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형 항공사 Major Carrier | |||||
| | | ||||
중국국제항공 | 중국남방항공 | 중국동방항공 | ||||
| | | | | | |
하이난항공 | 사천항공 | 길상항공 | 심천항공 | 샤먼항공 | 상하이항공 | |
중소형 항공사 Minor Carrier | ||||||
| | | | | | |
베이징항공 | 다롄항공 | 산동항공 | 티베트항공 | 중국국제항공 내몽골공사 | 조이 에어 | |
| | | | | | |
충칭항공 | 북경수도항공 | 천진항공 | 수파르나항공 | 쿤밍항공 | 컬러풀 구이저우 항공 | |
| | | | | | |
허베이항공 | 오케이항공 | 청도항공 | 룽에어 | 동하이항공 | 차이나 익스프레스 | |
| | | | | | |
루이리항공 | 푸저우항공 | 청두항공 | 장시항공 | 후난항공 | 중국동방항공 윈난공사 | |
| | | | | ||
그랜드 차이나 항공 | 룽장항공 | GX 항공 | 창안항공 | 구이린항공 |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 | | | | | |
중국연합항공 | 서부항공 | 럭키 에어 | 우루무치항공 | 구원항공 | 춘추항공 |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 | | | | | |
중국민항 | 중국서남항공 | 중국서북항공 | 중국북방항공 | 중국운남항공 | 중국신장항공 | |
파일:동성항공 로고.png | | | | | | |
동성항공 | 중위안항공 | 유니탑항공 | 허난항공 | 중국신화항공 | OTT 항공 | |
| | | ||||
유나이티드 이글 항공 | 중국 일반 항공 | 우한 항공 | ||||
※ 특별행정구의 항공사는 홍콩의 항공사 ※ 지역 항공사(Regional Carrier)의 경우에는 중소형 항공사(Minor Carrier) 일람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중국남방항공 中国南方航空股份有限公司 | China Southern Airlines | ||
| ||
<colbgcolor=#0093d0><colcolor=#fff> 기업명 | 中国南方航空股份有限公司 | |
China Southern Airlines | ||
국가 |
| |
설립 연도 | 1988년 7월 1일 ([age(1988-07-01)]주년) | |
항공 동맹 | 소속 X[1] | |
런치 커스터머 | A319neo | |
보유 항공기 수 | 657 (2024년 7월) | |
취항지 수 | 248 (2024년 7월) | |
허브 공항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선전 바오안 국제공항 우루무치 디워푸 국제공항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 우한 톈허 국제공항 선양 타오셴 국제공항 다롄 저우수이쯔 국제공항 | |
부호 | <colbgcolor=#0093d0><colcolor=#fff> | CHINA SOUTHERN / 南方 |
CZ | ||
CSN | ||
1B | ||
항공권 식별 번호 | 784 | |
상용 고객 서비스 | 南航明珠俱乐部 (Sky Pearl Club) | |
슬로건 | 飞向您的梦想 Fly your dreams | |
자회사 | 충칭항공 (60%) 사천항공 (39%) 샤먼항공 (55%) | |
상장 여부 | 상장 기업 | |
상장 시장 | 상하이증권거래소 600029 홍콩증권거래소 1055 프랑크푸르트거래소 ZNHH | |
링크 |
Airbus A350-941, B-30C0 |
1. 개요
중국의 3대 국유항공사(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중국남방항공) 중 하나로 광둥성 광저우시를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2. 역사
1989년에 시작한 후발 주자로, 기존의 국영 항공사인 중국민항의 광저우 총국을 기반으로 설립했다.[2] 이후 1991년에는 30여 대의 항공기로 중국 국내 90개 지역과 해외 17개 지역으로 600만 명을 운송했다.1992년에는 5억 3,7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1억 200만 달러의 이익을 기록했다. 이후 1994년 중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에 대한 외국인 투자를 허용해 그 해 매출이 2배 증가했다.
1996년에 최초의 국제선 노선인 광저우 - 베이징 - 암스테르담 노선의 운항을 시작했다. 1997년 3월에는 태평양을 횡단하는 광저우 - LA 노선을 개설했다. 동년 6월에는 뉴욕과 홍콩의 증권거래소에 70억 달러가 넘는 주식이 처음으로 상장되었다.
2000년 7월에 중국에서 시드니와 멜버른으로 향하는 두 장거리 구간을 추가했다.
이후 중국민용항공총국은 중국민항의 분할과 더불어 각 지역 총국을 기반으로 설립된 항공사들의 난립과 경쟁으로 비효율성이 심해지자, 항공사 간의 합병을 통한 구조조정을 결정하고 중국 항공 산업의 구조조정을 이끌어 갈 세 항공사 중 하나로 중국남방항공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리하여 2000년대에 중원항공(中原航空), 중국북방항공(中国北方航空)[3]과 중국신장항공(中国新疆航空)을 합병하면서 대형 항공사로 성장했다.
2003년 7월 25일, 상하이증권거래소에 티커번호 600029로 주식이 상장되었다.
중국국민당과 중국공산당간의 국공내전이후 약 60년만인 2005년 1월 28일에 중국남방항공의 보잉 777 여객기가 광저우를 출발해 타이베이에 착륙했다. 이후 2008년에 중국 정부가 대만과 협정을 맺어 직항 항공편을 개설할 수 있게 되면서, 양안 직항이 성사됐다. 하지만 양안 직항 외에는 대만 국적기가 유럽으로 갈 때 중국 영공을 직접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캐세이퍼시픽은 아직 건재하다. 그래서 대만 국적기는 유럽으로 갈 때 주로 방콕 중간 기착으로 다녔다. 기체 항속거리 및 기술이 발전한 현재는 유럽 방향으로 갈 때 블라디보스토크 쪽으로, 대만 방향은 베트남 쪽으로 가는 우회 직항으로 다닌다. 그래서 대만과 유럽을 오고갈 때는 거리 손실이 적고 노선도 풍부한 편인 홍콩이나 싱가포르 환승을 많이 이용한다.
2007년 11월 15일, 스카이팀(天合联盟) 가입이 승인되어 중국 항공사들 중 가장 먼저 스카이팀에 가입했다.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베이징에서 스카이팀 대표 자격으로 사인했다. 이후 2011년에 중국동방항공이 스카이팀에 가입하고, 2012년에는 중국남방항공이 지분을 갖고 있는 샤먼항공까지 스카이팀에 가입하면서, 중국에서 원월드가 발을 들여놓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2019년 스카이팀 탈퇴를 선언했다. 현재는 어느 동맹에도 참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
중국 국적사 중 유일하게 에어버스 A380-800, 엔진은 트렌트를 보유 중이며, 국내선에 A380을 투입하는 항공사였다.[4] 중국국제항공은 중국민용항공국의 정책에 따라 A380 대신 747-8i를 도입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A380 보유 항공사들 중 말레이시아 항공 만큼이나 사연이 많은 항공사이다. 국제선 확대를 위해 도입한 A380이었지만, 고유가 및 자국 항공사들의 국제선 직접 경쟁 금지로 이야기가 달라졌다. 통제를 우회하기 위해 중국국제항공은 2012년 중국남방항공과 조인트 벤처로 베이징발 국제선 A380을 공동 운항할 계획을 갖고 있었으나, 이 또한 중국민용항공국 및 스카이팀(타 동맹체와의 협력 반대 의견) 반대에 의해 무산되었다. 독자적으로 베이징발 파리 및 유럽 황금 노선 취항 계획도 추진하였으나 무산됐다. 계획과는 다르게 돌아가는 상황으로 인해 큰 손해가 나게 되었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만 했다.
현재는 A380을 활용하기 위해 수요가 빵빵한 국내선(베이징-광저우, 베이징-상하이 및) 및 국제선(LA, 시드니) 노선에 투입 중이다. 유럽행 암스테르담 노선의 경우 로드팩터가 나오지 않아 A380 투입이 중단되고, A330 투입으로 대체되었다. 2018년 하계 계절편(7월 10일~10월 8일)으로 잠시 A380의 북경-암스테르담 노선의 재취항이 확정되었다. 간만의 유럽행 노선 투입이라 수요가 어느 정도 확보 되는지에 대해서는 두고 볼 일인 듯. #
A380 국내선 노선의 경우, 차별화된 전략 및 데일리 운항에도 불구하고 매번 운항 시 수익이 아닌 손해가 난다고 한다. 현재로썬 광저우발 국제 장거리 노선은 지역 위치상의 약점으로 인해 캥거루 루트 및 LA행 노선 외엔 마땅히 투입할 노선이 없다 보니 어쩔 수가 없는 상황이다.
그래도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개항 후 A380을 파리 및 유럽 황금 노선에 단독 취항하는 것으로 이루지 못했던 원대한 꿈을 다시 시도할 것으로 보였으나, 때마침 터져버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항공 수요가 급감하여 회사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결국 보유하던 A380을 모두 스크랩 처리하고 2022년 11월 부로 모두 퇴역했다.
베이징 남부에 건설 중인 2019년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완공에 맞춰 본사 이전 계획이 잡혀 있는데, 중국남방항공도 신공항 건설비용을 꽤나 지불했다. 이렇게 베이징발 장거리 국제 노선에 큰 공을 들이는 듯. # 대한민국에도 김포/인천 - 다싱 직항을 취항하며 다싱과 대한민국을 오고가는 노선을 열었다.
미 의회가 2020년 말 중국기업들을 겨냥하여 자국 회계기준에 따른 감리를 3년 연속 거부한 기업을 미국 증시에서 퇴출할 수 있는 외국회사문책법(HFCAA)을 제정하면서 여러 중국 기업에 대한 상장폐지를 압박함에 따라 중국동방항공과 함께 2023년 2월 2일부로 상장폐지 되었다.#
3. 특징
이름은 중국남방항공인데, 주력 공항은 본진인 광저우를 제외하면 베이징, 다롄, 선양, 하얼빈 등 북쪽에 더 많이 두고 있다. 이는 상술하였던 중국 항공 산업의 구조조정 당시 중국북방항공을 인수하였기 때문이다. 이 때의 인연이 이어져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인 아시아나항공과 코드셰어를 시행 중이다.[5]인천이나 김포에서 베이징을 가려는 사람들에게는 가격으로 모든 항공사를 압도하는 항공사. 물론 직항 기준으로 그렇다. 베이징을 가는 데 경유가 있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중국동방항공에서 칭다오를 경유하는 티켓을 파는데 가격은 비슷하거나 조금 싸다.[6]
보잉 737, 777, 787, 에어버스 A320, A350을 2020년까지 순차 인도받을 예정인데, 총 합쳐서 309대의 항공기를 새로 인도받을 예정이라 2020년 연말에는 무려 979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게 되어 항공기 보유 규모로는 아시아 최대의 항공그룹이 될 것으로 보인다. #
3.1. 서비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서비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서비스#|]][[중국남방항공/서비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라운지
중국 전역 42개 공항에서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다.<rowcolor=#fff> 공항 | 이름 | 터미널 | 운영시간 | 국내/국제 | 비고 |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 | 남항 일등석 비즈니스석라운지 | 2터미널 | 05:45 ~ 21:00 | 국내선 | - |
남항 펄 라운지 | |||||
남항 일등석 비즈니스석라운지 | 04:30 ~ 항공편 마감시간 | 국제선 | |||
남방 펄 예빈라운지 | 06:00 ~ 21:00 | - | [7] | ||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 | 남항 국제라운지 | 통합 | 06:00 ~ 국제선 마감 3시간 | 국제선 | - |
국내3호 라운지 (남항골드/실버회원라운지) | 04:30 ~ 항공편 마감시간 | 국내선 | |||
국내2호 라운지 (남항골드/실버회원라운지) | 05:00 ~ 항공편 마감시간 | ||||
국내1호 라운지 (남항 일등석/비즈니스석라운지) | 04:30 ~ 항공편 마감시간 |
5. 사건 사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사건 사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사건 사고#|]][[중국남방항공/사건 사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보유 기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보유 기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보유 기종#|]][[중국남방항공/보유 기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4년 하반기 기준, 653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 보유 중인 항공기의 평균 연식은 9.4년이다.
<rowcolor=#fff>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A319neo | 4 | 5 |
A320-200 | 96 | - |
A320neo | 52 | 16 |
A321-200 | 93 | - |
A321neo | 63 | 60 |
A330-200 | 3 | - |
A330-300 | 25 | - |
A350-900 | 20 | - |
B737-700 | 18 | - |
B737-800 | 156 | - |
B737-8 MAX | 32 | 38 |
B777-300ER | 15 | - |
B777F | 17 | - |
B787-8 | 10 | - |
B787-9 | 18 | 2 |
ARJ21-700 | 30 | 5 |
C919 | 1 | 104 |
7. 노선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노선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노선망#|]][[중국남방항공/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1. 대한민국 노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노선망#s-2.1.1|2.1.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국남방항공/노선망#|]][[중국남방항공/노선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세이프티 비디오
<rowcolor=#fff> 중국남방항공 세이프티 비디오 |
세이프티 비디오가 상당히 촌스러운데, 다른 중국 항공사와 비교해도 퀄리티가 좀 떨어지는 편이다. 2024년 현재는 리튬 배터리 관련 사항, 기내 소란행위에 대한 경고 파트 등을 추가하고 계속 사용중이다. 게다가 처음에 나오는 음악은 프랑스의 영화제작사 파테의 로고 인트로 음원을 무단 사용한 것이다.
9. 여담
- 유사 캥거루 루트의 주인공 중 하나이기도 하다. 유럽에서 광저우를 거쳐 호주나 뉴질랜드로 가는 항공권을 저렴한 가격에 푸는데다 캥거루 루트 승객에게는 광저우에서의 환승라운지 등 다양한 혜택을 주기 때문인데, 중국 ↔ 유럽 항공편은 중국남방항공 자체 비행기로 굴리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스카이팀 동맹 내 KLM 등 유럽 항공사와 코드셰어를 맺어서 운항하기도 한다. 참고로 히스로 ↔ 시드니 간 캥거루 루트에서 광저우 경유가 최단거리이다.
- 양양국제공항의 VIP 고객이었다.
- 2016년 2월부터는 서울역 도심공항터미널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를 이용시 수속이 가능하였지만, 2018년 1월 1일부터 다시 중단되었다.
- 카운터에서는 항공권 시간이나 날짜 변경이 힘드니, 표를 구매한 곳, 또는 1899-5539, 혹은 광저우 본사 국제전화 접속번호 +86-20-95539로 하자.
- 스카이팀을 탈퇴했지만 스카이팀 항공사들과 2020년 1월 기준 여전히 마일리지 제휴를 하고 있다. 스카이팀 비즈니스석 이상 서비스인 SKY PRIORITY도 CZ PRIORITY라는 이름으로 자체 유사서비스를 계속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글자체와 빨간바탕이 누가봐도 스카이팀 짝퉁이다(!)
- 유튜브 등지에서 기내 음악을 검색해보면 착륙 후에 신승훈이 부른 I Believe의 연주곡 버전을 틀어주는 듯 하다. 어떻게 일개 중국 항공사가 한국 곡 판권을 통째로 사서 틀고다니게 된 건지는 불명.
- 기체 도색은 전반적으로 유로화이트이지만 어두운 푸른색 투톤과 금색이 섞인 치트라인이 측면과 기수 쪽을 감싼다. 이게 앞으로 가면서 두꺼워지는 탓에 앞에서 봤을땐 비행기가 파란 마스크(...)를 쓴 모양새와 비슷하게 보인다. 그리고 로고 자체가 꼬리날개의 형상이어서 수직꼬리날개에 색을 입히면 그게 그대로 로고가 된다.
- 로고의 꽃은 목면화(木棉花 Bombax ceiba)라는 꽃으로 광저우를 상징함과 동시에 광둥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식물의 꽃이다.
- A330의 경우 처음에는 롤스로이스 엔진을 선택하였으나, 2010년엔 P&W로 전향하였고, 2018년에는 다시 롤스로이스 엔진을 채택하였다. 이와는 별개로 B777에는 모두 GE90 엔진을, B787에는 모두 GEnx 엔진을 선택했다.
10. 스카이팀 탈퇴 선언과 원월드 이적설
중국 내 소식통을 중심으로 남방이 스카이팀을 탈퇴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남방의 입장에서는 중국동방항공보다 규모도 크고 취항지도 많은데, 동방이 스카이팀의 터줏대감인 델타 항공이나 KLM과 조인트벤처를 하며 짝짜꿍하는 것이 아니꼬운 듯..실제로 지난 11월 1일부터 동방의 홈페이지에서 남방항공의 마일리지 사후적립이 제한되고 있다. 남방 쪽의 시스템 개선 작업으로 온라인으로는 안 되고 지점이나 콜센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한다. 작업 완료 예정일자 조차도 없는 것을 보니 분명히 뭔가 문제는 생긴 듯. 동방항공 공지(중국어)
설상가상으로 남방이 아메리칸 항공과 조인트 벤처를 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대로 스카이팀을 탈퇴하여 원월드로 갈 수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캐세이퍼시픽항공의 본진인 홍콩과 남방의 최대 허브인 광저우는 200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 과연 가능할 지? 남방이 원월드로 갈아타면 캐세이퍼시픽항공이 스타얼라이언스로 갈 거라는 루머도 있었다. #
원월드 이적에 가장 큰 걸림돌은 다른 게 아닌 중국 정부(중국민용항공국)이다. 특히, 베이징 수도 제 2 국제공항 건설 및 운영계획(스카이팀 전용공항 및 중국남방항공의 메인 허브 공항)과 상반되는 입장이다. 나름 배려해준다고 수도 제 2 공항도 중국남방항공이 중심이 되어 건설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국 정부의 뜻을 거스르고 원월드 이적을 추진했다간 스카이팀으로 단일화 하려는 공항 건설계획도 크게 틀어지고 중국남방항공 또한 큰 피를 볼 것이 뻔하기 때문. 그리고 실제로 원월드 이적에 대한 내부 비공개 회의가 개최되었으나, 부정적인 의견이 다수 나옴에 따라 원월드 이적은 없던 일로 되었다. 일단 다싱 국제공항에 원월드를 보내버리는 것으로 결정났다.
로이터 보도에 따르면, 중국남방항공은 11월 15일 공식적으로 스카이팀과의 계약 종료일을 2019년 1월 1일로 발표했다. 하지만, 기사에 따르면 원월드의 창립멤버인 캐세이퍼시픽은 원월드 가입 희망사에 대한 거부권을 가지고 있어, 남방이 원월드로 옮길 수 있을지는 미지수. 결국 2019년 1월 1일부로 스카이팀 탈퇴가 완료되었고 원월드 이적은 아직 확정되지 않아 일단은 무소속 항공사가 되었다.
허나 2024년 기준으로도 스카이패스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2020년 말에 변경된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어찌저찌 유지되고 있는 듯. 다만 이코노미 특가요금은 아예 적립이 안되고, 된다 해도 적립률이 40%에 불과한 경우가 많기에 싼 값에 유럽, 미주 왕복을 끊은 사람들에겐 사실상 없는 혜택이라 봐도 좋다.
스카이팀 탈퇴와는 별개로, 대한항공의 스카이패스 우수 회원에게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8]
11.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역사 전반(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경제 전반(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문화 전반(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문물국) · 영화(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목록 · 문제점) · 방송(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1] 스카이팀 탈퇴[2] 흔히 중국에서는 광저우를 중심으로 한 광둥성을 남방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광둥성이 중국 남부지방을 대표하는 지역이기 때문. 그래서 '남방항공'이라고 하는 것이다.[3] 2002년 6136편이 방화 사건으로 추락하면서 승객 전원이 사망해 이미지가 크게 나빠졌었다.[4] 이게 다 중국 땅덩어리가 넓고 사람도 많으니까 가능한 일이다.[5] 인천 - 하얼빈, 창춘 구간[6] 앞선 서술에 홍콩 경유가 있다고 하였으나 인천-홍콩 구간 취항은 커녕 홍콩-북경 노선에 끼지도 못한다. 참고로 동방항공은 북경에서 국제선이 거의.없다시피 하다. 일본 노선과 시드니가 전부라서 경유 표를 판매한다.[7] 보안검색 이전[8] 수하물 1pc 추가, 비지니스/스카이펄 카운터 이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