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육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북한| 중국| 일본(준군사조직)| 대만 | ||||
동남아시아 | 싱가포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 |||||
중앙아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연방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튀르키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스웨덴 | 덴마크 | 노르웨이 | 에스토니아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
북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
남아메리카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중화민국 국군 | ||
육군 | 해군 [[중화민국 해병대| 해병대 ]] | 공군 |
중화민국 육군 中華民國陸軍 Republic of China Army(ROCA) | |
중화민국 육군기 | |
중화민국 육군문양 | |
忠誠精實 충성정실 | |
모토 | |
창설년도 | 1924년 6월 16일 |
국가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
주임무 | 지상전, 국토방위 |
소속 | 중화민국 국군 |
명령체계 | 중화민국 국방부 국방부 육군사령부 |
군종 | 육군 |
전력 | 100,000명(2020) |
본부 | [[대만| ]][[틀:국기| ]][[틀:국기| ]] 타오위안시 룽탄구 |
색상 | 녹색 |
행진곡 | 중화민국 육군 찬가 |
전신 | 국민혁명군 |
참전 | 국민당의 1차 동정 국민당의 2차 동정 국민혁명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공내전 진먼 포격전 이장산 전투 난리다오 전투 타이완 해협 위기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
지휘 | |
육군사령 | 중수밍 이급상장(대장) |
육군부사령 | 양지룽 중장, 왕샤오화 중장 |
[clearfix]
1. 개요
대만군의 육군. 중국국민당의 당군인 국민혁명군의 후신으로, 국공내전이 한창이던 1947년에 중화민국 육군으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병력은 2020년 기준, 10만 정도이다.
대만군의 육군 편제는 한때 수백만 명으로 이루어져있으면서 중일전쟁, 국공내전 등 굵직한 전쟁을 겪었다. 하지만 제대로 된 중앙군 편제는 규모가 적고 대부분 군벌집합의 군대였기 때문에 상당히 제각각으로 놀았고 심지어는 군수도 엉망진창이었다. 미국이 지원을 하던 시점에서 미국제 장비를 위주로 편성되긴 했다.[1] 결국 국공내전에서 패배하여 타이완 섬으로 오게 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이런 문제 때문에 2000년대 중반까지 대만육군과 해군육전대의 주력전차는 M48을 바탕으로 대만이 개량한 CM11 전차였다. M68 105mm 주포와 M1전차에 들어가는 사통을 조합한 이 전차는 대상륙전에선 어느정도 억지력을 가졌으나 실질적 전차전에서는 우위를 점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대만육군은 2000년대 중반부터 200여대의 M60A3 전차를 도입해 급한불을 껐으나 여전히 중국군의 기갑전력을 상대하기엔 무리가 있었으며, 이 문제는 2019년에 와서야 미국에서 M1A2T 전차 108대의 판매가 결정되므로써 어느정도 해결의 기미가 보이게 되었다.
2. 상징
2.1. 군가
風雲起 山河動
바람과 구름이 일고 강산이 움직인다.
黃埔建軍聲勢雄
황포건군의 기세가 드높다.
革命壯士矢精忠
혁명장사들은 충성을 맹세하였다.
金戈鐵馬
정예한 군대
百戰沙場
수많은 전장에서 싸웠다.
安內攘外作先鋒
내부를 안정시키고 외적 토벌의 선봉이 된다.
縱橫掃蕩
종횡으로 적을 휩쓸고
復興中華
중화를 다시 일으킨다.
所向無敵
가는 곳에 적이 없다.
立大功
큰 공을 세우자.
육군군가
바람과 구름이 일고 강산이 움직인다.
黃埔建軍聲勢雄
황포건군의 기세가 드높다.
革命壯士矢精忠
혁명장사들은 충성을 맹세하였다.
金戈鐵馬
정예한 군대
百戰沙場
수많은 전장에서 싸웠다.
安內攘外作先鋒
내부를 안정시키고 외적 토벌의 선봉이 된다.
縱橫掃蕩
종횡으로 적을 휩쓸고
復興中華
중화를 다시 일으킨다.
所向無敵
가는 곳에 적이 없다.
立大功
큰 공을 세우자.
육군군가
3. 역사
3.1. 국부천대 이후
20세기 초반의 중국군은 가난한 대륙부 국가라는 특성상 돈이 많이 드는 해군이나 육군 항공대보다는 철저한 육군 중심의 군대였기에 중화민국 육군은 중국군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국부천대 이후에 졸지에 섬나라 신세가 된 대만의 특성상 대륙을 기반으로 하던 1949년 이전의 육군과는 교리 등에서 차별화가 이뤄졌다.본토 수복이라는 전략목표를 기점으로 한국군처럼 대규모 지상군을 운영하고 있었고, 이 목표가 사실상 포기되던 1970년대 말까지도 60만 대군을 넘게 보유한 대규모 군대였다. 하지만 차츰 목표가 본토수복이 아니라 타이완 지구 일대의 방어로 전환되자 규모가 대대적으로 축소 개편되는데 중국 인민해방군과의 개편시기와 상당히 맞물려서 진행되었다. 덕분에 2018년 이후부터 본격적인 반 모병제를 시행하면서 약 10만여 명 규모의 슬림화된 육군이 되었다.
4. 조직
중화민국 육군사령부(陸軍司令部)가 최고 군정기관이다. 사령[3]은 상장(대장)이 맡으며 부사령, 참모장을 중장, 부참모장은 소장이 맡는다. 육군주임원사에 해당하는 총사관장(總士官長)은 1등사관장이 맡는다.예전에는 사단이나 여단 등의 명칭을 사용했으나 일부 부대가 2005년 들어선 군제 개편으로 지역별 지휘부란 이름으로 바뀌었다. 지휘부란 표현은 영어로는 command로 한국어론 결국 사령부이다. 명칭은 원어는 항목을 참고하고 본 항목에선 한국인이 이해하기 좋게 쓴다.
- 대만 육군
- 중화민국 육군사령부(陸軍司令部)(육군사령[4])
- 제6군단지휘부 (第六軍團指揮部) : 북부대만방어사령부(군단)
- 제8군단지휘부 (第八軍團指揮部) : 남부대만방어사령부(군단)
- 제10군단지휘부 (第十軍團指揮部) : 중부대만방어사령부(군단)
- 항공특전지휘부(航空特戰指揮部) [5]
- 화둥방위지휘부 (花東防衛指揮部) : 동부대만방어사령부(사단)
- 진먼방위지휘부 (金門防衛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사단)
- 펑후방위지휘부 (澎湖防衛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사단)
- 마쭈방위지휘부 (馬祖防衛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사단)
- 둥인지구지휘부 (東引地區指揮部) : 도서방위사령부(사단)
- 후근지휘부 (後勤指揮部) [6]
- 육군교육훈련기준칙발전지휘부(教育訓練暨準則發展指揮部) [7]
- 제6군단 지휘부(제6군사령부)
- 제21포병지휘부(포병여단)
- 관두(關渡)지구지휘부(관두지역여단)(이전의 제26보병사단)
- 란양(蘭陽)지구지휘부(란양지역여단)(이전의 제51보병사단)
- 제269기계화보병여단
- 제542기갑여단
- 제584기갑여단
- 제153보병여단
- 제206보병여단
- 제33화생방지원단
- 제53공병단
- 제73사이버지원단
- 제8군단 지휘부(제8군사령부)
- 제43포병지휘부(포병여단)
- 제333기계화보병여단
- 제564기갑여단
- 제203보병여단
- 제39화생방지원단
- 제54공병단
- 제75사이버지원단
- 제10군단 지휘부(제10군사령부)
- 제58포병지휘부(포병여단)
- 제234기계화보병여단
- 제586기갑여단
- 제303보병여단
- 제104보병여단
- 제257보병여단
- 제36화생방지원단
- 제52공병단
- 제74사이버지원단
- 화둥(花東)방위지휘부(화둥방위사단)
- 타이둥(台東)지구지휘부(타이둥지역여단)
- 펑후(澎湖)방위지휘부(펑후방위사단)
- 진먼(金門)방위지휘부(진먼방위사단)
- 진먼(金門)수비대대(진먼방어대대)
- 례위(烈嶼)수비대대(례위방어대대)
- 진먼(金門)방위지휘부포병단(진먼방위군단직할포병단)
- 마주(馬祖)방위지휘부(마주방위사단)
- 난깐(南竿)수비대대(난깐방어대대)
- 베이깐(北竿)수비대대(베이깐방어대대)
- 쥐광(莒光)수비대대(쥐광방어대대)
- 둥옌(東引)방위지휘부(둥옌방위사단)
- 항공특전지휘부(항공작전사령부+특수전 사령부)
- 고공특수임무중대
- 101수륙양용정찰대대
- 제601항공여단
- 제602항공여단
- 비행훈련지휘부(비행훈련사령부)
- 특종작전지휘부(특수전사령부)
- 공강훈련센터(공중강하교육)
- 작전훈련센터
군단은 각각 북부-중부-남부로 타이완섬을 각각 3 구역으로 나뉘어서 작전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규모가 가장 큰 6군단이 수도 타이베이와 함께 타이완 북부를 담당하며 중부는 10군단 남부는 8군단이 각각 담당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8군단보다는 6군단과 10군단의 투자와 신무기배치가 빠른 편이다.
나머지 부대의 경우 후비지휘부 (後備指揮部)에 9여단이 최후의 예비부대로 존속하며 대만과 가장 가까운 도서인 펑후 방위 지휘부 (澎湖防衛指揮部)에 1개 여단 규모의 병력이 존속한다.[8]
군단보다 가장 큰 규모와 화력을 자랑하는 조직은 항공 및 특수지휘부 (航空特戰指揮部)로 대만군의 모든 항공기와 특수작전전력을 지휘통제를 맡아서 운영하며 예하로 3개 항공여단 1개 정찰대대[9] 2개 특수작전교육여단을 두고 있다.
2021년에 중국의 위협이 많이 커지자 육군의 각 군단을 작전구 체계로 개편했다.#
5. 장비
현대 대만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대만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T112, T68, XT97, M16A2, M4A1, Mk.18, G36C | ||
저격소총 |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T108 | ||||
기관단총 |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MPX | ||||
산탄총 | SPAS-12, 베넬리 M4 | ||||
권총 | T51K1, T75K1, G17, G19, G26, USP | ||||
지원화기 | 기관총 |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 ||||
대전차화기 |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준, BGM-71 TOW-2A/B, M136 | ||||
박격포 |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대만 육군의 전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M1A2T 에이브람스 | MBT | 미국 | 2대 | - | 106대 | |
M60A3 TTS | MBT | 미국 | 460대 | - | - | |
CM-12 | MBT | 대만 | 100대 | - | - | |
CM-11 | MBT | 대만 | 450대 | - | - | |
대만 육군의 장갑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CM-32 | APC | 대만 | 378대 | - | - | |
CM-34 | IFV | 대만 | 4대 | - | 301대 | |
CM-21 | APC | 대만 | 1,000대 | - | - | |
V-150S | APC | 미국 | 300대 | - | - | |
대만 육군의 포병장비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M142 HIMARS | 다연장로켓 | 미국 | - | - | 29문 | |
RT/LT-2000 | 다연장로켓 | 대만 | 43문 | - | - | |
궁펑 VI | 다연장로켓 | 대만 | 60문 | - | - | |
궁펑 IV | 다연장로켓 | 대만 | 120문 | - | - | |
M110A2 | 자주곡사포 | 미국 | 70문 | - | - | |
M109A5 | 자주곡사포 | 미국 | 28문 | - | - | |
M109A2 | 자주곡사포 | 미국 | 197문 | - | - | |
M1 | 요새포 | 미국 | 4문 | - | - | |
M115 | 견인곡사포 | 미국 | 70문 | - | - | |
M114 | 견인곡사포 | 미국 | 100문 | - | - | |
TRF1 | 견인곡사포 | 프랑스 | 56문 | - | - | |
M101 | 견인곡사포 | 미국 | 350문 | - | - | |
T-64 | 견인곡사포 | 대만 | 300문 | - | - | |
대만 육군의 항공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AH-64E | 공격헬기 | 미국 | 29대 | - | - | |
AH-1W | 공격헬기 | 미국 | 62대 | - | - | |
CH-47SD | 수송헬기 | 미국 | 8대 | - | - | |
UH-60M | 수송헬기 | 미국 | 35대 | - | - | |
OH-58 | 경헬기 | 미국 | 37대 | - | - | |
TH-67A | 훈련헬기 | 미국 | 29대 | - | - |
6. 출신인물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조직) · 사법원 · 헌법(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명단) · 총통(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역정서) · 대만군(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역사 전반(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쿨리) · 차이나타운(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화(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1] 개인화기부터 제각각으로 놀았으니 당연하다.[2] 이 문제는 해공군도 마찬가지다. 대만해군과 공군은 한때 중국군을 압도하는 강력한 억지력을 가졌으나 중국의 압박으로 인한 서방의 미온적인 태도와 해군 한정의 삽질(대한민국 해군 배를 받기로 했는데 비리에 휘말려서 무언가 덜떨어진 프랑스 배를 받고 그 결과로 대한민국과 단교 크리.)로 현재는 중국군에 전력우위를 상실했다.[3] 2006년까지는 총사령이었으나 그 후에 명칭이 사령으로 바뀌었다.[4] 타국 군대의 육군참모총장에 해당한다.[5] 한국군식으로 표현하면 항공작전사령부+특수전 사령부 통합체[6] 한국군식으로 표현하면 육군군수사령부[7] 한국군식으로 표현하면 육군교육사령부[8] 1개 기갑 대대, 1개 기계화보병 대대, 1개 기갑수색대대, 1개 포병 대대를 혼합[9] 101st Amphibious Reconnaissance는 특수작전부대로 여겨진다. Navy SEALs과 유사한 역할로 추정되며 Frogmen이라는 별명을 가졌다고 한다. 본토상륙을 상정했던 전략방침의 영향으로 육군에도 해군에 있어야 할 조직이 배치된걸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