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15:30:05

터널/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터널

1. 대한민국
1.1. 도로
1.1.1. 수도권1.1.2. 강원특별자치도
1.1.2.1. 고속도로1.1.2.2. 국도1.1.2.3. 지방도1.1.2.4. 기타
1.1.3. 충청도
1.1.3.1. 고속도로1.1.3.2. 국도1.1.3.3. 지방도1.1.3.4. 기타
1.1.4. 경상도1.1.5. 전라도
1.2. 철도
1.2.1. 수도권1.2.2. 강원도1.2.3. 충청도1.2.4. 경상도1.2.5. 전라도
1.3. 기타
2. 북한
2.1. 도로
3. 기타 국가
3.1. 도로3.2. 철도

[clearfix]

1. 대한민국

1.1. 도로


2022년 5월 19일 11시 기준, 등록되어 있는 도로터널은 1,513개이다.[1] 다만, 상행 하행 분리 등을 위해 2개 이상의 굴을 뚫고 하나의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아주 많으므로 실제 굴의 개수는 이보다 많다. 그리고 나무위키에 등록되지 않은 굴이 아직 있을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에는 터널이 없다.

1.1.1. 수도권

1.1.1.1. 고속도로
1.1.1.2. 국도
1.1.1.3. 지방도
1.1.1.4. 도시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1.1.1.5. 기타

1.1.2. 강원특별자치도[19]

1.1.2.1. 고속도로
1.1.2.2. 국도
1.1.2.3. 지방도
1.1.2.4. 기타

1.1.3. 충청도

1.1.3.1. 고속도로
1.1.3.2. 국도
1.1.3.3. 지방도
* 617번 지방도
1.1.3.4. 기타

1.1.4. 경상도[94]

1.1.4.1. 고속도로
1.1.4.2. 국도
1.1.4.3. 지방도
1.1.4.4. 도시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1.1.4.5. 기타

1.1.5. 전라도

1.1.5.1. 고속도로
1.1.5.2. 국도
1.1.5.3. 지방도
1.1.5.4. 도시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자동차전용도로
1.1.5.5. 기타

1.2. 철도

1.2.1. 수도권

1.2.2. 강원도

1.2.3. 충청도

1.2.4. 경상도

1.2.5. 전라도

1.3. 기타

2. 북한

2.1. 도로

3. 기타 국가

3.1. 도로

3.2. 철도


[1] 터널명은 총 1,526개가 등록되어 있지만, 13개의 터널은 2개의 지역의 경계에 위치하여 2번씩 기재되었기 때문에 실제 수는 13개가 적다. 등록된 터널 수를 세는 방법은 간단한데 도로터널에 해당하는 부분만 내용을 복사한 후 Ctrl+F를 통해 '터널'이 몇 번 등장하는지 확인하면 된다. 바로 이 문단의 설명문을 제외하면 아래에서는 오직 터널을 나열할 때에만 '터널'이라는 단어가 들어간다. 단 신월여의지하도로서부간선지하도로의 개통으로 '터널'로 검색하면 잡히지 않는 사례가 딱 둘 생겼으므로 개수 업데이트 시 주의 바람.[2] 추후 미개통구간 완공 시 본선에서 제외될 구간이지만 현재는 본선의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함께 기재한다. 추후 이 구간의 노선 지정에 변동이 있을 시 수정 바란다.[3] 같은 노선번호를 사용하는 오산화성고속도로는 터널이 없다.[4] 해당 구간은 개통 당시부터 위 → 아래 순으로 이름이 붙었기에 번호 체계 개정으로 기종점이 변경되었음에도 터널의 이름이 바뀌지 않았다.[5] 심야괴담회 여덟번째 트럭 에피소드에서 투고자가 2012년 여름 터널안에서 공포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때 경험을 했다는 터널사진이 바로 금사5터널이었고 당시 개통, 준공을 몇개월 앞둔 시점으로 보인다.[6] 광주원주고속도로 금사터널과 헷갈리지 말것.[경계-1] 경기 안성충북 진천의 경계에 걸쳐 있다.[경계-2] 경기 양평강원 원주의 경계에 걸쳐 있다.[9] 양양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경계-3] 경기 가평강원 홍천의 경계에 걸쳐 있다.[11] 광주대구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2] 전 터널 성남이천로와 중복[13]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곤지암1터널로 불렸다.[14] 양평 방면 터널은 두 구간으로 나누어져 있고 사이에 터널이 없는 구간이 있으므로, 총 굴 개수는 3개로 계산한다.[경계-4] 경기 양평강원 횡성의 경계에 걸쳐 있다.[16] 서울특별시 최초의 도로 터널.[경계-5] 강원 화천경기 가평의 경계에 걸쳐 있다.[18] 엄밀히 따지자면 전 구간 국회대로를 따라 있는 터널은 아니나, 대부분 구간에서 국회대로 지하를 따라가므로 이와 같이 분류한다.[19] 타 지역에 비해 산이 많다 보니 터널의 개수도 월등하게 많다.[20] 춘천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 또한 치악 1~4터널은 치악산국립공원을 통과하지 않는다.[5번국도] 5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5번국도] 5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3] 대관령1터널을 제외한 모든 대관령터널들은 강릉시에 속한다[경계-2] [경계-3] [26] 46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7] 2022년 3월 20일 오후 7시 35분 12초 기준 대한민국 최장의 도로 터널이다.[28] 서울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중복-19,42] 19번 국도, 42번 국도와 중복[중복-6] 6번 국도와 중복[31] 중앙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32] 중앙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33] 59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56] 56번 국도와 중복[경계-4] [중복-35] 35번 국도와 중복[경계-6] 강원 태백경북 봉화의 경계에 걸쳐 있다.[중복-35] [중복-35] [중복-38,59] 38번 국도, 59번 국도와 중복[중복-38,59] [중복-38,59] [중복-42] 42번 국도와 중복[경계-7] 강원 영월충북 제천의 경계에 걸쳐 있다.[중복-59] 59번 국도와 중복[중복-59] [중복-59] [중복-59] [중복-59] [50] 두문동재터널이 정선 → 태백 방향, 두문동재2터널이 태백 → 정선 방향으로, 둘 모두 일방통행이다. 왜 이런 구조가 되었냐 하면, 기존에 두문동재를 넘는 도로가 상당히 험해서 그 구간을 대체할 목적으로 왕복 2차로의 두문동재터널을 만들었는데, 38번 국도를 4차선으로 확장하게 되면서 (한 차례의 개량을 거쳤음에도 여전히 180° 커브 2개가 연속으로 있는 등 선형이 좋지 않았던) 기존의 도로는 태백 방향 일방통행으로 전환하고, 정선 방향으로는 용소골 입구부터 두문동까지 훨씬 선형이 좋은 새 도로를 놓으면서 두문동재2터널을 뚫어 현재의 상황이 된 것이다. 그리고 참고로 38번 국도에서 제일 높은 지점이 두문동재터널 입구 지점으로, 해발 1048미터다. 이 지점은 대한민국의 모든 편도 2차로 이상의 도로 중에서 가장 높은 해발고도를 자랑한다.[51] 정선 → 평창 방향 터널의 길이가 평창 → 정선 방향 터널의 길이의 두 배 가까이 되는데, 위의 두문동재터널과 같이 원래는 현재의 평창 → 정선 방향 터널만 있었으나, 42번 국도가 확장되면서 기존의 도로는 (소소한 개량과 함께) 일방통행으로 전환하고 정선 → 평창 방향으로는 선형이 더 좋은 새 도로를 건설하며 터널을 뚫은 사례이다. 이 경우 두 터널의 명칭은 하나로 유지되었다는 것이 차이점.[52] 이 터널 또한 정선 → 평창 방향 터널의 길이가 평창 → 정선 방향 터널의 길이의 1.5배 정도 된다. 멧둔재터널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53] 56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46] 46번 국도와 중복[55] 서울양양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56] 42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57] 5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5] [59] 인제군 서화면 서흥리 - 북면 용대리 간을 잇는 터널이다.[60] 경북 경주에 있는 7번 국도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61] 지도에 표시되지 않는다. 460번 지방도 도고터널 인근 옛 길에 있는 터널. 터널 이름은 공사를 진행한 21사단 백호부대에서 따온 것이다. 차량 통행은 가능하나 사실상 폐도. 참고자료[62] 당진영덕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 양양군 서면 영덕리에 위치.[63] 신상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며 신상로의 대전터널이 옛 경부고속도로 구간이다.[64] 호남고속도로의 명칭인 구간도 충청도 내에 있으나, 해당 구간에 터널이 없기에 기재하지 않는다.[65] 23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 그리고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상습정체구간으로 악명이 높으며 사고가 잦은 터널이니 각별히 주의하도록 하자.[66] 평택제천고속도로 의 안진터널이 성 - 천 터널이라면, 정우터널은 공주시 정안면과 우성면을 잇는다고 해서 안 - 성 터널인 것이다.[경계-8] 충북 괴산경북 문경의 경계에 걸쳐 있다.[경계-9] 충북 단양경북 영주의 경계에 걸쳐 있다.[69] 32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70] 32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71] 피반령이라는 명칭은, 고개가 험해 넘으면 발이 피칠갑이 된다고 피발령이라 부른 것에서 유래했다고 한다.[경계-1] [73] 제천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중복-34] 34번 국도와 중복[경계-10] 충북 괴산경북 문경의 경계에 걸쳐 있다.[중복-19,36] 19번 국도, 36번 국도와 중복[경계-11] 충북 영동전북 무주의 경계에 걸쳐 있다.[78] 21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40] 40번 국도와 중복[80] 19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43] 43번 국도와 중복[82] 논산천안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83] 서산영덕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84] 서산영덕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7] [86] 서울에 있는 구룡터널과 이름이 같다. 청주시 서원구 구룡산에 위치.[87] 1970년 7월 경부고속도로 대전~동대구 구간 개통때 개통한 터널. 이후 선형개량으로 도로가 이설되고 새로운 대전터널이 개통되면서 일반도로로 격하되었다. 지도와 위성사진을 보면 구 경부고속도로의 흔적이 있으며, 대전터널 동쪽으로는 구 경부고속도로가 일반도로로 바뀌어 그대로 남아있는 반면, 서쪽으로는 현 경부고속도로와 루트가 겹치는 관계로 진출 램프만 남긴 채 폐도로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88] 영동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에 위치.[89] 옛 경부고속도로 선형개선사업 후 일반 지방도로 격하된 도로로, 묘금리에서 가곡리 방향 남쪽 터널으로는 왕복 2차선으로 차량이 통행하지만 가곡리에서 묘금리 방향 북쪽 터널은 막혀있고, 한국도로공사 소유의 터널 방재시험장이 설치되어있다.[90] 원래 이름은 당재터널이었다. 이 구간이 이설, 고속도로에서 해제되며 2003년에 무료화되었다. 현재 왕복 2차로로 운영중이며 한쪽은 김치저장고(...)로 사용중이다.[91] 위의 대전터널과 마찬가지로 1970년 7월 경부고속도로 대전~동대구 구간 개통 당시 개통한 터널이며. 이후 선형개량으로 도로가 이설되고 새로운 증약터널이 개통되면서 일반도로로 격하되었다. 대전 동구 신상동 산 3-4 소재. 현재는 터널 입구에 대덕터널이라고 붙여놨다.[92] 역시 1970년 7월 경부고속도로 대전~동대구 구간 개통 당시 개통한 터널로 2006년 12월 선형개량이 완료되어 새로운 터널로 이설된 후 폐도로 남은 터널이다. 여담으로 경부고속도로 황간터널 이설과 동시에 산을 빙둘러가던 경부선 철도도 이설되어 산을 터널로 지나가게 되었다. 충북 영동군 황간면 광평리 산 28-3 소재.[93] 폐도로 방치된 터널임에도 불구하고 터널 바로 앞까지 차를 타고 가볼 수 있다. 심지어 터널 안쪽으로 들어가 볼 수도 있다! 단, 한쪽 방향은 펜스로 막혀있어 차량이 통과해서 지나다닐수는 없다. 말 그대로 방치된 터널로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풍긴다.[94] 부산은 배산임수 지형으로 인하여 평지보다는 산지가 더 많아 교통여건이 매우 열악한 편이다. 따라서 원활한 도로 교통망 구축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터널이 많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터널의 건설을 위해 많은 공사비용이 투입되었고 민자사업 등이 추진되었기 때문에 일반 시민들의 이용료 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 번영주차장, 구덕터널, 만덕지옥이 무료화 되었으며 2010년에 황령지옥동서지옥이 무료화되었다. 하지만 다른 대도시에 비하면 유료도로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라 시민들의 부담이 되고 있다. 부산 이외의 경상도 지방 역시 강원도에 밀리지 않을 정도로 산이 많은 데다가, 면적도 넓고 인구도 많아 매우 많은 수의 터널을 보유하고 있다.[95] 의외라면 의외겠지만, 경부고속도로 경상도 구간 전체에서 터널은 경주터널이 유일하다. 참고로 20번 국도에 있는 경주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12] 경남 함양전북 장수의 경계에 걸쳐 있다.[97]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 2위 터널로 이름난 교통사고 다발구간. 중부내륙고속도로의 사고 대부분이 모두 이 터널에서 발생했다. 각별히 주의하도록 하자.[98] 내서IC부터 김천JC까지는 터널/다리 등 시설물 명칭의 번호가 내서 → 김천 방향으로 숫자가 커지도록 되어 있으나, 그 이후 구간에서는 반대로 문경 → 김천 방향으로 숫자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이유는 알 수 없다.[경계-8] [100] 상행, 하행 모두 교통사고 다발구간. 이 터널이 위치한 구간은 남쪽의 동명휴게소부터 북쪽의 다부IC까지 완만한(하지만 대형차량은 속도가 크게 떨어지거나 마구 높아지는) 오르막 경사 구간이다. 이로 인해, 교통량이 몰리는 시간대(오전에는 상행, 저녁에는 하행 구간)에 끼어들기나 과속, 안전거리 미확보, 전방주시 태만으로 인한 사고가 매우 많이 일어난다. 다만, 워낙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구간이라 교통사고가 일어나면 사고가 크게 나지 않는 이상은 사고정리가 빠르며(그래도 출퇴근 시간대에 사고나면 상행은 동명휴게소, 하행은 가산IC를 지난 오르막 구간부터 밀린다.) 출퇴근 시간만 지나면 통행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다,(뒤집어 말하자면, 출퇴근 시간에는 교통정체가 심하다. 특히 금요일에 퇴근시간에는 더더욱.)[101] 상주영천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9] [103] 터널에서 부산방향으로는 요금소가 없지만 동부산IC에서 해운대에서 온 차에도 요금을 부과하기에 엄연히 유료 구간이다.[104] 부산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105] 부산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106]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 최다 발생 터널이다. 터널에 진입한 직후 극심한 정체로 인해 급감속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매우 위험하다. 남해고속도로 9중 추돌사고 참조. 지나갈 때 제발 안전운전하자. 사고나면 골치아프다.[107] 전국 고속도로 교통사고 발생 전국 3위 터널이다. 편도 4차로에서 2차로로 차로가 급격히 감소하는 병목 현상으로 차들이 속도를 갑자기 줄이는 경우가 많아 사고가 많이 일어난다.[108] 경북 고령경남 합천의 경계에 걸쳐있다.[109] 광주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110] 26번 국도의 터널이나, 폐도된 옛 88올림픽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11] 대구 동구경산의 경계에 걸쳐있다. 현재 대구 방향은 구간단속 구간이다.[112] 영덕 방향만 터널이 존재한다.[113] 국내에서 터널 연번이 가장 많은 터널이다. (2위는 화촌9터널)[114] 중앙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15] 도로 터널 목록이니만큼 당연하겠지만, 그 유명한 철도 터널이 아니다. 진영 방향 7,087m, 기장 방향 7,190m짜리 도로 터널로, 금정산을 동서로 관통하는 고속도로 터널로서 2018년 2월 7일에 개통하였다. 양방향 100km/h 구간단속이다. 특이한 점은 차선이 실선이 아니라 점선으로, 터널 내에서 차선 변경이 가능하다.[중복-77] 77번 국도와 중복[중복-77] [중복-77] [중복-77] [중복-77] [중복-14,77,79] 14번 국도, 77번 국도, 79번 국도와 중복[중복-14,77,79] [중복-14,77] 14번 국도, 77번 국도와 중복[중복-24,26,37] 24번 국도, 26번 국도, 37번 국도와 중복[중복-24,26,37] [중복-34] 34번 국도와 중복[경계-10] [중복-35] 35번 국도와 중복[중복-36] 36번 국도와 중복[130] 강원 영월에 있는 일반도로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31] 경부고속도로에 있는 경주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58] 58번 국도와 중복[133] 밀양시청 → 밀양경찰서 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134] 폐도된 옛 88올림픽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35,36] 35번 국도, 36번 국도와 중복[중복-35] 35번 국도와 중복[중복-35] [중복-35] [중복-35] [중복-35] [중복-35] [중복-35] [경계-6] [144] 계정터널로 표시된 지도도 있다.[중복-35] [경계-13] 경남 거창전북 무주의 경계에 걸쳐 있다.[147] 여담이지만, 이 저도가 대통령 별장인 청해대가 있는 그 섬이다.[148] 정관 → 양산 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149] 통영 시내 → 북통영IC 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150] 사동터널로 도로가 이설되기 전에는 가두봉을 둘러가는 구간에 통귀리피암터널이 있었으나, 울릉공항 공사로 가두봉이 절취되며 철거되었다.[151] 2010년 1월에 무료화되었다.[152] 개통 당시에는 유료터널이었으나 2012년 8월 1일부로 무료화 되었다.[153]구마고속도로 본선 구간이었으며, 도로 이설 이후로는 달성IC 진입로로 변경되었다.[통행중지] [통행중지] [156] 울산 동구에 있는 터널. 영동고속도로에 있는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57] 1949년에 개통됐으며 1979년 태풍 '주디' 당시 터널을 지나던 시민들을 대피시키다 갑작스런 산사태로 인해 해군 헌병 8명이 순직했으며 터널 입구에 추모비가 있다. 1985년 장복터널의 개통전까지 창원시 마산합포구와 진해구를 잇는 도로 역할을 했다. 왕복 2차선이다.[158] 31번 국도, 35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 이 터널은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존재한다.[159] 남해안대로 상의 터널로 앞뒤로 2번 국도1030번 지방도와 직결되어 있으나 양쪽 모두에 속해있지 않다.[88올림픽고속도로] [88올림픽고속도로] 폐도된88올림픽고속도로의 터널.[162] 현재도 이용되는 26번 국도의 터널이나, 현재도 이용되는 광주대구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63] 90번 지방도의 일부였으나, 사동터널이 개통되면서 지정 해제 및 폐도되었다. 이 피암터널이 설치된 가두봉이 울릉공항 부지로 편입되어 절취 중이기 때문에 부활 가능성은 전혀 없으며, 철거 여부는 불명이다.[88올림픽고속도로] [165] 1번 국도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66] 순천완주고속도로 사매2터널 31중 추돌사고 참사가 발생했던 터널이다.[경계-12] [168] 19번 국도 상의 터널이나 27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69] 순천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170] 기점이 광주이고 종점이 대구이므로 담양1터널 → 담양2터널 순으로 만나게 되는 것이 정상이나, 이 두 터널만 순서가 바뀌어 있다.[171] 현재는 일반도로로 쓰이고 있는 옛 88올림픽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72] 대구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173] 양방향 모두 터널을 통과하는데, 그 사이에 터널 천장을 받치는 기둥이 없이 일반 중앙분리대만 이어진다. 고속도로 터널구간이 이런 형식을 띄는 곳은 여기가 유일.[미개통] 아직 개통되지 않았다. 2023년 개통 예정이다.[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미개통] [183] 호남고속도로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84] 29번 국도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21] 21번 국도와 중복[중복-21] [중복-18] 18번 국도와 중복[중복-27] 27번 국도와 중복[중복-27] [중복-77] 77번 국도와 중복[191] 망양로 상의 터널이나 철도 터널, 레일바이크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92] 남원시에 있는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93] 송치1터널이 순천 → 구례 방면, 송치2터널이 구례 → 순천 방면 터널이다.[194] 여수시에 있는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195] 남해고속도로 상의 터널이나 27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30,37] 30번 국도, 37번 국도와 중복[197] 무주군에 있는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30] 30번 국도와 중복[199] 장수군에 있는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11] [중복-29] 29번 국도와 중복[202] 남해고속도로 상의 터널이나 19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03] 49번 지방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04] 보성 → 화순 방면만 터널이 존재한다.[205] 1번 국도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77] [207] 장삼재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경계-13] [중복-12] [210] 27번 국도 상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중복-840] 840번 지방도와 중복[212] 광주대구고속도로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 옛 88올림픽고속도로의 일부분이었다.[213] 17번 국도상의 터널이나 철도 터널, 레일바이크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14] 30번 국도의 터널과는 다른 터널이다.[215] 오이도 방면 기준으로 동작역 출발 후 바로 들어가는 짧은 터널만 해당된다. 터널을 빠져나온 후 지상구간을 다시 거쳤다가 완전한 지하구간으로 진입한다. 도시철도 터널 중에서는 유일하게 관통형 터널인만큼 유일하게 공식 명칭을 가지고 있는 터널이다.[216] 개통 후 명칭 변경될 가능성 있음[217] 달빛마을 2단지 인근에 있는 짧은 터널만 해당[218] 공항철도쪽 터널입구에 있는 명판에는 "수색직결터널"이라고 되어있지만, 경의선쪽 터널입구에 있는 명판에는 "수색직결선터널"이라고 되어있다.[219] 개통 후 명칭 변경될 가능성 있음[220] 회차선 구간 포함[221] 현재 폐지된 구간으로 레일바이크로 활용중[222] 현재 폐지된 구간으로 ?터널로 개명되어 레일바이크로 활용중[223] 현재 폐지된 구간으로 해피버블터널로 개명되어 레일바이크로 활용중[224] 현재 폐지된 구간으로 레일바이크로 활용중[225] 현재 폐지된 구간으로 레일바이크로 활용중[226] 터널명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음[227] 터널명 정확하지 않을수도 있음[228] 정확히 "황학터널"이 맞으며, 인터넷에 "황악터널"이라고 잘못 알려저 있는 경우가 꽤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