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원숭이(게잡이원숭이) Crab-eating macaque, Cynomolgus monkey | |||
학명 | Macaca fascicularis (Raffles, 1821) |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영장목Primates | ||
과 | 긴꼬리원숭이과Cercopithecidae | ||
속 | 마카크속Macaca | ||
종 | 필리핀원숭이M. fascicularis | ||
아종 | |||
| |||
멸종위기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CCCC,#212121>한국어 | 필리핀원숭이, 게잡이원숭이 | |
영어 | Crab-eating macaque, Long-tailed macaque, Cynomolgus macaque | ||
중국어 | 食蟹獼猴 | ||
일본어 | カニクイザル | ||
태국어 | ลิงแสม | ||
베트남어 | Khỉ đuôi dài | ||
인도네시아어 | Monyet kra | ||
말레이어 | Kera |
[clearfix]
1. 개요
영장목 긴꼬리원숭이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다.2. 특징
몸길이 수컷 41.2~64.8cm, 암컷 38.5~50.5, 꼬리길이 50~60cm, 몸무게 수컷 4.7~8.3kg, 암컷은 2.5~5.7kg이다. 섬 아종의 크기가 본토 아종보다 크기가 큰 편이다.털 색은 회색 또는 갈색이다. 섬에 서식하는 아종은 털색이 더 짙다.
3. 생태
필리핀원숭이의 자연 서식지 |
주로 서식하는 곳은 사바나와 숲이나, 적응력이 뛰어난 덕에 도시에도 서식하며, 심지어 현대적인 고층빌딩 숲으로 유명한 싱가포르에서도 전원지역인 부킷티마에도 엄청나게 서식한다. 동남아 각지에 애완용으로도 많이 기르기도 한다. 그러나 인간 근처에 많이 살아 개체수가 많아 보일 뿐 엄연한 멸종 위기종이고, 맹수로 분류되기 때문에 단순히 애완용으로 기르는 것은 불법이다.
교목성 원숭이라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편이나 종종 물가로 내려오기도 한다.
10~85마리 규모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대부분은 35~50마리로 구성된다.
수컷은 생후 6년이 지나야 성적으로 성숙하게 되고 암컷은 4년이 지나면 새끼를 낳을 수 있다. 암컷은 162~193일의 임신 기간 후 새끼 한 마리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체중은 약 320g이며, 검은색 털을 가지고 태어나 생후 3개월이 지나면 성체의 털 빛을 띈다.
간혹 자연 서식지가 겹치는 히말라야원숭이, 남부돼지꼬리원숭이와 교배를 하기도 한다.
보통은 과일, 열매, 나뭇잎 등을 먹으나, 이름에 걸맞게 게를 먹거나, 조개를 까먹기도 한다. 도시에 서식하는 개체들은 식단의 70% 인간의 음식물을 훔치거나, 음식물 쓰레기를 먹어 충당한다.
일상적인 채집 활동에 석기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구세계원숭이로, 돌을 이용해 게, 조개, 코코넛을 깨먹는다.
천적은 호랑이[1], 표범[2], 구름표범, 승냥이, 필리핀수리, 악어[3], 그물무늬비단뱀, 코모도왕도마뱀이다.
4. 국내 보유 현황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동물원 동양관에서 필리핀원숭이를 사육 중이다.과거 비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광주광역시 우치공원과 대구광역시에 있는 허브힐즈, 달성공원에서도 사육한 적이 있었으나 모두 폐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