭 노성삼 노성원 노성환 노식삼 노영재 노영화
노우선 노재철 노진룡 노치흠 노태연 노하순 노한문
노형규 노환 노희태 도대원 도무환 도병철 도복렬
도중삼 독고무 동민수 동증손 동풍신 루이 마랭 마남룡
마만봉 마용필 마정덕 마정삼 마춘걸 마하도 맹군삼
맹기정 맹달선 맹달섭 맹철호 명도석 모신영 모원규
모원봉 모인화 모충이 목자상 문경록 문남규 문덕길
문덕홍 문동길 문명국 문명주 문무술 문봉래 문봉의
문석조 문석준 문석환 문성각 문성초 문승수 문신영
문영박 문영삼 문용기 문응국 문장호 문재교 문종희
문창선 문치룡 문치백 문학도 문학신 문한범 문홍순
문홍의 문화순 민가현 민동식 민백형 민병길 민병숙
민병태 민수현 민영수 민영숙 민영완 민영주 민영학
민용운 민제호 민찬호 민철훈 민충기 민충식 민치도
민치영 민한식 박갑쇠 박건 박건두 박경락 박경석
박경철 박계락 박관준 박광 박광선 박광천 박구진
박권세 박권영 박귀성 박규명 박규상 박규채 박규호
박근이 박금룡 박기국 박기범 박기수 박기양 박기영
박기운 박기원 박기춘 박길양 박내병 박내원 박내준
박노삼 박노영 박달천 박대인 박대일 박대중 박덕삼
박덕언 박덕여 박도집 박도현 박동규 박동원 박동의
박동주 박동진 박동환 박래봉 박래승 박만선 박만옥
박만화 박맹두 박명규 박명서 박명화 박무 박문거
박문도 박문서 박문섭 박문술 박문용 박문호 박문화
박민홍 박반문 박발술 박병강 박병규 박병익 박병하
박병한 박병호 박병훈 박보국 박복인 박봉관 박봉길
박봉래 박사문 박사범 박사손 박상규 박상기 박상도
박상엽 박상진 박상하 박석용 박현숙 방정환 방한민
배치문 배헌 백남훈 백초월 사문성 서광도 서기준
서기환 서단파 서달선 서동성 서두성 서병순 서병철
서병호 서봉화 서삼진 서상경 서상기 서상락 서상렬
서성군 서성실 서성일 서성학 서소용 서여선 서영백
서영연 서영해 서왈보 서용하 서운선 서윤봉 서윤호
서윤화 서인봉 서장관 서장환 서재기 서재승 서재현
서정기 서정만 서종락 서진구 서창무 서태석 서학이
서한종 석근영 석기만 석기호 석대운 석만금 석오석
석창륜 석창문 석환옥 선경화 선규환 선도명 선백중
선우기 선우섭 선우진 선우택범 설성삼 설진창 성경삼
성경호 성낙붕 성낙중 성낙희 성만리 성만석 성선조
성재평 성재한 성정모 성주경 성진갑 성진호 소갑호
소윤명 소진형 소후옥 소휘천 손건주 손계묵 손계조
손덕화 손두원 손명선 손명조 손몽상 손무경 손병선
손복산 손봉선 손성 손성우 손성원 손성한 손수용
손수조 손승관 손양섭 손영학 손용준 손일민 손일봉
손재순 송몽규 송상도 신하균 안경순 안경준 안관순
안광선 안교봉 안구현 안국길 안군명 안내성 안동식
안두식 안명순 안무순 안병기 안병석 안병준 안병찬
안봉생 안봉선 안봉순 안상용 안상의 안선국 안세진
안숙 안순구 안순서 안순원 안영희 안용국 안용석
안용택 안유순 안윤재 안이현 안인택 안일룡 안장길
안정길 안정명 안정옥 안종각 안종구 안종락 안종린
안종식 안종엽 안종운 안종환 안종후 안중석 안진순
안찬재 안창남 안창렬 안창률 안창제 안최언 안치삼
안택환 안필순 안학룡 안항식 안혁중 안홍 안효준
안후덕 양경삼 양계갑 양도명 양도준 양도헌 양동훈
양병칠 양봉규 우기주 유우석 유자명 유진동 유종환
이경채 이남규 이만집 이범진 이병기(1876) 이병기(1891) 이석영
이성구 이영환 이용태 이운강 이육사 이원순 이은상
이재천 이정호 이탁 임규 장경춘 장경탁 장계진
장관청 장광옥 장국호 장군선 장규섭 장규현 장규황
장금송 장기덕 장기석 장기영(1890) 장기영(1903) 장낙수 장남수
장덕기 장덕로 장덕유 장덕익 장도정 장두언 장명언
장명운 장병구 장병준 장복규 장복흥 장본래 장봉규
장봉래 장봉의 장봉주 장봉학 장봉현 장부암 장붕
장빈삼 장사천 장석천 장석함 장선군 장성순 장성원
장성오 장세용 장세전 장세정 장세파 장세현 장수봉
장순영 장승열 장신국 장여좌 장영준 장응규 장의선
장의찬 장의천 장이호 장익부 장익수 장익염 장익준
장인국 장인서 장준하 정광호 정일형 조봉호 조신성
조응삼 조희제 지복영 차경수 차경신 차경현 차금봉
차도순 차도연 차동석 차병곤 차병규 차병률 차병선
차병한 차봉엽 차연욱 차영철 차영필 차왈보 차용목
차운흥 차원몽 차은표 차인범 차일빈 차재문 차정룡
차정섭 차정집 차진규 차진하 차치명 차학구 채경묵
채경옥 채규대 채남섭 채덕만 채덕승 채동집 채동환
채복만 채봉선 채봉준 채수반 채영서 채영찬 채용환
채운걸 채이석 채정옥 채중보 채창헌 채태묵 채한석
천경도 천보락 천성십 천순호 천홍태 최갑룡 최능익
최윤동 최효일 탁성룡 탁영조 탁일청 탁창국 탁한종
패트릭 도슨 편군선 편덕렬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하덕근 하돌임 하상태
하승현 하영옥 하운택 하찬린 하한서 한갑복 한경서
한경석 한경천 한경희 한계석 한국언 한국원 한규량
한규순 한금원 한기석 한기악 한기안 한대홍 한덕용
한도원 한동진 한득주 한락산 한면각 한명만 한명순
한문기 한문백 한성수 허석 홍원유 홍원표 황직연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심노술
沈魯述[1])로 표기한 기록도 있다.]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출생 생년 미상
황해도 평산군
사망 미상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심노술은 대한민국독립유공자이다.

199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국가유공자 공훈록> 13권에 따르면, 심노술은 황해도 평산군 출신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비밀 기록에는 그가 연안군 방동면 출신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는 1907년 박정빈의 평산의진에 가담해 김정환(金正煥), 한정만, 인두정(印斗鼎), 변승준(邊承準), 신도희, 신성보(愼成甫) 등과 함께 중대장으로 선임되었다. 그 후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황해도 해주,연안,평산 등지와 연해의 여러 도서(島嶼)에서 일본군 수비대와 순사주재소 및 출장소를 공격하는 등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평산의진은 여느 의진처럼 의병대장이 직접 의병을 이끌고 산야를 누비면서 의병투쟁을 벌이지 않았다. 그들은 선봉부대, 5~7개 중대, 돌격부대, 마산부대로 나누어 실제 의병투쟁은 중대장과 돌격장, 마산 도총장 중심으로 운용되었고, 이들 부대가 연합작전을 전개할 때는 선봉장 이진룡이 부대를 총괄하는 대대장으로, 심노술은 김정안(金正安), 한정만 등과 함께 중대장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1908년 2월 박정빈이 유인석이 망명한 연해주로 향하자, 평산의진은 이진룡 의병장을 중심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때 심노술,김정안,한정만 등은 지금까지와는 달리 개별적으로 의병대를 이끌었다. 일제는 <폭도에 관한 편책>에서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적도(賊徒) 봉기 이후 한때는 그 수가 6~7백 명에 달하여 여러 개의 부대로 분리되어, 우 판관(禹判官:평산 판관 출신 우병렬)이 은밀히 전체를 지휘하고 있었고, 더욱이 신경칠(辛景七)은 많은 부하를 거느리고 해주·강령 기타의 여러 군을 돌아다녔고, 심노술과 강춘삼은 해주·연안·평산의 여러 군과 연해(沿海) 여러 섬에 출몰하였다.

또한 이야천(李野天)은 재령군에, 김상현(金相鉉)은 신천군에, 한경옥(韓京玉)과 허덕천(許德天)은 옹진군에, 기타의 소집단은 각지에 출몰하여 주재소·출장소의 순사 및 수비병을 습격하는 등 한때 창궐을 극하였으나, 수색·토벌이 진척됨에 따라 혹은 토벌되고, 혹은 귀순하고, 혹은 도주하는 등 근래에 와서는 일부 방면을 제외하고는 거의 진정하기에 이르렀다.

다만 심노술·강춘삼은 아직도 수십 명의 부하를 거느리고 평산군 서쪽, 해주군 사이의 바다와 육지를, 장명서(長明瑞)의 일파는 해주군 서부지방에 출몰하고 있으므로 목하 수비대와 협력하여 수색에 전념하고 있다.

심노술 의진이 황해도 평산군 도평산(桃坪山)에 본거지를 두고 맹렬하게 의병투쟁을 전개하자 일본군은 수비대와 헌병대를 동원하여 진압에 나섰으나 실패를 거듭하였다. 마침내 해주경찰서장은 심노술 의병장에게 귀순 권유서를 발송했다. 그러자 그는 다음과 같은 답신을 보냈다.
을미년의 변은 천고의 씻을 수 없는 치욕을 받았고, 신조약(新條約:을사조약)의 체결에 이르러서는 간사함을 품고서 의사·충량을 죽이고, 철도 기타를 점령하고, 산림천택을 강요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노예로 삼았다. 귀하의 이른바 보호라는 말은 참으로 이에 있는가? (중략)

만약 그 성유(聖諭:융희황제의 의병해산 조칙)와 같음이 원래부터 폐하의 마음이 아니라 만약 조약을 폐기하고 세계열강에 자주 독립을 선언한다면, 황제 폐하의 명령이 내리는 날 감격하여 즉시 덕화(德化:황제 폐하가 덕을 베풂)의 말에 복종하였을 것이다. 불복종함에 있어서는 천토만벌(千討萬伐:수많은 의병 토벌)을 당해 인류가 다함에 이르러도 나라를 위한 마음을 멸할 수 없을 것이다. (후략)

<통감부 문서>제6권 `폭도수령 심노술 경기도 교하 지방 출몰 건'(헌기 제591호. 1909.03.18.)에 따르면, 심노술은 부하 100여 명을 이끌고 3월 7일 한밤중에 교하군 북면 낙하진을 도선하여 배천군 방면으로 이동했는데, 그 중에는 청국인 몇 명이 참가하고 있었다고 한다. 또한 그의 부하 지홍일(池洪一)이 150여 명을 모아 강화도 각 방면에 출몰했으며, 이근수(李根守)·지석남(池石南) 2명이 이끄는 각 수십명의 집단이 호응했다고 한다. 일제는 이런 심노술을 `주괴(主魁)'로 칭할 만큼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했다.

그러나 1908년 겨울부터 이듬해 봄까지 일본군의 공세가 가해지자, 심노술은 만주로 망명했다. 일제 정보기록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융희 원년 폭도(暴徒) 봉기 이래 황해도 내 각지를 배회하며 다수의 부하를 거느리고 위대한 세력을 떨치며 횡포를 마음대로 부리던 수괴(首魁) 심노술은 그 후 토벌대의 수색이 엄밀해짐에 이르자 마침내 도내에 잠복할 수 없게 되어 지난해 3월경, 만주 안동현을 거쳐 만주 지방으로 도주했다는 풍평(風評)이 있었는데, 이번에 재령경찰서에서 파견한 토벌대에 의해 해주군 대덕면내를 수색 중, 심노술은 1명의 동행자를 데리고 평산 지방으로 비밀리 온 것 같다.

그는 통상 한인이 입는 흰 두루마기를 걸치고, 양반용의 갓(상품의 검은 갓)을 쓰고, 등에는 괴나리봇짐을 지고 지팡이를 짚고서 3월7일 오후 8시경, 대덕면 아현동 귀순자인 조대순(趙大順)의 집에서 1박을 하고, 다음날 아침에 조대순으로 하여금 국전동(菊田洞) 부근까지 길 안내를 하게 하더니, 서쪽을 향해 떠났다는 것을 탐지했다.

수색대는 즉시 그 귀순자에게 대해 힐문(詰問)하자, 사실이 틀림없다고 대답하므로 어떻게 하여 심노술임을 알 수 있었냐고 추궁하자, 길 안내 후 이별에 즈음하여 내가 심노술이라고 인사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함으로써 즉시 서방 고산면 지방에 대해 엄중한 정찰을 했지만 끝내는 행방불명이라고 하므로 즉시 관하 각 경찰서 및 헌병 분견소에도 통지하여 목하 엄중 수배 중에 있으므로 이에 보고한다.

이후 심노술의 행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3. 여담

경기와 해서지방에는 의병이 치열하여 양주는 황재호(黃在浩), 광주는 김춘호(金春浩), 삭녕은 연기호(延基浩:연기우의 이명.), 파주는 이인순(李仁順:윤인순의 오기), 평산은 이진룡, 연안은 심노술·이근수(李根洙) 등이 있었다. 그들의 수는 1천명 내지 1백명으로 수효가 같지 않고 혹은 10명도 있었으므로 백성들은 살 수가 없었고, 일본인들도 매우 괴롭게 여겼다.

[1] 심노술(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