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864> | 김좌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864> 일생 | <colbgcolor=#fff,#1f2023>생애 | |
관련 인물 | 홍범도 · 이범석 · 안무 | ||
비판 | 비판,(지역주민에 대한 폭력 · 빈주 사건), | ||
대중매체 | 대중매체,(야인시대에서), | ||
관련 단체 | 육군무관학교 · 북로군정서 | ||
기타 | 청산리 전투 · 자유시 참변 · 김좌진 장군묘 · 육군사관학교 독립유공자 흉상 철거 논란 · 김좌진함 |
1. 개요
빈주 사건은 중화민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빈현(賓縣) 일대에서 김좌진 진영인 신민부 군정파가 농민들의 회의현장을 습격하여 농민들을 학살한 사건이다.2. 과정
1925년 3월 10일 영안현 영고탑에서 대한독립군단 대표 김좌진, 남성극(南星極), 최호(崔灝), 박두희(朴斗熙), 유현(劉賢)등과 재건 대한군정서 대표 김혁(金爀) 등이 북만주의 지역대표들과 함께 모였다. 이들은 수일간 협의하여 3월 15일에 통일된 독립운동 단체로 신민부를 창설했다. 신민부 창설을 위한 이 회합은 ‘부여족통일회의’라고 한다.[1]1927년 2월 일본 제국은 석두하자의 신민부 본부를 습격해서 김혁과 유정근 등을 체포했다. 이후 이에 대한 수습책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적극적 무장투쟁을 주장한 군정파와 민중본위의 자치를 주장한 민정파로 분열되었다. 군정파는 김좌진이 위원장이었다. 김좌진은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장 겸 군사부위원장을 역임했다.[2] 군정파는 1927년 5월 김좌진을 위원장으로 하는 지도부를 편성하여 영안현 일대를 중심으로 활동했다.[3]
김좌진 측이 우선했던 건 무장투쟁이었다. 무장투쟁을 위해선 재만동포들의 협조가 필요했다. 예로 무기 구입·독립군 양성·무장활동을 위한 군자금을 얻기 위해선 재만동포들에게 돈을 걷어야 했다.[4] 사건은 이 과정에서 발생한다.
3. 사건
당시 만주에서 신민부가 관할하던 지역은 독립전쟁을 위한 기지이기도 하였지만 재만동포의 삶의 터전이기도 하였다. 무장투쟁을 하려면 당연히 재만동포에 대한 배려는 기본으로 갖춰야 했다.[5]그러나 당시 군정파는 그게 부족했는데 그 예가 빈주현이었다. 이 지역의 재만동포들은 대부분이 중국인의 소작인이라 빈곤한 생활을 했다. 그러나 군정파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지않고 모금을 강제하였다.[6]
결국 빈주현 주민들은 참지 못하고 신민부 탈퇴를 결의했으며 이를 신민부에게 통보했다. 11월 18일엔 재만동포 40명이 "군정파 보안대의 무력적인 행동에 대해 자위책"[7]이나 "일제의 무력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기 위한 자위책"[8]에 대한 회의책을 하고 있었다. 이때 신민부 군정파는 그 현장을 습격해서 농민 5~6명 에게 총을 쏘아 살상했다 [9]
이 사건은 동아일보에도 보도되었다.
북만 빈주현에서는 지난달 그믐날 저녁 여섯시경에 신민부원이 그곳 주민 오륙 명을 살상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그 원인은 빈주현은 본래 신민부 구역으로 오래전부터 운동비로 주민들로부터 돈을 거두어 갔는데 근자에 이르러 주민 일동은 주민 대회를 열고 신민부로부터 탈퇴하기를 결의하고 이 소식을 신민부에게 통지하였더니 그 말을 들은 신민부원들은 무장대 오륙 명을 보내어 주민과 충돌되어 그와 같은 참극이 생긴 것이라는 바 유연동, 김봉진, 황혁 세 사람은 즉사하고 윤필한, 김유문, 장문숙 세 사람은 중상하여 목하 생명이 위태하며 그 밖에도 경상자가 많은 모양
- 동아일보 1928. 11.18
- 동아일보 1928. 11.18
4. 파장
당시 신민부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으로 인해 불만이 폭발했다.1928년 11월 하순 영안현에선 민정파를 지지하는 신민부 관할 6개현 16지역이 화합하여 북만주민대회를 열었다. 군정파의 행위를 성토하는 것이었다. 이 대회에선 군정파 책임자인 김좌진에게 책임을 물어 사형에 처한다는 선고를 내렸다.[10]
조선공산당 만주총국은 물론 신민부 민정파인 최호계열에서도 김좌진을 강하게 비판했다. 최호의 민정계열에서는 김좌진계열을 향해 “민중의 생명을 학살하고 혁명전선의 교란자, 賣族的 走狗(매족적 주구), 혁명적 사기한의 장본인 김좌진, 鄭信(정신) 등을 매장하라”고 구호를 내걸었다.[11]
이후 김좌진 장군은 사람들에게 마왕(魔王), 폭군 같은 별명까지 얻게 되었다.[12]
이 사건이 영향을 끼친 것인지 결국 신민부는 해체되었다.
거기다 김좌진은 이 사건 2년 후에 암살당했는데 일본 내무 보고서에는 빈주 사건에 대한 보복이 김좌진 암살의 원인이라고 적혀 있다. 실제로 김좌진이 빈주 사건으로 민심을 잃은 것을 보면 충분히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학계에서도 중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게 사실이라면 결국 김좌진은 빈주 사건이라는 잘못된 선택으로 자기 목숨까지 잃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5. 여담
독립운동가의 흑역사 중에서 치하포 사건이 별 거 아닐 정도로 더한 사건이다.[13] 영남 지방에서도 비슷한 사건이 있었다. 영남에 임시정부와 독립단체 독립자금을 지원하는 천석꾼 지주가 있었는데 어느 날 독립자금을 전달하는 것이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이 지주를 일본 경찰에 신고한 사람은 지주의 소작농이었다. 당시 천석꾼이 독립자금을 더 마련하고자 소작료를 높였고 이를 감당하지 못한 소작농 중 하나가 지주가 독립자금을 대 주는 것을 알고 소작료를 면하기 위해 일본 경찰에 신고한 것이다. 지금 관점에서 보면 그 소작농의 행위는 민족반역죄지만 당시 생계가 궁핍하였던 소작농으로서는 생존의 문제였다 보니 생긴 비극이라고 할 수 있다.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em" A: 방화 살인 · C: 연쇄살인 · H: 가정폭력 살인 · I: 보험 살인 · K: 납치 살인 · L: 아동 살해 · M: 대량살인 · N: 국가행정조직 연루 · R: 강도살인 · S: 성폭력 살인 · St: 스토킹 살인 · V: SNS 연루 · Y: 청소년 범죄 · ?: 미제사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min-height:2em"{{{#!folding [ 고조선 ~ 대한제국 ] | 섭하 사건 (B.C. 109) · 저고여 피살 사건N ? (1225) · 다루가치 살해사건 (1232) · 임오화변H (1762) · 평안 박여인 살인사건 (1784) · 김은애 사건H (1790) · 민승호 암살 사건M N ? (1874) · 을미사변M N S (1895) · 치하포 사건N (1896) |
- [ 일제강점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제암리 학살사건A M N (1919) · 백백교 사건M (1920~1941) · 이판능 사건M (1921) · 주문학 살인사건 (1921) · 김립 피살 사건N (1922) · 진남포 소아 참살 사건L S ? (1924) · 빈주 사건M N (1925) · 고무신 살인사건 (1926) ·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K L S ? (1926) · 불륜처 변사사건 (1927) · 머슴 살인사건 (1928) · 이관규 연쇄살인 사건C L S (1929)· 청양 소년 살인사건? (1930) · 부산 마리아 참살사건? S (1931) · 이승만 살인사건? (1932) · 평남 모친 살해 사건H (1932) · 사천 복수극 사건 (1932) · 옥관빈 피살사건N (1933) · 신의주 비행장 여성 시체 사건 (1933) · 순안 유부녀 알몸 살인 사건 (1936) · 강원도 유부녀 독살범 사건C (1939) ||
- [ 광복 ~ 196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윤명선 피습 사건N R (1946) · 여운형 암살사건 (1947)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49) · 문경 양민 학살사건A L M N (1949) ·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N M (1950) ·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N M(1950) · 열차 내 강간 살인 사건S ?(1953) · 불륜처 타살사건N (1954) · 이금순 피살 사건 (1957) · 진보당 사건N (1958) ·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N (1959) · 장기 훈수 살인 사건 (1960) ·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N (1962) · 창신동 치정 살인 사건 (1962) · 고재봉 살인 사건M N (1963) · 수원 지지대고개 살인 사건 (1963) · 춘천호 여인 토막 살인사건 (1965) · 평창동 불륜처 살해 사건 (1965) · 김근하 유괴 살인 사건K ? (1967) · 마산 소년 토막 살인 사건 L ? (1967) · 이천 여교사 알몸 피살 사건? (1968) ·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M N (1968) · 종암동 여관방 유부녀 살인 사건S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N (1968) · 교북동 자매 살인 사건 (1969)||
- [ 197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70 ||정인숙 살해사건N ? · 탤런트 유연우 피살 사건 · 양구 다방 인질극 사건 · 양주 두 어린이 유괴 살인 사건K L ||
1971 공덕동 유부녀 반나체 피살 사건? 1972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N S ? · 구로동 카빈 강도사건C K R(~1974) 1974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N · 김상범 유괴 살인 사건K L ? · 임병석 법정증인 살인사건 · 인천 일가족 살인사건 · 박분례 보험 살인사건I (~1975) ·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N R 1975 김대두 사건C S R ·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사건C L ? · 월배 가출소녀 강간 살인 사건S ·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6 방영근 사건R 1977 박흥숙 살인 사건M · 왜관역 토막 살인 사건L ? 1978 백화양조 여고생 살인 사건Y 1979 금당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사건K R · 부산 송도 40대 여인 토막 살인 사건H · 완주·목포·남양주 연쇄살인사건C L Y(~2023) · 이양길 토막 살인 사건 · 여의도 반도호텔 현지처 살인 사건 · 10.26 사건M N
- [ 198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80 ||<width=1000>5.18 민주화운동/학살M N ·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K (~1981) ·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M N ||
1981 원효로 윤노파 피살사건? 1982 우순경 사건M N · 사진작가 이동식 살인사건S 1983 강동 카바레 독살 사건? · 청산가리 우유 독살 사건I · 공주 연쇄살인 사건C S R (~1987) 1984 홍석진 유괴 살인 사건K L ? 1985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M N 1986 서진 룸살롱 집단 살인 사건M · 김선자 연쇄 독살사건C (~1988) ·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C S R (~1991) 1987 수원 여고생 강간 살인 사건S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N K · 전용운 연쇄살인 사건C S R · 원혜준 유괴 살인 사건K L 1988 화성 연쇄살인 8차 사건N S · 남양파출소 경관 피살사건 · 미국인 학원강사 피살사건? · 부산 백양산 연쇄살인 사건C ? (~1991) · 화양동 세 남매 살인 사건L M · 중곡동 세 모자 살인 사건L M 1989 오이균 미성년자 연쇄살인 사건C L S Y · 신창원 강도치사 사건R · 5.3 동의대학교 사태A K M N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N · 화성 초등학생 실종사건K L N S · 심영구 사건C R
- [ 199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90 ||샛별룸살롱 살인 사건C S R · 부산 엄궁동 2인조 살인사건S R ? · 경부·호남고속도로 트럭 연쇄 피습 사건C R ? · 곽재은 유괴 살인 사건K L · 혈액형 살인사건L M ·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 강도 살인 사건R ·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 지춘길 사건C A R · 영천 갈마골 토막 살인 사건? · 유명 공인회계사 피살사건? · 김희성 유괴 살인 사건K L · 이완희 유괴 살인 사건K L ·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C · 선산군 여고생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송림동 토막 살인 사건 · 구미 애인 강간범 살해사건S ||
- [ 200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00 ||서울 종로구 여중생 살인사건Y · 김해선 사건C S · 부산 미용사 살인사건S ? · 부산 온천동 오락실 강도살인사건R · 안산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C S R · 무기수 김신혜 사건? · 이은석 존속살해 사건H · 인천 계양구 놀이터 살인 사건L ? ·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N R Y · 만봉천 예비간호사 살인 사건? · 청주 미용강사 살인 사건? · 분당 여자 변사체 전소사건? · 전주 택시회사 경비원 살인 사건? · 엄 여인 보험 살인사건C A I (~2005) ||
- [ 201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10 ||김길태 살인사건S K L · 대구 아내 살인사건? · 남양주 아파트 밀실 살인사건? · 목포 여대생 살인 사건? · 부산 부전동 모텔 여주인 살인사건? · 부산 시신 없는 살인 사건 · 진주 연쇄 살인사건C R · 경기도 양주 친모 성폭행 살인사건S · 울산 부곡동 살인 사건? · 잠원동 묻지마 살인사건 · 하왕십리동 방화 살인 사건A Y · 함안 방앗간 노파 살인 사건? · 홍은동 여중생 살해 시신 유기 사건Y · 화성 여고생 살인 사건 ||
- [ 20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20 ||광진구 클럽 살인사건 · 종로구 주점 살인사건 · 효창동 묻지마 살인사건 · 진주 일가족 살해사건 · 최신종 사건C K R S · 동작구 장롱 시신 살인사건L · 창원 고깃집 여주인 살해사건 · 천안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L · 평택파주고속도로 음주운전 뺑소니 사건 · 용인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미추홀구 50대 남성 살해사건? · 경인아라뱃길 훼손 시신 사건? · 원주 아파트 일가족 살인사건A · 제주 오일장 살인사건R · 당진 자매 살인사건R · 무의도 가방 시신 사건 · 대구 새마을금고 살인 사건 · 인제 등산객 살인사건 · 양산 60대 여성 살인 및 사체유기 사건 · 인천 강화군 친누나 살인사건 (~2021)· 김해 응급구조사 살인사건 · 수원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L · 속초 폭행 사망 사건 · 양천구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H L · 해남 이혼부부 살인사건H ||
[1] 이현주(李賢周),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47권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217쪽.[2] 박환, 신민부의 이념, 한민족독립운동사 4 4권 독립전쟁.[3] 이현주(李賢周),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47권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233쪽.[4] 박환, 신민부의 활동, 한민족독립운동사 4 4권 독립전쟁.[5] 박영석, 白冶 金佐鎭將軍硏究, 國史館論叢 第51輯, 198쪽.[6] 박영석, 白冶 金佐鎭將軍硏究, 國史館論叢 第51輯, 199쪽.[7] 이현주(李賢周),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47권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233쪽.[8] 채영국(蔡永國),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50권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282쪽.[9] 박영석, 白冶 金佐鎭將軍硏究, 國史館論叢 第51輯, 199; 이현주(李賢周),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47권 1920년대 재중항일세력의 통일운동, 233쪽; 채영국(蔡永國),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50권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282쪽; 박환, 신민부의 활동 , 한민족독립운동사 4 4권 독립전쟁.[10] 채영국(蔡永國), 한국독립운동의 역사 - 제50권 1920년대 후반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283쪽[11] 박영석, 白冶 金佐鎭將軍硏究, 國史館論叢 第51輯, 199.[12] 박환, 김좌진 평전, 2010, 7장 부분 참고. 2016년에 개정판이 나왔는데 개정판에선 8장으로 수정된 것으로 추정된다.[13] 치하포 사건은 외국인인 일본인을 죽인 것이며 그 과정에서 다른 한국인의 피해는 없었다. 거기다 당시 을미사변 때문에 반일감정이 극에 달했기 때문에 저런 사건이 일어나도 크게 이상할 건 없었다.(이때 쓰치다가 조선인으로 신분을 위장한 것도 반일 감정이 극에 달한 것을 알고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러나 빈주 사건은 지원금을 주지 않고 신민부를 탈퇴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그것도 신민부 본인들의 잘못 때문에 나간 것이다.) 같은 한국인들을 무참히 학살했기 때문에 차원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