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4A2235><colcolor=#fff> British Armed Forces 영국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British Army 영국 육군 | His Majesty's Naval Service 국왕 폐하의 통합해군 [[영국 해군| 왕립 해군 ]] [[영국 해병대|왕립 해병대 ]] [[영국 함대 보조전대|왕립 함대 보조전대 ]] [[영국 해군 모병청|왕립해군 모병청 ]] | Royal Air Force 왕립 공군 | }}}}}}}}} |
영국 해군 관련 틀 | ||||||||||||||||||||||||||||||||||||||||||||||||||||||||||||||||||||||||||||||||||||||
|
왕립 해군 Royal Navy (RN) | ||
<colbgcolor=#c8102e> 해군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선수기 | ||
취역기 | ||
로고 | }}}}}}}}} | |
평화를 원한다면 전쟁을 준비하라 Si vis pacem, para bellum[1] | ||
창설 | 1546년 | |
국가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소속 | 영국 통합해군 | |
군종 | 해군 | |
역할 | 해전, 대양해군, 영국 본토·해외 영토·왕실령 방위 | |
본부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런던, 화이트홀 | |
영국군총감 겸 대제독경[2] | 국왕 찰스 3세 | |
제1해군경[3] | 대장 벤 키 경[4] | |
제2해군경[5] | 중장 마틴 코넬[6] | |
함대사령관[7] | 중장 앤드류 번즈[8] | |
주임준위[9] | 일등준위 제이미 라이트[10] | |
병력 | 31,906명 | |
군사훈련 | 브리타니아 왕립해군대학 (사관생도) | |
| | | |
[clearfix]
1. 개요
Royal Navy |
2. 상세
18세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시점까지 200년 이상 질적으로도 규모로도 적수가 없던[11] 최강의 해군이자 대영제국의 국력 그 자체를 상징했으며, 전세계의 바다를 무대로 대영제국의 패권을 유지하고 군사력을 수송하는 수단으로 쓰였다.[12] 대영제국이 해체된 후 미국의 핵심 우방국으로서 소련의 잠수함 함대를 막는 역할로 재편되었고 현재도 NATO의 제2 리더를 맡고 있다. 현대의 왕립 해군은 사실상 냉전 때 만들어진 것이다. 그렇기에 20세기에 영국은 소비에트 잠수함과 폭격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맡았고, 대잠수함 호위함 획득과 강력한 핵잠수함 전력 건조에 힘써야만 했다. 이 기조는 21세기에도 그대로 이어져 막강한 대잠 헬기 멀린, 고도의 정숙성을 갖춘 대잠 호위함, 그리고 대잠수함 작전 지원에 특화된 경항공모함을 개발했다.[13]현재도 왕립 해군의 대잠수함 작전 능력은 세계적으로 손꼽힌다. 또한 방공함의 숫자가 좀 부족해서 무시되는 감이 있으나 영국 해군은 6척의 준이지스급 구축함을 보유하고 있어 미국 86척, 중국 39척, 일본 16척, 인도 10척, 러시아 9척, 한국 6척, 영국 6척 순으로 이지스/준이지스 구축함을 보유하고 있다. 45형 구축함의 미사일 수량은 좀 부족한 수준이긴 하지만 레이더는 극히 우수하며 방공미사일 역시 아스터 1NT[14]을 도입 논의 중에 있어 크게 강화될 예정이다.
하지만 현재 왕립 해군은 구조적 변화를 진행 중이다.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7만 톤 급의 정규 항모가 취역했으며, 이에 따라 방공 구축함과 대잠 호위함, SSN으로 이루어진 호위 함대를 구성하여 자국 군사력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게 가능해졌다. 또 바레인, 오만 등 해외 영구 기지들을 재단장, 재취득하고 있으며 아시아와 극동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다가올 근미래에 왕립 해군의 임무는 크게 두 개로 나뉠 것이다. 유럽에서는 미 해군과 NATO가 군사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GIUK 갭을 수호하는 한편, 유럽 바깥에서는 항모전단을 통해 영국의 전력을 전 세계로 투사하는 것이다.
'해군' 하면 떠오르는 검은색의 더블 버튼, 흰색 차이나 칼라, 세일러복 형태의 제복을 최초로 채용한 곳도 영국 해군이다. 영국이 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투사하면서 이 제복도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 복제 뿐 아니라, 상당수의 전 세계 해군 문화에 영향을 준 해군으로, 근현대의 서구화된 해군은 사실상 문화적으로 영국 해군의 제자들이라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군함 명명 방식에 인물, 지명 외에도 형용사를 사용하는 특이성이 있다.[15][16] 함급명도 초도함명을 따오는 경우 외에도 함명들이 가진 공통점에서 따오기도 한다.
3. 수뇌부
명목상의 해군 수장으로 대제독경(Lord High Admiral)이 존재하며, 영국 국왕이 겸임한다. 현 대제독경은 찰스 3세이다.해군참모총장은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17]이라 하며, 줄여서 제1해군경이라 불리고, 해군 대장이 맡는다. 조지 잠벨라스[18]의 경우 함대항공단 헬기 조종사으로 이 자리에 올랐다.
작전사령관의 경우엔 함대사령관이 맡는다. 한국도 작전사령관의 영문명칭은 한국함대사령관이고 많은 나라들이 비슷한 형태를 띈다. 본래는 대장 계급의 함대 총사령관이었으나 2012년 이후 중장으로 격하되었다.[19]
해군참모차장은 제2해군경 겸 해군참모차장이라 하며,[20] 주로 제2해군경이라 불리운다.
4. 역사
KGV급과 라이온급이 전부 건조중인 함정들로 분류된 1939년 7월 19일 데일리 텔레그레프 기사의 영국 해군 해상 전력 안내도로, 붉게 칠해진 배들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상실한 배들이다.[21][22] |
1702년부터 1703년까지 이어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당시 네덜란드 해군과 함께 프랑스, 스페인 해군에 맞섰는데, 이때 지브롤터 해외 영토로 얻게 된다. 이 전쟁에서 크게 활약한 덕에 왕립 해군은 위신 있는 해군 조직으로 떠올랐으며, 영국 역시 유럽의 열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1800년대의 나폴레옹 전쟁 때도 왕립 해군은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영국은 대부분의 자원을 해군에 투자하여 프랑스 침공을 막는 전략을 택했다.[23] 당시 왕립 해군은 유럽 대륙의 침공을 막는 동시에 함대를 외국 바다로 보내 힘을 투사하는 것도 가능할 만큼 막대한 조직이었다. 특히 적의 해상 교역로를 방해하는 게 핵심이었기에, 이 시기 왕립 해군은 거대한 1급 전열함 뿐 아니라 작고 민첩한 함선들도 계속 유지했다. 트라팔가 해전에서 영국의 전설적인 제독 호레이쇼 넬슨이 승리를 거두면서 프랑스의 영국 침공 야욕은 사실상 꺾이고 말았다. 이후 영국은 바다에서의 전략적 우위를 바탕으로 더 여유로운 전쟁 수행이 가능했다.
19세기는 대영제국, 즉 팍스 브리타니카의 시대였다. 대략 1914년까지 영국의 절대 우위가 지속됐다고 추정된다. 이 시기 왕립 해군은 '1>2+3'(1위의 해군이 2,3위의 해군을 합친것보다 많은 수의 함대를 운용하여 제해권을 장악한다는 것)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 압도적인 해군을 보유하며 전세계의 바다를 재패했다. 드레드노트급의 개발을 통해 근대적인 전함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또 독일, 미국 등 떠오르는 열강들과 치열한 건함 경쟁을 펼쳤다.
|
그러나 대전이 끝나고 대영 제국의 붕괴로 경제난을 맞이하면서 해군은 크게 축소되었다. 냉전이 찾아오면서 소련의 잠수함을 막는 역할에만 집중하여 수상 전력에서는 경항모 인빈시블급을 도입하고, 수직이착륙전투기 해리어를 함재기로 쓰게 된다. 한때 전세계로 힘을 투사할 수 있었던 대영제국 해군은 이미 없었다.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를 물리치면서 저력을 드러냈지만, 그건 장비나 신기술이 아니라 역사와 실전 경험으로 다져진 영국 수병들의 전문성 덕분이었다.
1999년 SDR(국방 전략 리뷰)은 향후 왕립 해군의 방향에 전환점이 됐다. 포클랜드 해전 때문에 영국은 경항모의 한계를 뼈저리게 실감하게 됐고, 안정적인 힘의 투사를 위해서는 다소 무리하더라도 거대한 정규 항모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는 합의가 모이게 됐다. 여기서 탄생한 것이 바로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이다. 또 8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왕립 해군은 수십 척의 소형 호위함과 구축함으로 대함대를 이루었으나, 수적 우위는 더 이상 현대 해군 교전에서 우위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오늘날 영국이 주력하고 있는 아스튜트급 SSN, 데어링급 방공 구축함, 26형 호위함 등은 기존의 '작은 호위함과 구축함'에 치중했던 왕립 해군의 건함 계획과 판이하게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예전과 같이 수적 우위에 중심해 항모 타격 전단을 편성할 수 없으니, 소수의 고성능 전투함을 편성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1천 5백톤 미만의 전투함 비중을 줄이고 있는데, 2천톤급의 리버급 배치2 원양초계함과 같이 해외 속령 방위나 어업 활동 보호에 쓸 수 있고, 유사시에는 대잠 헬기를 탑재해 저강도 호위 임무까지 수행할 수 있는 함선의 건조가 대표적이다. 함선 숫자는 점차 줄어들지만 각각의 능력을 향상시켜 질적 향상에 주력하는 것이다.
한편 냉전이 끝나면서 유럽에는 "Peace dividend(평화 배당금)" 시대가 찾아온다. 영국 역시 유럽의 군축 추세에 참여했으며, 이 기조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긴축 재정 때문에 더욱 가속화 됐다. 다만 2012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는 유로존 위기 때문에 전반적인 유럽군[26]이 심각한 투자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터라, 영국의 지역 방위 위협 수준은 여전히 군축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다.
역사적 사실로 알아둬야할 것은 영국 해군은 해군으로써 엄청난 경험을 쌓았고 이는 각국 해군에게 전파되었다는 점이다. 근현대 해군은 사실상 영국 해군에서 정립되었다고 해도 될 정도이다. 사소하게는 수병과 장교들의 복식(세일러복, 흰색 하정복/검은색 동정복 등)부터 크게는 제해권 장악과 같은 함대 전략까지 영국 해군이 영향을 끼치지 않은 부분을 찾기 어렵다.
4.1. 1630년 ~ 19세기
영국 해군 1급 전열함(전함)의 수량과 종류 변동. |
4.2. 1960년대 ~ 2013년
4.2.1. 군함 총톤수의 변동
'''영국 해군의 총톤수 및 등급별 군함의 보유 수량(세로축: 총 톤수, 단위: 만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a2c15a; font-size: .9em"''' |
4.3. 현재
대형 정규 항모 2척, 준이지스 구축함 6척, 호위함 11척, 원자력 잠수함 10척으로 구성된 함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투함 지원함 등 총배수량은 70만 톤 이상이다. 장비들이 세대교체 중에 있기 때문에 구형 함선과 신형 함선이 혼재된 양상을 보인다. 아스튜트급 공격원잠은 2020년대에 트라팔가급 공격원잠을 완전히 대체하며, 정규 항모 퀸 엘리자베스급은 2020년부터 완전한 작전 허가를 받는다. 2018년부터 퀸 엘리자베스급의 작전 능력 획득과 훈련에 주력하고 있다. 지금까지 헬기 운용 실험을 끝냈으며 2018년 하반기부터 함재기 운용 실험에 들어간다. 현재 복무중인 33,000명의 해군과 77척의 군함들도 모두 정예들이며, 이들 중 상당수는 2003년 미영 연합군의 이라크 침공과 2012년 반 카다피 봉쇄작전에 참여한 바 있다.2020년 현재 영국 해군은 엄청난 변혁을 예고하고 있다. 본래 4,000톤급 이하의 소규모 함정들 다수를 확보하여 넓은 지역을 커버하였던 종래의 해군에서, 소규모의 고성능 함선을 보유한 해군으로 변하여 나가고 있으며, 그동안 소홀했던 함대 방공 능력 역시 확충하여 나가고 있다.
4.3.1. 각종 군함의 종류별 변동
연도 | 잠수함 | 항공모함 | LPH, LPD | 주력 수상 전투함 | 기뢰함 | 초계함/경비정 | 총계 | ||||||||
잠수함 총계 | SSBN | SSN | SS, SSK | 항모총계 | CV(항모) | CV-L(경항모) | 주력 수상전투함 총계 | 순양함 | 구축함 | 호위함 | |||||
1960년 | 48 | 0 | 0 | 48 | 9 | 6 | 3 | 0 | 145 | 6 | 55 | 84 | 202 | ||
1965년 | 47 | 0 | 1 | 46 | 6 | 4 | 2 | 0 | 117 | 5 | 36 | 76 | 170 | ||
1970년 | 42 | 4 | 3 | 35 | 5 | 3 | 2 | 2 | 97 | 4 | 19 | 74 | 146 | ||
1975년 | 32 | 4 | 8 | 20 | 3 | 1 | 2 | 2 | 72 | 2 | 10 | 60 | 43 | 14 | 166 |
1980년 | 32 | 4 | 11 | 17 | 3 | 0 | 3 | 2 | 67 | 1 | 13 | 53 | 36 | 22 | 162 |
1985년 | 33 | 4 | 14 | 15 | 4 | 0 | 4 | 2 | 56 | 0 | 15 | 41 | 45 | 32 | 172 |
1990년 | 31 | 4 | 17 | 10 | 3 | 0 | 3 | 2 | 49 | 0 | 14 | 35 | 41 | 34 | 160 |
1995년 | 16 | 4 | 12 | 0 | 3 | 0 | 3 | 2 | 35 | 0 | 12 | 23 | 18 | 32 | 106 |
2000년 | 16 | 4 | 12 | 0 | 3 | 0 | 3 | 3 | 32 | 0 | 11 | 21 | 21 | 23 | 98 |
2005년 | 15 | 4 | 11 | 0 | 3 | 0 | 3 | 2 | 28 | 0 | 9 | 19 | 16 | 26 | 90 |
2010년 | 12 | 4 | 8 | 0 | 3 | 0 | 3 | 3 | 24 | 0 | 7 | 17 | 16 | 23 | 78 |
2013년 | 11 | 4 | 7 | 0 | 1 | 0 | 1 | 3 | 19 | 0 | 6 | 13 | 15 | 24 | 72 |
2014년 | 12 | 4 | 8 | 0 | 0 | 0 | 0 | 3 | 19 | 0 | 6 | 13 | 15 | 28 | 75 |
2015년 | 11 | 4 | 7 | 0 | 0 | 0 | 0 | 3 | 19 | 0 | 6 | 13 | 15 | 27 | 77 |
5. 편성
영국 해군은 수상함대, 함대항공단, 잠수함부대, 왕립 함대 보조전대, 왕립 해병대로 이루어진 5개의 전투단[27]이 왕립 해군의 주를 이룬다.5.1. 해군사령부
Navy Command5.1.1. 수상함대
Surface Fleet영국 본토·해외 영토·왕실령 공해를 보호하는데 중점을 두는 왕립 해군 수상함대는 현 영국 해군의 중추 역할을 한다.
5.1.2. 잠수함부대
Submarine Service5.1.3. 함대항공단
Fleet Air Arm해군 항공대인 함대항공단은 1910년에 영국 해군의 일부로서 창설되었으며, 1919년에 영국 공군의 일부로 독립하였다. 그러다가 1937년에, 해군의 노력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가히 역사 자체가 공군과의 사투라고 볼 수 있다.
한때 비용절감을 이유로 전투비행단과 고정익기 운용 부대를 전부 공군에 넘겼으나,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의 취역과 함께 전투비행단을 되찾아왔다. 고정익 대잠초계기는 다 없어져서 망했었던 적이 있었으나, 2015년에 발표된 SDSR에 의해 P-8 포세이돈의 영국 공군 배치가 확정됨으로써 다시 고정익 대잠초계기 전력이 부활할 예정이다.
함대항공단은 약 5,000여명의 인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는 영국해군사령부의 지휘하에 있다. 함대항공단의 현 단장은 니콜라스 M. 워커[28] 준장이다.
시킹 헬기가 퇴역하였다.#
- 제700해군항공대대[29]
700X Naval Air Squadron (700 NAS) - 제703해군항공대대[30]
703 Naval Air Squadron (703 NAS) - 제705해군항공대대[31]
705 Naval Air Squadron (705 NAS) - 제727해군항공대대[32]
727 Naval Air Squadron (727 NAS) - 제744해군항공대대[33]
744 Naval Air Squadron (744 NAS) - 제750해군항공대대
750 Naval Air Squadron (750 NAS) - 제814해군항공대대[AW101][35]
814 Naval Air Squadron (814 NAS) - 제815해군항공대대[AW159]
815 Naval Air Squadron (815 NAS) - 제824해군항공대대[AW101][38]
824 Naval Air Squadron (824 NAS) - 제825해군항공대대[AW159][40]
825 Naval Air Squadron (825 NAS) - 영국 항공모함 타격전단[41]
UK Carrier Strike Group (UKCSG) - 제809해군항공대대[Ligthning]
809 Naval Air Squadron (809 NAS) - 제820해군항공대대[AW101]
820 Naval Air Squadron (820 NAS) - 제849해군항공대대[AW101][AEW]
- 코만도헬리콥터부대[46]
Commando Helicopter Force (CHF) - 제845해군항공대대[AW101]
845 Naval Air Squadron (845 NAS) - 제846해군항공대대[AW101]
846 Naval Air Squadron (846 NAS) - 제847해군항공대대[AW159]
847 Naval Air Squadron (847 NAS)
6. 해군력
현대의 영국 왕립해군 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잠수함 | 재래식 | <colbgcolor=#fefefe,#191919>암피온급R, 익스플로러급R, 포어포이즈급R, 오베론급R, 업홀더급R | ||
SSN | 드레드노트초대R, 밸리언트급R, 처칠급R, 스위프트셔급R, 트라팔가급, 아스튜트급, {SSN-AUKUS} | ||||
SSBN | 레졸루션급R, 뱅가드급, {드레드노트급} | ||||
고속정 | 게이급R, 다크급R, 브레이브급R, 아일랜드급R, 시미터급R, 아처급 | ||||
원양초계함 | 캐슬급R, 캐슬급(원양초계함)R, 리버급 | ||||
호위함 | 대잠 호위함 | 12형 휘트비급R, 14형 블랙우드급R, 15형M/R, 16형M/R, 21형 아마존급R | |||
방공 호위함 | 41형 레오파드급R, 61형 솔즈베리급R | ||||
다목적 호위함 | 12M형 로스시급R, 12I형 리앤더급R, 81형 트라이벌급R, 22형 브로드소드급R, 23형 듀크급, {26형 시티급}, {31형 인스퍼레이션급}, {32형 호위함} | ||||
구축함 | 배틀급R, 데어링급R, | ||||
순양함 | 밸파스트, 셰필드R, | ||||
전함 | 뱅가드R | ||||
상륙함 | LPH | 오션급R | |||
LPD | 피어리스급R, 베이급RFA, 알비온급 | ||||
LSL | 라운드 테이블급RFA | ||||
경항공모함 | 센토어급R, 인빈시블급R | ||||
항공모함 | 빅토리어스M/R, 오데이셔스급M/R, | ||||
소해함 | 벤처러급R, 윌튼급R, 리버급R, 헌트급, 샌다운급 | ||||
무인함 | UUV | 시캣, {세투스 XLUUV} | |||
군수지원함RFA | 리프급초대~4대RFA/R, 타이드급초대RFA/R, 로버급초대RFA/R, 포트 로자리급RFA, 포트 빅토리아급RFA, 웨이브급RFA, 타이드급2대RFA, {FSS}RFA | ||||
항공훈련함/병원선RFA | 아거스RFA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윗첨자T: 기존 함을 연습함으로 전용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윗첨자RFA: 왕립 보조전대(Royal Fleet Auxiliary) 소속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영국 왕립 해군의 전투함 전력 |
항공모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퀸 엘리자베스급 | 항공모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2척 | - | - | |
상륙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알비온급 | LPD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2척 | - | - | |
베이급 | LPD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3척 | - | - | 왕립 보조 전대 소속으로 운용 |
구축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83형 | 방공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 | |
45형 | 방공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6척 | - | - | 83형 구축함으로 대체 예정 |
호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26형 | 호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8척 | |
31형 | 호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5척 | |
32형 | 호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5척 | |
23형 | 호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9척 | 2척 | - | |
초계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리버급 | 원양초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8척 | - | - | |
고속정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아처급 | 고속정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6척 | - | - | |
지원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FSS | 군수지원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3척 | |
타이드급 | 급유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4척 | - | - | 왕립 보조 전대 소속으로 운용 |
웨이브급 | 급유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2척 | - | 왕립 보조 전대 소속으로 운용 |
포트 빅토리아급 | 군수지원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척 | - | - | 왕립 보조 전대 소속으로 운용 |
소해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헌트급 | 소해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6척 | 1척 | - | |
샌다운급 | 소해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3척 | 1척 | - | |
잠수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드레드노트급 | SSBN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 4척 | |
뱅가드급 | SSBN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4척 | - | - | |
아스튜트급 | SSN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5척 | - | 2척 | |
트라팔가급 | SSN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척 | - | - | |
보존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HMS 빅토리 | 전열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척 | - | - | |
함대항공단의 항공기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운용 | 비축 | 추가 | 비고 |
라이트닝 II GR.1 | 전투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29기 | - | - | 공군과 공동으로 운영 |
멀린 HC.4 | 대잠헬기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30기 | - | 44기 | |
와일드캣 AH.1 | 대잠헬기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28기 | - | - |
7. 퇴역 군함 목록
7.1. 1860년 ~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순양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세인트 빈센트급 | 드레드노트급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벨레로폰급 | 드레드노트급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제1차 세계대전 이전 순양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인빈시블급 | 순양전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아폴로급 | 방호순양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다이어뎀급 | 방호순양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제1차 세계대전 이전 구축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아덴트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3척 | |||
하복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데어링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레틀스네이크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척 | |||
트리벌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
비글급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
7.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순양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어드미럴급 | 순양전함 | 영국 | - | |||
G3급 | 순양전함 | 영국 | - | |||
카운티급 | 중순양함 | 영국 | - | |||
아레투사급 | 경순양함 | 영국 | - | |||
다이도급 | 경순양함 | 영국 | - | |||
리앤더급 | 경순양함 | 영국 | - | |||
타운급 | 경순양함 | 영국 | - | |||
제1차 세계 대전 구축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위키스급 | 구축함 | 미국 | 3척 | |||
C급 | 구축함 | 영국 | - | |||
제1차 세계 대전 모니터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M29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M15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험버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고르곤 원수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클라이브 경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네이 원수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에레버스급 | 모니터함 | 영국 | - | |||
로버츠급 | 모니터함 | 영국 | - |
7.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
영국 왕립 해군 퇴역 항공모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인빈시블급 | 경항공모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척 | |||
왕립 해군 퇴역 순양함 | ||||||
타이거급 | 순양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3척 | |||
왕립 해군 퇴역 구축함 | ||||||
이름 | 종류 | 제조국 | 퇴역 | 비고 | ||
42형 | 구축함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14척 |
8. 여담
9. 외부 링크
- (위키피디아 영어판) List of active Royal Navy ships
- (위키피디아 영어판) 영국 해군(Royal Navy)[50]
- (위키피디아 영어판) Ship of the line
- (위키피디아 영어판) 냉전 당시 영국 해군 편제
10. 관련 문서
- 로버트 스콧
- 세일러복
- 수장
- 영국군 군사경찰
- 윈스턴 처칠[51]
- 이언 플레밍[52]
- 제임스 본드[53]
- 다니엘 크레이그[54]
- 제임스 쿡
- 조지 6세
- 영국 해병대
- 왕립 해군
- 해군
- 호레이쇼 넬슨
- HMS 비글
- HMS 빅토리
- 혼블로워
- Rule, Britannia!
- Heart of Oak
- 프레스 갱(...)
[1] 라틴어로, 영문으론 If you wish for peace, prepare for war라고 소개한다.[2] Lord High Admiral, 명목상 영국군 통수권자인 영국 국왕에게 수여되는 당연직이다.[3] 정식명칭은 제1해군경 겸 해군참모총장(First Sea Lord and Chief of the Naval Staff)[4] 벤자민 존 키 경(Sir Benjamin John Key)[5] 정식명칭은 제2해군경 겸 해군참모차장(Second Sea Lord and Vice Chief of the Naval Staff)[6] 마틴 존 코넬(Martin John Connell)[7] Fleet Commander[8] 앤드류 폴 번즈(Andrew Paul Burns)[9] 정식명칭은 왕립해군 주임준위(Warrant Officer to the Royal Navy)[10] Jamie Wright[11] 물론 독일 제국의 독일 제국 해군이나 나치 독일의 전쟁해군, 스페인의 무적함대같은 견제 대상들은 일부 있었다.[12] 미사일과 같은 무기가 없던 2차 대전 이전에는 전함이 국외에 무력을 투사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었다. 괜히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같은 조약이 생긴 것이 아니다.[13] 군축 상태인 2024년 지금도 원양에서만큼은 프랑스 해군과 함께 일본의 해상자위대조차 압도하는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다.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영국과 함께 실질적인 항공모함과 핵추진 잠수함 운용국이다.[14] 사거리 1,500km 수준[15] 퓨리어스(Furious), 임플래커블(Implacable), 일러스트리어스(Illustrious), 오데이셔스(Audacious) 등. 러시아에서도 이런 경우가 꽤 있었다.[16] 이는 영화 시리즈 <스타워즈>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화에 등장하는 우주선들도 이런 특징을 보인다.[17] 영국은 정부나 군이 형식상 영국 국왕의 신하이기에 그에 따른 직위라고 보면 된다. 사실 영국 총리도 원래 직위는 영국 왕실의 재무를 총괄하는 제1대장경으로 지금도 겸직하며 수상 관저도 애초 영국 총리 자격으로서가 아니라 제1대장경의 자격으로 입주하는것이다.[18] 1980년에 해군에 들어왔는데 함대사령관을 맡은 필립 존스 중장은 1978년에 입대했기에 더 선배다. 같이 복무 중인 제2해군경인 데이비드 스틸도 1979년 입대했다.[19] NATO의 북부지역 해군구성군사령관직을 겸직하던 체제가 해당 사령부가 통폐합되어 해체된 이유에서이다.[20] 본래 제2해군경은 해군 인사참모부장이 겸직하는 직책이었으나 2016년 이것이 조정되었다.[21] 영국 해군이 왜 강했는지 잘 알 수 있는 대표적인 그림이라 볼 수 있다. 식민지배를 가능하게 만든 원동력이다.[22] 손실 주력 군함은 후드(순양전함), 리펄스, 아크로열(항공모함), 커레이저스와 글로리어스, 프린스 오브 웨일스 등이다.[23] 하지만 그만큼 고된 일을 하는 해군 징집은 당시 기피 대상이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군 장병들로 이루어진 프레스 갱(Press gang)이라 불리는 긴빠이납치조직을 만들어 아쎄이길거리의 남성들을 닥치는 대로 신병으로 징집한 흑역사가 있다.# 해병문학의 기원 이는 심지어 현역 영국 국회의원에, 멀쩡히 돌아다이던 미국 상선의 선원들, 그러니까 미국인까지 징병하는 막장으로 치달았고, 미영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24] 당시 독일 제국은 빌헬름 2세가 건함 정책을 마구 밀어붙이며 카이저마리네의 규모를 끝없이 불리고 있었고, 제1차 세계대전 직전엔 영국 해군 다음으로 규모가 큰 대함대가 되어 있었다.다만 이런 상황에서도 영국>독일+미국 이었다...[25] 물론 질적으로 떨어졌다는건 전혀 아니다. 오히려 몇세기동안 세계를 배타고 누볐었기 때문에 항해술이든 전투능력이든 매우 우수했다. 여담이지만 프랑스가 소수정예 해군을 지향하며 우수한 군함을 건조하면 그걸 나포해서 A급 선박으로 굴렸다...[26] 러시아를 포함한다[27] Fighting Arms of the Royal Navy[28] Nicholas M. Walker[29] 무인기 운영부대.[30] 고정익기 훈련대대.[31] 헬리콥터 승무원 훈련대대.[32] 고정익 훈련대대.[33] 3군 합동부대로, AW101, CH-47등의 훈련을 주관한다.[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35] 구축함 등에 파견되어 운용됨.[AW159] AW159 와일드캣 운영부대[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38] AW101 멀린 훈련을 담당한다[AW159] AW159 와일드캣 운영부대[40] AW159 와일드캣 훈련을 담당한다[41] 영국 해군의 항모 전단 소속 항공단으로, 항공모함에 파견되는 항공기를 지휘한다. 현재 모함은 HMS 퀸 엘리자베스.[Ligthning] F-35B 운영부대.[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AEW] AEW 헬리콥터 운용부대.[46] 영국 해병대를 지원하는 항공 부대로 해병대의 대령급 지휘관이 지휘한다.[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AW101] AW101 멀린 운영부대.[AW159] AW159 와일드캣 운영부대[50] 공식 명칭을 따라 그냥 왕립 해군(Royal Navy)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다른 로마자권 언어도 해당 영어 표기를 그대로 사용한다. 일반명사로서의 왕립 해군은 동음이의어 문서로 넘어간다. 이는 영국의 왕립 해군은 정식명칭에 국가 이름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51] 군 복무는 육군 장교로 했으나, 정계 입문 후 해군 장관을 지내며 해군과 연을 쌓았다.[52] 해군 소령 출신이었다.[53] 스파이 이전에 해군 중령(commander) 캐릭터다. 영화 내에서도 해군 정복을 입고 나온 적이 있다. 위에 설명했듯이 작가 이언 플레밍이 해군 소령 출신.[54] 본드 역을 맡은 것을 계기로, 명예 해군 중령 계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