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17:54:20

바이두

百度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ee1c25>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정치 · 행정 정치 전반(홍콩 · 홍콩 입법회 · 마카오 · 마카오 입법회) ·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 국무원(판공청 · 조성부서 · 국무원 직속기구) · 국가감찰위원회 · 홍콩 행정장관 · 마카오 행정장관 · 헌법(홍콩 기본법) · 행정조직(홍콩 · 마카오) · 국가주석 · 성급행정구 영도인 · 인민대회당 · 공무원 · 중국의 판다 소유권 정책
정당 · 사상 중국공산당 규약 · 정당(중국공산당 · 민주당파 · 친중파 · 민주파 · 본토파) · 공산당의 파벌(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 태자당 · 상하이방) · 중국몽 · 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 · 우마오당 · 공산당 중앙조직(중공당대회 · 중공중앙) · 신권위주의
역대 최고지도자 마오쩌둥 · 화궈펑 · 덩샤오핑 · 장쩌민 · 후진타오 · 시진핑
역대 최고지도자
기타 정치인 류샤오치 · 후야오방 · 자오쯔양 · 저우언라이 · 주더 · 쑹칭링 · 리셴녠 · 양상쿤 · 예젠잉 · 차오스 · 리펑 · 우방궈 · 장더장 · 리잔수 · 주룽지 · 원자바오 · 리커창 · 왕양 · 왕치산 · 쑨춘란 · 후춘화 · 류허 · 한정 · 샤오제 · 자오러지 · 장쥔 · 뤄룽환 · 자춘왕 · 둥비우 · 샤오양
부주석 · 전인대 상무위원장 · 정협 전국위 주석 · 총리 · 최고인민검찰원장 · 최고인민법원장 · 국감위 주임
외교 외교 전반(비판) · 외교부 · 여권(홍콩 · 마카오) · 비자 · 양안관계(하나의 중국 · 92공식 · 양안통일) · 중화권 · 한중관계(동중국해 · 이어도 · 6자회담 · 한한령) · 중일관계(센카쿠 열도 ·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중일 · 중인관계(국경분쟁 · 아크사이친 · 아루나찰프라데시 · 평화공존 5원칙) · 난사 군도 · 둥사 군도 · 시사 군도 · 상임이사국 · G20 · G2 · 신냉전 · 일대일로 · 미중관계(패권 경쟁 · 전망) · 미중러관계 · 호주-중국 관계(무역분쟁) · 중국 제국주의 · BRICS
사법 사법 전반 · 최고인민법원 · 검찰원 · 사법부 · 엄타 · 사형제도 · 라오가이 · 민법 · 베이징 친청 교도소
공안 경찰(공안부 · 국가안전부 · 이민관리국 · 계급 · 경찰대학 · 경찰법 · 경찰차) · 응급관리부(소방구원대 · 국가소방구원국 · 계급 · 소방학원 · 소방법 · 소방차) · 해관총서(계급) · 홍콩 보안국(경무처 · 소방처 · 비행대 · 입경사무처 · 징교처 · 해관) · 마카오 보안부대(치안경찰국 · 소방국) · 청관 · 정보기관
군사 전반 중국 인민해방군 · 계급 · 중앙군사위원회(기능부서) · 국방부 · 퇴역군인사무부 · 역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전구(서부 · 중부 · 북부 · 남부 · 동부 · 구 편제) · 역사 · 초한전 · 사관학교 · SCO ·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장비 장비(보병장비 · 기갑장비 · 항공병기 · 함선 · 둥펑 미사일) · 군복 · 군장 · 중국북방공업 · 중국선박집단 · 중국항공공업집단
군종 · 부대 육군 · 해군(육전대) · 공군(공강병군) · 로켓군 · 전략지원부대(우주비행사대대) · 무장경찰(해경) · 연합참모부 · 주홍콩부대 · 주마카오부대 · 해외 주둔 중국군
}}}}}}}}}
[ 역사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역사 ||<(>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백년국치 ||
시대 역사 전반 · 삼황오제 · · · (동주 · 서주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초한쟁패기) · (전한 · · 후한) · 위진남북조시대(삼국시대 · 서진 · 오호십육국시대 · 남북조시대 ·) · (무주 · 호연) · 오대십국시대 · (북송 · 남송) · · · 서하 · · (남명 · · · 동녕국) · (태평천국) · 중화민국(임시정부 · 북양정부 · 유신정부 · 왕징웨이 정권 · 우한정부 · 국민정부 · 만주국) · 중화인민공화국
관직 한나라의 공경 · 삼국지 관직 · 외명부 · 환관조직 · 후궁제도
사서 흠정24사(사기 · 한서 · 후한서 · 삼국지 · 진서(晉書) · 송서 · 남제서 · 양서 · 진서(陳書) · 위서 · 북제서 · 주서 · 수서 · 남사 · 북사 · 구당서 · 신당서 · 구오대사 · 신오대사 ·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명사) · 오월춘추 · 여씨춘추 · 월절서 · 국어 · 전국책 · 열녀전 · 위서 · 위략 · 화양국지 · 후한기 · 양기 · 자치통감 · 동관한기 · 건강실록 · 정관정요 · 역대명화기 · 신원사 · 원조비사 · 만주실록 · 청사고 · 십국춘추 · 십육국춘추 · 사고전서
사건 신해혁명 · 국공합작 · 초공작전(대장정) · 중일전쟁(백단대전) · 국공내전 · 반우파 투쟁 · 중인전쟁 · 대약진 운동(7천인 대회 · 제사해 운동 · 신양 사태) · 문화대혁명(해서파관 사건 · 5.16 사건 ·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 · 베이징 8월 폭풍 사건 · 경험 대교류 운동 · 상하이 1월 폭풍 사건 · 2월 역류 · 경서빈관 대소동 · 7.20 사건 · 주중 영국 대표부 점령 사건 · 9.13 사건 · 비림비공운동 · 상산하향 운동) · 중소 국경분쟁 · 닉슨-마오쩌둥 회담 · 중월전쟁 · 흑묘백묘론 · 중영공동선언 · 제3차 대만 해협 위기 · 홍콩 반환 · 천안문 6.4 항쟁 · SARS · 재스민 혁명 · 멜라민 파동 · 홍콩 우산혁명 · 2018년 중국 백신 파동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 2019년 중국 우한시 환경 시위 · COVID-19(우한 봉쇄 · 상하이 봉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0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정풍운동 · 2021년 헝다그룹 파산 위기
왜곡 중국의 역사왜곡 · 동북공정 · 만물중국기원설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중국의 한복 왜곡 논란 · 중국의 김치 왜곡)
[ 사회 · 경제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경제 ||<(>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기업 · 산업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중앙 관리 기업) · 은행 · IT 기업(바이두 · 알리바바 그룹) · 5대 자동차 제조사(상하이자동차의 계열사) · 건설사 · 만년필 회사 · BBK(산하 제조사) · Lenovo · 비야디 자동차 · HNA그룹 · 메이드 인 차이나 · 대기업
지리 지리 전반 · 자연자원부(임업초원국) · 수리부 · 중국 대륙 · 중국 본토 · 중원 · 오악 · 창장 강 · 황허(위수) · 랴오허 · 목단강 · 송화강 · 헤이룽장 강 · 주장 강 · 화이허 강 · 톈산 산맥 · 쿤룬 산맥 · 다오청 삼신산 · 루산 · 망탕산 · 북망산 · 티베트 고원 · 쿤룬 산맥 · 타클라마칸 사막 · 화북 평야 · 만주 · 둥팅 호 · 칭하이호 · 웨량 섬 · 창허 섬 · 하이난 섬 · 홍콩섬 · 행정구역( · 지급시 · 부성급시 · 특별행정구) · 도시 목록 · 7대 고도 · 박물지 · 중국 석유 천연가스 공사(페트로차이나) · 중국석유화공집단공사 · 국경통상구 · 환경오염
사회 사회 전반 · 신분증 · 주숙등기 · 민정부 · 중국사회과학원 · 중국 관련 뉴스 · 인구 · 중국인(민족 · 한족) · 공휴일(국경일 · 홍콩) · 중국 표준시 · 국수주의 · 중화사상 · 중국 붕괴론 · 중국 위협론 · 인권 탄압 · 분청 · 황금방패 · 계획생육정책(소황제) · 양두혼 · 문명점수 · 동타이왕 · Shadowsocks · 탕핑족 · 노동법 · 민주화 운동
정보 · 통신 국가우정국 · 중국우정집단공사 · 홍콩우정 · 통신장비 제조사(화웨이 · ZTE · 다탕텔레콤) · 샤오미 · 이동통신사(차이나모바일 ·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 중국광전네트워크) · 광전총국 · 중관춘 · 화창베이
과학 · 기술 과학기술부 · 중국과학원 · 중국공정원 · 우주개발(국가항천국 · 창정 · 동방홍 위성 · 선저우 계획 · 창어 계획 · 톈궁) · 양탄일성 ·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교육부 · 수학 교육과정 · 초급중학 학력시험 · 가오카오 · HKDSE · ARWU ·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순위) · 구교연맹(목록) · BHUA · 세계일류대학 및 일류학과 건설 · 985공정 · 211공정 · 공자학원 · 천인계획 · 중국정부장학금 · 대외한어과
교통 교통 전반(홍콩 · 마카오) · 교통운수부(국가철로국 · 민용항공국) · 고속공로(강주아오 대교) · 철도(CRH · 도시철도 · 중국국가철로집단 · 중국중차 · 중국철도박물관) · 항공사(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하이난항공) · 공항 목록 · 중국교통건설 · 교통카드(옥토퍼스 카드) · 차량 번호판
[ 문화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음식 음식 전반 · 지리적 표시제 · 지역별 요리 · 산둥 요리 · 쓰촨 요리 · 장쑤 요리 · 저장 요리 · 후난 요리 · 광둥 요리 · 구이저우 요리 · 안후이 요리 · 푸젠 요리 · 베이징 요리 · 상하이 요리 · 후베이 요리 · 윈난 요리 · 만주 요리 · 청진 요리 · 한국식(종류) · 미국식(종류) · 일본식(종류) · 러시아식 · 중국술(백주 · 황주 · 맥주) · · 팔진 · 만한전석
전통문화 전통악기(얼후 · 고쟁 · 비파 · 싼시엔 · 쓰후 · 싼후) · 경극(변검) · 잡극 · 모란정환혼기 · 샹치 · 바둑(중국기원 · 중국 바둑 기전 · 갑조리그 · 몽백합배 · 춘란배 · 바이링배 · 봉황고성배 · CCTV 하세배 · 황룡사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궁륭산병성배 · 오청원배) · 마작(국표마작 · 광동마작 · 사천마작 · 홍콩대만마작 · 홍콩마작) · 만만디 · 시누아즈리 · 한푸(여성 한푸) · 치파오 · 변발 · 인민복 · 전족 · 회회력 · 시헌력 · 한시 · 무협물(중국사대기서) · 토루
현대문화 만화(웹코믹 · 홍콩) · 애니메이션 · 게임 · 텐센트 · 빌리빌리(빌리빌리 매크로 링크 VR) · 넷이즈 · miHoYo · SUNBORN · Hypergryph · X.D. Global · Gaea · Yostar · LPL · 메이드 카페 · 차이나조이 · 차이나 인터내셔널 코믹 페스티벌 · COMICUP · ComiAi · 코미데이 · 선협소설 · VCT CN · 정가(傷感情歌)
종교 · 신화 삼교 · 대승 불교(선종 · 정토교 · 시왕) · 도교(종파 · 상제 · 서왕모 · 구천현녀 · 일관도 · 육갑비축 · 도술 · 태극패 · 연단술) · 유교(변천사) · 백련교 · 중국 신화 · 하백 · 관우(관왕묘) · 마조 · 산해경 · 삼황오제(복희 · 신농 · 황제 · 소호 · 전욱 · 제곡 · 제지 · 제요 · 제순) · 헌원검 · 누조 · 창힐 · 치우 · 환상종(사신 · 사령 · 오룡 · 사흉) · 동방번개
스포츠 체육총국 · 중국 올림픽 대표팀 · 전국운동회 · 중국축구협회 ·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마카오) · 풋살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 · FA컵 · 슈퍼 리그 · 갑급 리그 · 을급 리그 · 여자 슈퍼 리그 · 홍콩 프리미어 리그 · 홍콩 퍼스트 디비전 · 홍콩 세컨드 디비전 · 차이나컵 · 홍콩 구정컵 · 축구굴기 · 공한증 · 중국 농구 협회 · 농구 국가대표팀 ·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남자 배구 리그 · 여자 배구 리그 · 야구 국가대표팀 · 중국권법(실전) · 태극권 · 중국 그랑프리 · 상하이 인터내셔널 서킷 · 기아 서킷 · 베이징 올림픽 · 올림픽공원
언어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표준중국어) · 관화 · 오어 · 월어 · 상어 · 민어 · 객가어 · 둥간어 · 기타 방언 · 한문 · 백화문 · 한자(간체자 · 방언자 · 측천문자 · 한어대사전) · 병음(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한어병음 · 팔라디 표기법 · 월병 · 예일식 광동어표기법) · 언어문자공작위원회 · HSK · BCT · TSC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관광 관광 전반(홍콩 · 마카오) · 세계유산 · 9단8묘 · 5A급 여유경구 · 중국국가박물관 · 중화민족원 · 유니버설 베이징 리조트 · 상하이 디즈니 리조트(상하이 디즈니랜드) · 홍콩 디즈니랜드 · 스튜디오 시티 워터파크 ·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 베이징 대관원
전시장 베이징 전시센터 · 전국농업전람관 · 중국국제전람센터 · 국가회의센터 · 국립전시컨벤션센터 · 상하이 국제엑스포센터 · 충칭 국제엑스포센터 · 수출입상품교역회전시관 · 선전세계전시컨벤션센터 · 선전전시컨벤션센터 · 우한 국제엑스포센터 · 난징 국제엑스포센터 · 쑤저우 국제엑스포센터 · 쿤밍뎬츠국제컨벤션센터 · 홍콩 컨벤션센터 · 아시아월드엑스포
[ 기타 ]
}}} ||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BAT
파일:바이두 로고.svg 파일:알리바바 그룹 로고.svg 파일:텐센트 로고 블루.svg
바이두 알리바바 그룹 텐센트
<colbgcolor=#fff,#f00><colcolor=#000,#fff> 바이두
Baidu, Inc. | 百度
파일:바이두 로고.svg
설립 2000년 1월 18일 ([age(2000-01-18)]주년)

[[중국|]][[틀:국기|]][[틀:국기|]]
창업자 리옌훙, 쉬용
분야 IT
편입 지수 나스닥 100 (2007년 12월~)
상장 거래소 나스닥 (2005년 8월~ / BIDU)
홍콩증권거래소 (2021년 3월~ / 9888)
시가총액 2,771억 홍콩달러 (2024년 3월)
등기임원
CEO
리옌훙 (2004년 2월~ )
이사회
의장
리옌훙 (2000년 1월~)
부채 1,442억 위안 (2023년 연결)
자본 2,436억 위안 (2023년 연결)
매출 1,346억 위안 (2023년 연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1c1d1f>
온라인 마케팅 서비스
812억 위안
기타
534억 위안
}}}}}}}}}
영업이익 219억 위안 (2023년 연결)
회원 가입 선택
법인 소재지 케이맨 제도
본사 소재지 중국 베이징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지배구조4. 지원 서비스
4.1. 서비스 종료
5. 명칭6. 여담

[clearfix]

1. 개요

중국IT 기업. 중국 최대 규모의 검색 엔진포털 사이트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중화권에서 중국의 비중이 압도적이므로, 세계에서 가장 큰 중국어 전용 검색 엔진이기도 하다. 이런 탓에 애플에서는 중국 출시 iPhone의 기본 검색 엔진을 Bing이 아닌 바이두를 설정해 놓을 정도다.[1]

검색 기능을 중심으로 하는 포털 사이트 '바이두닷컴(Baido.com)'이 기업의 메인으로, 사이트 자체는 미국구글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중국어를 할 줄 아는 사람이 중국 관련 정보를 찾을 때에는 굉장히 유용한 사이트다. 특히 엄청나게 거대[2]하면서도 황금방패의 영향으로 극도로 폐쇄적인 중국 인터넷 특성상 구글에서는 검색되지 않지만 바이두로는 검색이 가능한 정보도 많기 때문에 구글링해도 얻을 수 없는 정보가 필요할 때 최후의 수단으로 번역기를 통해서 이용하기도 한다.[3]

중국에서의 영향력과 명성과는 달리 아직 한국에서의 인지도는 희미하지만 편리하고 무료로 제공되는 웹하드 기능과 각종 저작권을 무시한 자료 검색과 취득이 가능하여 서서히 지명도를 넓혀나가고 있다.

하지만 중국 본토에서의 독점으로 인해 검색 결과 배치 및 노출의 품질은 항상 문제 제기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접속하면 Adware.CnsMin라는 악성 코드에 감염되는 경우도 있었다. 단 이건 바이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바이두에 연결된 서비스(바이두 MP3, 동영상 등)를 통한 감염이다.

2. 연혁

3. 지배구조

<rowcolor=#fff> 주주 지분 비중 의결 비중
리옌훙 18.2% 59.3%
블랙록 4.6% 1.5%
2024년 1월 지분 기준 #

4. 지원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ee1c25> TV 국가급 방송국 파일:차이나 미디어 그룹 로고.jpg CNTV, CCTV, CGTN
교육부 CETV
신화통신 CNC
기상국 CWTV
공안부 CCTBN
성급행정구 방송 베이징, 톈진, 허베이, 산시, 황하, 내몽골,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헤이룽장 개간방송, 상하이, 장쑤, 저장, 안후이
푸젠, 장시, 산둥, 허난, 후베이, 후난, 광둥, 남방, 광시, 하이난, 충칭, 쓰촨, 구이저우, 윈난, 티베트, 산시, 간쑤
칭하이, 닝샤, 위구르, 위구르 병단방송
지급행정구 방송 연변
현급행정구 방송 샤먼, 선전, 산샤
OTT Le.com, iQIYI, Mango tv, Youku, 腾讯, CMMB, CDMB
같이보기: 중국의 라디오 방송
중국어권 둘러보기
대만의 TV 채널 | 대만의 라디오 채널 | 마카오 | 홍콩의 지상파 방송국 | 홍콩의 위성 및 인터넷 방송 | 홍콩의 유료방송 및 OTT 플랫폼 }}}}}}}}}
바이두의 온라인 의료 플랫폼으로 2021년 미국의 유명 제약회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과 제휴하여 중년과 노인을 위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시스템을 공동 구축했다.
바이두의 온라인 번역 사이트로 전문가가 유료로 번역해주는 서비스와 즉석해서 온라인으로 번역해주는 분야로 나뉘어있다.

4.1. 서비스 종료

5. 명칭

바이두(百度 백도)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시대 시인 신기질(辛弃疾)의 <청옥안·원석青玉案·元夕>에서 유래했는데,
众里寻她千百度 중리심타천백도- 사람들 속에서 그녀를 천백 번을 찾다가
蓦然回首 맥연회수 - 불현듯 고개를 돌려보니
那人却在灯火阑珊处 나인각재등화난산처- 그녀가 등불 아래 있더라.
에서 '애타게 찾다'라는 뜻으로 쓰인 '百度'를 사용해서 중국어 검색 엔진 기술에 대한 집념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했다. 인용구는 한국 속담 '등잔 밑이 어둡다'와 비슷한 내용이다.

중국 대륙 밖의 중화권에서는 '百'이라는 멸칭이 존재한다. 둘 다 '바이두'라고 읽으며 성조만 Bǎidù와 Bǎidú로 다르다.

중국인들에게 '度娘'이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问度娘[9]이라는 관용구가 있기도 하다.

6. 여담



[1] Bing은 외산 검색 엔진 중에서 유일하게 중국 내에서 접속 가능한 상황이다.[2] 중국 혼자서 전 세계 인터넷 규모의 1/4 정도를 차지한다. #, # 인터넷 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것은 인도아프리카도 마찬가지지만, 이들은 같은 나라 안에서도 쓰는 언어가 다른 경우가 비일비재한 반면 중국은 입말은 달라도 글말은 모두 표준중국어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 상에서의 규모로는 압도적으로 차이가 크다.[3] 이는 또다른 숨겨진 노다지 취급받는 러시아얀덱스도 마찬가지다.[4] 그래도 구글은 중국 진출 이후로는 점유율을 빠르게 상승시켰고 철수 직전에는 35%의 점유율을 보였다.[5] 사실 이건 야후 차이나 등 여타 포털 사이트들이 듣보잡으로 변한 것과도 연관이 있다.[6] 구글 철수 이후로 진짜 문제는 모바일을 기반으로 급격하게 성장하며 바이두를 위협하고 있는 자국 기업들인 상황이다.[7] 2024년 1분기 기준 어니봇 포함 자국 40개 가량의 모델이 승인되었으며, 해외 모델은 아직 승인된 적이 없다.[8] 물론 중국의 웹사이트인만큼, 하나의 중국 원칙을 적용해 대만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난다.[9] 아가씨에게 물어보다.(바이두에 검색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