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8 18:12:53

아무르표범

한국표범에서 넘어옴
<rowcolor=#ffffff> 대한민국의 야생 고양이과 동물
(아무르삵)현존
호랑이(시베리아호랑이)지역 절멸 표범(아무르표범)지역 절멸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D92A1C> 파일:스크린샷 2024-09-21 오후 5.08.30.jp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가나다 순으로 항목 정렬
※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 # 표시가 뒤에 붙어있는 동물은 아종
야생 절멸 (EW)
바바리사자# · 벨로리빗사 · 사불상 · 칼상어 · 케이프사자#
위급 (CR)
가는부리대머리수리 · 가래상어 · 가비알 · 갠지스상어 · 거친우산문어 · 검은머리촉새 · 검은볏긴팔원숭이 · 검은짧은꼬리원숭이 · 검은코뿔소 · 검자주복 · 고비불곰# · 구티 사파이어 오너멘탈 · 귀천산갑 · 남중국호랑이# · 넓적부리도요 · 다마가젤 · 대모잠자리 · 동부고릴라 · 두건독수리 · 둥근귀코끼리 · 디윈턴황금두더지 · 레드테일블랙샤크 · 레무르잎개구리 · 루펠독수리 · 말레이천산갑 · 매부리바다거북 · 메콩자이언트메기 · 모래뱀상어 · 목화머리타마린 · 바베이도스실뱀 · 바키타 · 반텡 · 방사거북 · 베타 루틸란스 · 베타 미니오핀나 · 베타 부르디갈라 · 베타 오메가 · 베타 크라켄스 · 베타 클로로파링스 · 베타 푸스카 · 베타 핑귀스 · 베타 헨드라 · 벵골대머리수리 · 보르네오오랑우탄 · 보르네오코끼리# · 보트롭스 인술라리스 · 부세 · 북부흰코뿔소#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늑대 · 붉은머리독수리 · 붉은정강이두크 · 뿔제비갈매기 · 사올라 · 샴악어 · 서부고릴라 · 서부로랜드고릴라# · 서인도양실러캔스 · 수마트라오랑우탄 · 수마트라코뿔소 · 숲상어 · 스캘로프드보닛헤드상어 · 스쿱헤드상어 · 시베리아철갑상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아닥스 · 아라비아표범# · 아무르표범# · 아시아대왕자라 · 아시아치타# · 아시아큰거북 · 아프리카야생당나귀 · 아프리카펭귄 · 아홀로틀 · 안고노카거북 · 알프레디리코리스구라미 · 앤더슨도롱뇽 · 야생쌍봉낙타 · 양쯔강대왕자라 · 양쯔강돌고래 · 양쯔강악어 · 에스키모쇠부리도요 · 오르나티카우다리코리스구라미 · 오리노코악어 · 원앙사촌 · 유럽밍크 · 유럽뱀장어 · 유황앵무 · 이리오모테삵# · 이집트땅거북 · 이토 · 인도독수리 · 인도차이나표범# · 자바코뿔소 · 자이언트바브 · 작은눈귀상어 · 장완흉상어 · 전자리상어 · 중국장수도롱뇽 · 중국줄무늬목거북 · 징기스칸 · 철갑상어 · 카카포 · 카스피해늑대# · 칼루가철갑상어 · 캘리포니아콘도르 · 켐프각시바다거북 · 쿠바악어 · 쿠프레이 · 큰귀상어 · 큰머리거북 · 큰철갑상어 · 타파눌리오랑우탄 · 팔라완천산갑 · 페르시아놀란도마뱀붙이 · 필리핀수리 · 필리핀악어 · 홍살귀상어 · 흰등독수리 · 흰머리독수리 · 흰수마자 · 히롤라
위기 (EN)
가이양 · 갈라파고스물개 · 갈라파고스펭귄 · 강거두고래 · 개리 · 개상어 · 검은잎원숭이 · 검은코상어 · 고래상어 · 골리앗개구리 · 굿펠로우나무타기캥거루 · 귀머거리도마뱀 · 그레비얼룩말 · 그물무늬기린 · 금빛허리코끼리땃쥐 · 긴칼뿔오릭스 · 까치상어 · 나무타기천산갑 · 나일리추에 · 난쟁이도요타조 · 난쟁이푸른양 · 날개머리상어 · 남방참다랑어 · 남부돼지꼬리원숭이 · 남생이 · 납작머리삵 · 낫지느러미레몬상어 · 노란눈펭귄 · 노란배측범잠자리 · 노란뺨긴팔원숭이 · 뉴질랜드장어 · 느시 · 단순청상아리 · 달마수리 · 대왕고래 · 대왕쥐가오리 · 돌묵상어 · 돼지코거북 · 드릴 · 디블러 · 딩기소 · 따오기 · 떡붕어 · 레드슬레이트오너멘탈 · 레서판다 · 로즈라인바브 · 리코리스구라미 · 림가젤 · 마운틴가젤 · 마운틴리드벅 · 말레이가비알 · 말레이맥 · 말레이큰박쥐 · 말레이호랑이# · 몽골야생말# · 문조 · 바바리원숭이 · 바위뉴질랜드굴뚝새 · 발루치스탄흑곰# · 뱀잡이수리 · 뱀장어 · 버마승냥이# · 베이사오릭스 · 베타 리비다 · 베타 안토니 · 베타 알비마르기나타 · 베타 칸노이데스 · 베타 키니 · 베타 투시아이 · 베타 페르세포네 · 베타 포이르스키 · 베타 피 · 베타 힙포시데로스 · 벵골호랑이# · 별상어 · 보노보 · 보닛헤드상어 · 보르네오황금고양이 · 보리고래 · 보세마니무지개고기 · 부안종개 · 북미흰두루미 · 북방긴수염고래 · 북부바위뛰기펭귄 · 붉바리 · 붉은무지개고기 · 붉은볼따오기 · 붉은스틴브라스 · 붉은어깨도요 · 블래키스톤물고기잡이부엉이 · 사이마고리무늬물범# · 사자꼬리원숭이 · 산니알라 · 산악고릴라# · 산호두꺼비고기 · 산호상어 · 상괭이 · 설카타거북 · 세인트루시아보아 · 수원청개구리 · 수달사향고양이 · 수마트라승냥이# · 수마트라호랑이# · 스리랑카느림보곰# · 스텔렛철갑상어 · 스피키가젤 · 승냥이 · 시베리아호랑이# · 아라비아늑대# · 아마존강돌고래 · 아시아사자# · 아시아아로와나 · 아시아코끼리 · 아이아이 · 아프리카들개 · 아프리카코끼리 · 안데스산고양이 · 알락꼬리마도요 · 알락꼬리여우원숭이 · 야생말 · 얼룩말상어 · 얼룩매가오리 · 에티오피아늑대 · 오네이트파라다이스피쉬 · 오스트레일리아폐어 · 오카피 · 왕눈물떼새 · 우수리승냥이# · 이집트독수리 · 인도강돌고래 · 인도차이나호랑이# · 인도천산갑 · 임실납자루 · 자바공작 · 자바뿔매 · 자바표범# · 저어새 · 점박이거북 · 조프루아거미원숭이 · 주름얼굴독수리 · 주머니개미핥기 · 중국악어도마뱀 · 쥐가오리 · 청다리도요사촌 · 청상아리 · 초원수리 · 침팬지 · 카구 · 카리브암초상어 · 카스피물범 · 케아 · 케이프가넷 · 코모도왕도마뱀 · 코주부원숭이 · 큰긴팔원숭이 · 큰민어 · 큰수달 · 큰양놀래기 · 큰천산갑 · 태즈메이니아데블 · 토바베타 · 토쿠원숭이 · 투르크멘쿨란# · 페르시아다마사슴 · 페르시아표범# · 푸른나무왕도마뱀 · 푸른무지개고기 · 푸른바다거북 · 프랑수아랑구르 · 플레임테트라 · 피그미멧돼지피그미하마 · 필리핀원숭이 · 하르베이리코리스구라미 · 하와이몽크물범 · 해달 · 헨다손매 · 호랑이 · 호사비오리 · 환도상어 · 황금들창코원숭이 · 황금볏과일박쥐 · 황새 · 회색관두루미 · 후흔 · 흉상어 · 흑상어 · 흰뺨상어 · 흰손긴팔원숭이 · 흰점배무늬수리 · 히말라야잉어
취약 (VU)
가봉북살무사 · 가시고기 · 갈라파고스땅거북 · 감돌고기 · 갑상선가젤 · 개꿩 · 개복치 · 거거 · 검은관두루미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발고양이 · 고기잡이삵 · 고대갈매기 · 고라니 · 고슴도치해마 · 고퍼거북 · 구름표범 · 귀상어 · 그리스거북 · 그린란드상어 · 금개구리 · 기린 · 긴꼬리천산갑 · 긴수염올빼미 · 꼬치동자개 · 난쟁이복어 · 난쟁이악어 · 남방호랑고양이 · 남부대머리따오기 · 남부땅코뿔새 · 남부바위뛰기펭귄 · 남아메리카맥 · 남아프리카치타# · 넓적부리황새 · 네뿔영양 · 노랑부리검둥오리사촌 · 노랑부리백로 · 녹색혹비늘돔 · 누른도요 · 눈다랑어 · 눈표범 · 뉴기니강상어 · 느림보곰 · 늪악어 · 닐기리담비 · 다이아몬드거북 · 대만흑곰# · 대서양대구 · 대서양타폰 · 덴텍스 · 도르카스가젤 · 동굴영원 · 돛새치 · 두루미 · 듀공 · 레몬상어 · 마사이사자# · 마카로니펭귄 · 말레이곰 · 매가오리 · 맨드릴 · 메가칠레 플루토 · 메추라기도요 · 목탁수구리 · 몽골늑대# · 무태상어 · 미흑점상어 · 바가리우스 야렐리 · 바다꿩 · 바다이구아나 · 바다코끼리 · 바라싱가 · 바바리양 · 백기흉상어 · 백상아리 · 버마비단뱀 · 범수구리 · 베이라영양 · 베타 덴니시옹기 · 베타 디미디아타 · 베타 미다스 · 베타 브로우노룸 · 베타 시모룸 · 베타 우베리스 · 베타 이바노룸 · 베타 코키나 · 볏도마뱀붙이 · 보넷원숭이 · 보르네오구름표범 · 본테복 · 볼망태두루미 · 부채머리수리 · 북극곰 · 북방물개 · 북부돼지꼬리원숭이 · 북중국표범# · 불도롱뇽 · 붉은가슴기러기 · 붉은갯도요 · 붉은얼굴원숭이 · 붉은이마가젤 · 비악상어 · 빈투롱 · 뿔쇠오리 · 사무라이개미 · 사바나천산갑 · 사자 · 사향노루 · 산양 · 산얼룩말 · 샛별돔 · 서인도제도매너티 · 샴싸움고기 · 세가락갈매기 · 세동가리혹돔 · 셸리수리부엉이 · 소말리아동굴고기 · 소말리아타조 · 소코가오리 · 송곳부리도요 · 순록 · 숲꺅도요 · 스네어스펭귄 · 스리랑카표범 · 시로 · 실버샤크 · 쑥새 · 아라비아오릭스 · 아마존매너티 · 아메리카악어 · 아시아흑곰 · 아카메 · 아프리카매너티 · 아프리카황금고양이 · 악어거북 · 안경곰 · 안데스콘도르 · 안데스홍학 · 알다브라땅거북 · 알락뜸부기 · 알류샨제비갈매기 · 야자집게 · 얼룩상어 · 연지느러미상어 · 오렌지러피 · 우수리아시아흑곰# · 웨카 · 은상어 · 은지느러미상어 · 이베리아스라소니 · 이주갈색가오리 · 인도네시아흉상어 · 인도네시아실러캔스 · 인도느림보곰# · 인도들소 · 인도별거북 · 인도차이나흑곰# · 인도코뿔소 · 일본반달가슴곰# · 일본장수도롱뇽 · 자라 · 자바리 · 자이언트일런드 · 작은발톱수달 · 장수거북 · 재두루미 · 제왕나비(이주성 아종)# · 좀수수치 · 죄머링가젤 · 줄꼬리뱀 · 중국물도마뱀 · 중국살쾡이 · 지중해몽크물범 · 참고래 · 참수리 · 창이빨상어 · 청두루미 · 청호반새 · 체리바브 · 치사상어 · 치타 · 칠성상어 · 칼꼬리영원 · 케이프독수리 · 코뿔바다오리 · 코뿔새 · 코뿔소살무사 · 코알라 · 코드코드 · 콜로라도파이크미노우 · 쿼카 · 퀴비에가젤 · 큰갑옷도마뱀 · 큰개미핥기 · 큰눈환도상어 · 큰빌비 · 클라크가젤 · 킹코브라 · 타이멘 · 타킨 · 턱자바리 · 토피영양# · 티베트흑곰# · 틸라피아 · 파란농어 · 파타고니아해마 · 파푸아수리 · 판다 · 팔색조 · 펜두상어 · 포사 · 표범 · 필리핀수리부엉이 · 하마 · 하트만산얼룩말 · 항라머리검독수리 · 해밀턴개구리 · 향유고래 · 헬벤더 · 호랑고양이 · 호스필드거북 · 호주쏘가리 · 황갈색수리 · 황금타킨# · 황소상어 · 회색얼굴코끼리땃쥐 · 훔볼트펭귄 · 흑기흉상어 · 흑두루미 · 흰배환도상어 · 흰선두꺼비고기 · 흰올빼미 · 흰점박이두꺼비고기 · 흰죽지 · 흰죽지수리 · 흰철갑상어 · 히말라야흑곰#}}}}}}}}}
아무르표범
한국표범, 조선표범, 극동표범, 우수리표범
韓國豹, 遠東豹 | Amur leopard
파일:아무르 판테라.jpg
학명 Panthera pardus orientalis
(Schlegel, 1857)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고양이과(Felidae)
표범속(Panthera)
표범(P. pardus)
아종 아무르표범(P. p. orientali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
영어: Amur leopard
러시아어: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леопард
중국어: 远东豹
일본어: アムールヒョウ

파일:leopard family.jpg

1. 개요2. 분포3. 생태
3.1. 식단3.2. 서식지3.3. 번식3.4. 천적 또는 경쟁자
4. 보호운동5. 한반도의 아무르표범
5.1. 일제강점기 이전5.2. 일제강점기5.3. 창경원의 아무르표범 한표5.4. 한표의 포획 이후5.5. 현재
6. 대한민국에서의 상황
6.1. 동물원 보유 상황
7. 대중매체에서8. 참고 문헌
8.1. 서적8.2. 발표 자료8.3. 논문 자료8.4. 기타

[clearfix]

1. 개요

식육목 고양이과 표범의 아종이다.

2. 분포

러시아 극동 연해주아무르 강 일대, 중국 북부 일대에 현존한다. 2023년 기준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하면, 오늘날 주요한 아무르표범 보호구역인 러시아의 표범의 땅 국립공원을 포함한 야생에 서식하는 아무르표범의 개체수는 약 128~130마리이며, 전세계의 동물원약 200마리가 남아있다. '눈이 많은 지역에 서식하는 표범'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일반인에게는 눈표범과도 자주 혼동되나 눈표범과는 명백히 다른 동물이다.

한국표범이라는 이명에서 알 수 있듯 과거 한반도 일대에도 서식하였으나[1] 현재 남한에서는 절멸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직까지 남한 내에 생존한 개체군이 있을 수 있다는 주장과 목격담 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명확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

북한 지역은 폐쇄적인 정권 특성 상 구체적인 서식현황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99년과 2004년 표범이 발견되었고[2] 2018년 표범의 땅 국립공원 최남단 지역의 북한 국경으로부터 7km 떨어진 지점에서 암컷 개체인 Leo 101F가 카메라 트랩에 촬영되는 등이다. 개마고원 일대의 깊은 산속에 남아있거나 러시아 지역의 표범이 북한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을 가능성은 존재한다고 파악되고 있다.[3]

북중국표범과 같은 아종으로 보는 경우도 있으며 실제로 둘은 분포지가 겹치기도 한다.

3. 생태

3.1. 식단

노루 사냥을 시도하는 아무르표범[4]
야생 아무르표범은 보통 혼자서 생활한다. 다양한 종류의 동물을 먹이로 삼으나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대형 고양이과 포식자인 시베리아호랑이와 마찬가지로 아무르표범 또한 발굽동물을 주 먹이로 삼는데, 중국 동북부 지역과 러시아 국경의 시베리아호랑이, 아무르표범 개체군을 대상으로 2014~2016년 동안 카메라 트랩과 배설물 수거를 통해 시행된 먹이 조사의 2018년에 발표된 결과 논문인 『Seasonal food habits and prey selection of Amur tigers and Amur leopards in Northeast China』에 따르면 시베리아호랑이와 마찬가지로 아무르표범의 식단에서 멧돼지, 노루, 꽃사슴 등이 과반수를 차지했으나 연 평균 33.64%로 멧돼지의 포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시베리아호랑이와 달리 아무르표범은 연 평균 37.5%로 노루 포식률이 가장 높았다.

아무르표범의 여름철 멧돼지 포식률은 19.57%, 겨울철에는 4%로 조사되어 겨울철에 멧돼지 포식률이 높은 시베리아호랑이와는 반대로 아무르표범은 여름철에 멧돼지 포식비중이 겨울철보다 훨씬 더 높은데, 이는 표범들이 봄에 태어난 어린 멧돼지를 먹이로 노리는 비중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위와 같은 논문의 먹이 조사 결과에서 오소리가 연평균 6.73%, 붉은여우가 연평균 3.85%, 너구리가 연평균 2.88%로 포함되어 아무르표범 또한 시베리아호랑이와 마찬가지로 소형 식육목 동물을 포식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시베리아호랑이에게서는 확인되지 않은 수달이 연평균 1.92%로 식단에 포함되어 아무르표범의 수달 포식 또한 확인되었다.
표범은 특히 양고기, 개고기를 즐겨먹기 때문에 때때로 인가를 습격하거니와 사람에게 사격을 당하면 반격하지 않고 도피하여 숨어 기다리다가 추격해 오는 사람에게 갑작스러운 공격을 가하는 습성이 있다.
한국야생동물기(수렵비화) 이상오 (1959)[표범(豹)_1._습성_및_생태]

아무르표범의 포식은 연평균 0.96%, 포식은 3.85%로 조사되어 식단 전체에서 가축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시베리아호랑이와 유사하나, 사슴 농장과 같은 가축 사육시설 인근에 정착하여 주기적으로 농장의 사슴 등을 포식하는 경우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3.2. 서식지

암컷 아무르표범의 행동범위는 33~136km², 수컷은 155~300km² 정도로 기본적으로 수컷 개체의 행동범위가 더 넓으나, 각 야생 표범 개체들에 부착한 GPS를 통해 아무르표범의 행동범위를 분석할 시 서로의 행동권이 겹치는 경향을 자주 보이고 있어 지정된 영역을 두고 자신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지키는 시베리아호랑이와는 달리 아무르표범은 정해진 영역을 가지고 살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시에 아무르표범은 호랑이보다 강설량에 민감해 눈이 두껍게 쌓이는 지역은 피하고 겨울철 강설량이 10~15cm 이내인 지역 위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이 때문에 아무르표범 서식의 북방한계선은 호랑이보다 낮고 서식지도 보다 남쪽에 집중되어있다. #


2017년 러시아 연해주 표범의 땅 국립공원에서 촬영된 바위굴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한 수컷 시베리아호랑이의 모습과 이후 촬영된 해당 바위굴에 주기적으로 기거하는 2세의 암표범 Leo 83F의 모습. 연구자들은 호랑이가 촬영되었을 때에는 표범이 바위굴에 없었으며, 호랑이가 바위굴에 접근한 것은 사냥하기 쉬운 동면 중인 곰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

아무르표범과 같은 지역에서 서식하는 시베리아호랑이는 각 개체가 수백 km²에 달하는 영역을 보유하기 때문에 아무르표범들 또한 호랑이의 영역 내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잦은데, 표범들은 자신보다 상위 포식자인 호랑이와 충돌할 경우에 발생하는 위험을 잘 알고 있어서 충돌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이동경로에 호랑이가 나타날 시에는 자취를 감추었다가 호랑이가 사라진 후에야 다시 모습을 드러내곤 하는 행동이 카메라 트랩 등을 통해 확인된 바 있다.[6]

때문에 시베리아호랑이가 있던 영역에 연달아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는 극히 드물지만, 2023년 12월 연변에서 시베리아 호랑이가 있었던 장소에 일주일 연속 출몰한 것이 확인되었다. # 전문가들은 먹잇감이 풍부해져 서로의 영역 침범을 용인하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3.3. 번식

파일:external/3.bp.blogspot.com/LEOPARD+17.jpg
새끼 아무르표범.

개체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겨울 후반기인 1~2월에 번식기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번식기를 가진 암표범은 92~95일간 임신하여 한 배에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갓 태어난 어린 표범의 무게는 500~700g이다. 어린 표범들은 2~3년 동안 어미의 보살핌을 받고 독립한다. 다 자란 개체들의 몸길이는 1.5~2m, 꼬리길이는 67 ~ 110cm, 어깨높이는 60~70cm, 평균 몸무게는 32~48kg에 달한다.

3.4. 천적 또는 경쟁자

인간을 제외하면 천적은 시베리아호랑이처럼 자기보다 거대한 육식동물이 있다.

그 외에도 몽골늑대, 스라소니, 우수리승냥이[7]도 서식지가 겹치는데, 이들은 아무르표범에게는 먹이에 가까운 동물들이지만 몽골늑대나 우수리승냥이의 경우, 무리를 지으면 오히려 아무르표범이 이들을 피한다.

우수리불곰, 우수리아시아흑곰, 유라시아늑대, 대형 맹금류하고도 서식지가 겹치지만 이들과의 관계는 알려지지 않았다.[8]

4. 보호운동

파일:external/www.altaconservation.org/pp02-capture-11_0.jpg
아무르표범의 건강상태를 확인하는 러시아 과학자들.

아무르표범이 서식하고 있는 러시아중국에서는 야생 아무르표범의 개체수를 확인하고 밀렵을 단속하며, 서식지 출입을 통제하고있다.

아무르표범의 주요한 보호구역으로는 러시아 정부가 아무르표범 보호에 집중하기 위해 연해주의 케드로바야파치(Кедровая Падь) 자연보호구와 바르소니(Барсовый) 연방야생동물보호구, 보리소브코 고원(Борисовское плато) 야생동물보호구를 통합하고 중국 국경지역까지 포함시켜 최종적으로 2012년 4월 5일에 설립한 총 면적 약 262,000 헥타르의 표범의 땅 국립공원(Земля леопарда)이 있다.[9] 표범의 땅 국립공원은 구역을 나누어 연구 목적 출입 가능 지역, 경제·레저 활동 가능 지역 등을 지정해 구역별로 민간인의 활동 제약에 차등을 두고 있는데, 이 중 면적 약 18,044 헥타르의 케드로바야파치 자연보호구 지역에 가장 높은 보안이 적용되고 있으며 케드로바야파치 자연보호구는 표범의 땅 국립공원에 부속되기 이전부터 아무르표범의 주요한 서식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서식지 파괴와 밀렵의 영향, 적은 개체수 때문인지 시베리아호랑이처럼 인간의 물건을 보면 피하는 경우가 있다.

남아있는 야생 아무르표범에게 서식지 파괴와 더불어 밀렵 또한 큰 위협이지만, 야생 아무르표범들의 보전에 가장 큰 문제로 거론되는 것은 바로 개체수 부족으로 인한 근친교배이다. 야생 아무르표범은 보다 체계적인 보호 정책이 이루어진 시기부터 이미 수십 개체 정도로 그 숫자가 적었기 때문에 근친교배를 피할 수 없어 유전적 다양성이 떨어진다고 보는 것으로, 실제 야생에서 관찰된 아무르표범 개체 중에서도 열성인자인 흰 발을 가진 수컷들과 짧은 꼬리를 가진 암컷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12]

아무르표범은 여러 세대 동안 근친 교배를 거듭해온 결과, 유전적 다양성이 현저하게 낮고 새끼의 생존율이 감소해왔다. 2001년도의 발표 결과로 종이 번식해서 유지되려면 암컷 1마리 당 새끼 2마리 이상 살아남아야 하지만, 1973년 암컷 1마리 당 새끼 1.9마리였던 것이 1991년에는 암컷 1마리당 새끼 1.0마리만 살아남았다. 새끼들 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대에서 사망률이 높았으나[13] 2000년 기준 30개체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던 아무르표범의 야생 개체수가 2019년 기준 122개체로 4배 이상 증가하는 등 현재 야생 아무르표범의 개체수는 안정적으로 증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2018년 7월 기준, 전 세계 88개 동물원에 217마리가 살고 있고, 유전적 다양성도 무려 91%에 달한다고 한다.

5. 한반도의 아무르표범

5.1. 일제강점기 이전

"그런데 표범은 어디서 잡힌 건가요?"
"표범이 아니야, 암호랑이지."
"맞아, 맞아, 범 마누라야. 누런 몸에 검은 꽃무늬가 점점이 있었지."
"동물원 기록을 보면 수컷 표범이라고 되어 있던데요?"
"수컷이 아니고 암컷 호랑이라니까요. 아주 예쁜 암컷이었어요."
방 안이 떠들썩해졌다. 함 교수가 미소를 지으며 설명했다.
"한국에서는 옛날에 호랑이와 표범이 부부라는 말이 있었어요. 시골에서는 아직도 표범이 호랑이의 암컷이라고 알고 있는 분들이 있나 봅니다."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표범과 호랑이가 부부라니······. 이 이야기는 둘째치고, 대체 어디에서 잡은 것일까.
-한국의 마지막 표범 p. 54~56

과거부터 한반도에서 표범호랑이와 마찬가지로 '범'으로 불려졌고, 민간에서는 표범과 호랑이를 같은 종으로 여기며 표범을 암컷 호랑이로 여기는 경우도 있었다.[14] 따라서 명확히 구분되지 않은 '범' 또는 '호랑이' 기록의 절반은 표범일 가능성이 있다. 호랑이는 '줄범' 또는 '참호랑이', 표범은 '알락범(매화범)' 또는 '개호랑이'로 구분했다. 다만 지식층이나 기록물에서는 둘을 명확하게 구분하였다.
파일:external/www.dailies.kr/1046_671_2036.jpg
신석기 시대~청동기 시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반구대 암각화의 맨 오른쪽 부분을 잘 보면 줄무늬 호랑이와 꽃무늬 표범 그림이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시절에도 대표적인 맹수이자 사냥감이었다는 이야기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서는 문표가 동예의 특산품이었다는 언급이 있으며, 신라 직관지를 보면 표범 꼬리가 복식으로 쓰인다.
파일:채제공 초상.jpg 파일:흥선대원군(이하응) 초상.jpg
채제공 초상 흥선대원군 초상
호랑이의 가죽인 호피는 두껍고 거칠어서 명확한 쓰임새 없이 덮개나 깔개 정도로나 사용되었으나 표범의 가죽인 표피는 무늬가 아름답고 부드러워서 시장에서 고가에 거래되는 품목이었는데, 이렇기 때문에 19세기 초에 집필된 만기요람(萬機要覽)에 따르면 표피의 값은 호피의 값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었다고 한다.[15] 진짜 가죽은 워낙 사치품이다 보니 그림으로 그리게 되었다. 범 가죽은 그 무늬가 아름다울 뿐 아니라, 잡귀를 쫓아버리는 신통력까지 지녔다고 믿어 혼례 때 신부가 타는 꽃가마의 지붕 덮개나 집안을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꽃무늬 표범 가죽을 많이 그린 것은 줄무늬보다는 꽃무늬 문양이 아름답고 장식성이 높기 때문이다.
豹頭骨燒灰淋汁, 沐頭, 去頭風屑.
표범의 머리뼈를 태운 재를 즙을 내고, 그 즙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의 풍설(風屑)이 없어진다.
-의방합부 권1(意方合部 卷之一)
急狂, 虎豹眼精, 五六介呑下, 乾則水沈, 呑下則佳
급작스런 발광에는 호랑이나 표범의 눈알을 5-6개 씹어 먹는다. 말라 있으면 물을 적셔 먹으면 좋다.
-의방합부 권2(意方合部 卷之二)
眩暈, 豹髓食之, 尤好. 又防風八戔, 水煎服.
어지러움에는 표범 골수를 먹으면 더욱 좋다. 또 방풍 8돈을 물에 끓여 먹는다.
-주촌신방 필사본(舟村新方 筆寫本)

표범의 신체 부위 또한 여러 약효가 있는 것으로 한의학에서 취급되었으며, 이는 과거에 저술된 한의학 서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파일:external/pds.dailypharm.com/166654_1.jpg
까치와 표범이 그려진 민화.

파일:월하송림호족도.jpg
월하송림호족도

표범은 민화에서도 그 모습을 자주 드러내었다. 호랑이나 표범을 그리면서도 그 무늬를 표범의 꽃무늬와 호랑이의 줄무늬와 섞어 표현하거나 꽃무늬를 한 표범과 줄무늬를 한 호랑이가 같은 그림 안에서 등장하는 등, 과거에는 표범과 호랑이를 동일한 동물로 여긴 흔적들을 살펴 볼 수 있으나 오늘날 민화의 표범들은 단순한 호랑이로 오인받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표범으로는 『우수리표범』과 『한국표범』의 2종이 있다. 『우수리표범』은 주로 북한에 서식하며 만주, 시베리아 등지에 사는 표범과 같은 종류이며 그 몸집도 『한국표범』보다 크다.
1925년경, 필자의 엽우(獵友)가 경남 거창 지방에 꿩사냥을 갔다가 우연히 잡은 표범은 그 몸집이 불과 12, 3관밖에 되지 않았으나 그 털가죽의 미려함이 과연 절품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물론 동물은 시절에 따라서 털가죽의 우열이 심하다. 엽우가 그 표범을 잡은 때가 늦가을이었으니 시기로도 가장 미려할 철이었으나 적갈색 바탕에 흑환이 규칙적으로 선명하게 놓였었고 복부는 백설 같았다. 회황색 바탕에 고르지 않고 선명하지 않은 흑점이 놓인 『우수리표범』이나 황갈색 바탕에 너무 빽빽하게 흑점이 놓인 『남방표범』의 털가죽은 도저히 우리나라 표범의 털가죽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남한에 있어서도 흔히 겨울철 적설기 중에나 봄철에 잡은 표범가죽은 회황색에 가까우며 흑점이 고르지 못하고 선명하지 못한 것이 많았다.
한국야생동물기(수렵비화) 이상오(1959)[표범(豹)_1._습성_및_생태]

수렵가 이상오[17]는 아무르표범을 우수리표범과 한국표범의 2아종으로 분류했으나 시베리아호랑이와 한국호랑이의 차이처럼 같은 아종의 지역 차이 또는 계절 차이 정도라고 할 수 있다.

'런던동물학회'(ZSL)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연구진이 2021년에 출판한 논문[18]에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 한양 주변의 표범 출몰과 관련한 다양한 사료를 연구한 결과 구한말 한양 성곽 내에 표범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떠돌이 개가 돌아다니고, 버려진 집과 함께 외곽의 울창한 숲 등이 은신처가 됐을 것으로 추정하면서, 표범이 오지 산촌은 물론 한양처럼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도 먹이와 낮에 숨을 곳이 있고, 괴롭힘을 당하지 않는 한 인간이 지배하는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관련 기사

5.2. 일제강점기

파일:external/chinese.korea.net/Korean_Leopards_Exhibition_05.jpg
1917년 11월 16일 야마모토 타다사부로(山本唯三郎)에 의해 조직된 야마모토 정호군(山本征虎軍) 제 5반의 포수 키쿠타니 리키조(菊谷力藏)가 영흥군 의흥면 용신리에서 사살한 아무르표범이다.[19]

일본 제국이 시행한 해수구제사업에 의해 시베리아호랑이와 더불어 다수의 아무르표범이 포획되었는데,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를 집필하여 조선 총독부에 의한 체계적인 한반도 내 야생동물 남획이 있었음을 밝혀낸 일본의 동물 문학 집필가인 엔도 키미오가 수집하여 『한국 호랑이는 왜 사라졌는가?』에 개제한 공식적인 기록만으로는 1915년~1916년간 136마리. 1919년~1924년 간 385마리. 1933년~1942년 간 103마리가 포획되어 최소 624마리 이상의 표범이 포획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3. 창경원의 아무르표범 한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한표의 포획 이후

파일:external/db.kookje.co.kr/20151001.22018184917i3.jpg

1963년, 합천군 가야산에서 포획된 표범.

오도산에서 한표가 포획되어 창경원으로 보내진 뒤인 1963년 3월 23일, 합천군의 가야산에서 또다른 표범이 포획되었다. 당대 신문기사 등에서는 대전리 주민 황수룡(당시 38세)이 자신의 진돗개를 잡아먹은 표범을 쫓아 포획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황수룡의 동생인 황정길이 포획했다고 하는[20] 이 표범은 산채로 포획된 한표와는 달리 돌에 맞아 죽임을 당하였고, 그 시체도 대구의 한약재상에 팔린 뒤 해체되어 부위별로 팔려나갔다고 한다.[21]

파일:external/ecotopia.hani.co.kr/%ED%91%9C%EB%B2%94_%EB%8F%99%EC%95%84_1963_11_13.jpg
합천군 묘산면 산제리 가야마을에서 암표범이 포획되었다는 내용의 동아일보 1963년 11월 13일 자 기사.

가야산에서 표범이 죽임을 당한지 8개월 뒤인 11월 10일, 이전에 한표가 포획되어 창경원으로 보내졌던 합천군 오도산에서 주민 김칠리(당시 51세)가 설치한 올무에 다시 한번 표범이 잡혔다. 포획된 표범은 2m, 무게 15관(56kg에 해당)짜리 성체 암표범이었는데, 이 표범은 10시간 넘게 몸부림치다 죽었다고 하며 이 암표범이 이전에 오도산에서 포획된 한표의 어미일지 모른다는 주장도 있다.

파일:external/ecotopia.hani.co.kr/%ED%91%9C%EB%B2%94_%EA%B2%BD%ED%96%A5_1970_3_6.jpg
함안군에서 수표범이 잡혔다는 내용의 경향신문 1970년 3월 6일 자 기사.

이후 경향신문 1970년 3월 6일 자 기사에서 함안 여항산에서 수표범이 포획되었다는 기사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남한 내 야생 표범 발견은 없었다.

다만 자연보존협회 전문위원 우한정씨가 쓴 경향신문 1981년 9월 18일자 기사를 보면 1979년에 전남 광양에 있는 서울농대 소유 연습림에서 자기 눈으로 표범의 발자국을 확인한 적이 있다고 한다. 그때까지는 생존한 개체가 있었을 수도 있다.

5.5. 현재

파일:external/img.imbc.com/si187.jpg
1999년 개마고원 와갈봉에서 촬영되었다는 표범.

북한의 표범 개체와 관련해서는 2004년 MBC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한국표범을 통해 1999년 개마고원 와갈봉에서 촬영하였다는 표범의 영상과 2005년 방영된 남북 합작 다큐멘터리 한반도의 지붕 개마고원을 가다를 통해 2003-2004년 함경남도 영광군 천불산에서 촬영하였다는 표범의 영상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1999년 와갈봉에서 발견된 표범은 아무르표범보다 북중국표범에 가까워 보이기도 하고, 천불산에서 찍은 표범은 너무 어두운 밤에 찍어서 제대로 보이지 않으며, 영상 댓글에서는 재규어를 찍고 속인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만약에 둘 다 정말 야생 아무르표범을 촬영한 것이 아니라면 북한 측에서 조작하였거나 잘못 동정한 것이 된다. 2014년에는 라선시 북•러 국경지대에서 발견되었으나 이 이후로는 북한 지역의 표범에 대한 정보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북한 지역에는 소수가 남아있을 수도 있지만, 북한의 폐쇄성 때문에 정보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북한 지역의 표범에 대한 외부 전문가들의 발언으로는 2016년 10월 러시아 국영 통신사 리아 노브스티아(RIA Novosti)의 표범의 땅 국립공원장 타티아나 바라노브스카야(Tatyana Baranovskaya)와의 인터뷰에서 바라노브스카야 원장은 2005년 북한에서 표범의 흔적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바 있다고 발언하였으며,[22] 2016년 한겨레의 표범의 땅 국립공원 타티아나 바라노브스카야 원장, 옐레나 살마노바(Elena Salmanova) 과학국장과의 인터뷰 보도에서 살마노바 국장은 2013년 러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북한으로 이동한 표범의 발자국을 발견하였다고 발언했고,[23] 2020년 6월 5일 연합뉴스의 표범의 땅 국립공원장 빅토르 바르듀크(Victor Bardyuk)와의 인터뷰에서 바르듀크 원장은 본 문서 상단에서 전술한 암표범 Leo101F의 사례를 들어 북한 북부 지역에 아무르표범이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4]

2002년 9월에 인제에서 발견된 발자국 중 표범의 것으로 보인다는 기사가 있는데, 동물의 발자국은 원래 실제 발바닥 크기보다 크게 찍히며, 환경에 따라 발자국이 더 크게 찍히기에 확실히 표범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201405070500006_3.jpg
2013년 4월, 원주시에서 발견된 표범의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수달의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고, 현재 이 발자국의 정체는 불확실해졌다.[25]

2023년 6월 24일에 경상북도영주시에서 표범 목격담과 밭에서 표범으로 추정되는 발자국이 발견되었으나[26] 학계에서는 이를 들개 발자국으로 보고 있다. #

남한에서 표범의 것으로 추정되는 발자국 등, 표범의 흔적으로 보이는 것들이 때때로 발견되기도 하였으나 사진이나 시체같은 결정적인 증거는 나오지 않았기에 아무르표범의 남한 내 개체군은 멸절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도 표범이 남아있을 것이라는 주장과 목격담은 꾸준히 제기되고 있지만, 구체적인 증거가 없다. 발자국 등은 많이 발견되었지만 사진이나 동영상은 거의 없다.[27]

6. 대한민국에서의 상황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I급 ]⠀
<colbgcolor=#fff,#1f2023> 포유류 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조류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파충류 비바리뱀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어류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곤충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식물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colbgcolor=#fff,#1f2023><width=15%> 포유류 ||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조류 개리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물떼새 · 검은머리촉새 · 검은목두루미 · 고대갈매기 · 긴꼬리딱새 · 긴점박이올빼미 · 까막딱따구리 · 노랑부리저어새 · 독수리 · 따오기 · 뜸부기 · 무당새 · 물수리 · · 벌매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배새매 · 붉은어깨도요 · 붉은해오라기 · 뿔쇠오리 · 뿔종다리 · 새매 · 새호리기 · 섬개개비 · 솔개 · 쇠검은머리쑥새 · 쇠제비갈매기 · 수리부엉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알락개구리매 · 알락꼬리마도요 · 양비둘기 · 회갈색올빼미 · 재두루미 · 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청호반새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뒷부리도요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
양서류 고리도롱뇽 · 금개구리 · 맹꽁이
파충류 구렁이 · 남생이 · 표범장지뱀
어류 가는돌고기 · 가시고기 · 꺽저기 · 꾸구리 · 다묵장어 · 돌상어 · 둑중개 · 묵납자루 · 버들가지 · 부안종개 · 어름치 · 연준모치 · 열목어 · 새미 · 칠성장어 · 큰줄납자루 · 한강납줄개 · 한둑중개
곤충 깊은산부전나비 · 꼬마잠자리 · 노란잔산잠자리 · 대모잠자리 · 두점박이사슴벌레 · 뚱보주름메뚜기 · 멋조롱박딱정벌레 · 물방개 · 물장군 · 불나방 · 쇠똥구리 · 쌍꼬리부전나비 · 애기뿔쇠똥구리 · 여름어리표범나비 · 왕은점표범나비 · 은줄팔랑나비 · 윤조롱박딱정벌레 · 참호박뒤영벌 · 창언조롱박딱정벌레 · 큰자색호랑꽃무지 · 홍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갯게 · 거제외줄달팽이 · 검붉은수지맨드라미 · 금빛나팔돌산호 · 기수갈고둥 · 깃산호 · 대추귀고둥 · 둔한진총산호 · 망상맵시산호 · 물거미 · 밤수지맨드라미 · 별혹산호 · 붉은발말똥게 · 선침거미불가사리 · 연수지맨드라미 · 염주알다슬기 · 울릉도달팽이 · 유착나무돌산호 · , 의염통성게 · 자색수지맨드라미 · 잔가지나무돌산호 · 착생깃산호 · 참달팽이 · 측맵시산호 · 칼세오리옆새우 · 해송 · 흰발농게 · 흰수지맨드라미
식물 가는동자꽃 · 가시연꽃 · 가시오갈피 · 각시수련 · 개가시나무 · 갯봄맞이꽃 · 검은별고사리 · 구름병아리난초 · 기생꽃 · 끈끈이귀개 · 나도범의귀 · 나도승마 · 나도여로 · 날개하늘나리 · 넓은잎제비꽃 · 노랑만병초 · 노랑붓꽃 · 눈썹고사리 · 단양쑥부쟁이 · 닻꽃 · 대성쓴풀 · 대청부채 · 대흥란 · 독미나리 · 두잎약난초 · 매화마름 · 무주나무 · 물고사리 · 물석송 · 방울난초 · 백부자 · 백양더부살이 · 백운란 · 복주머니란 · 분홍장구채 · 산붓꽃나무 · 산작약 · 삼백초 · 새깃아재비 · 서울개발나물 · 석곡 · 선모시대 · 선제비꽃 · 섬개야광나무 · 섬개현삼 · 섬시호 · 섬현삼 · 세뿔투구꽃 · 손바닥난초 · 솔잎란 · 순채 · 신안새우난초 · 애기송이풀 · 연잎꿩의다리 · 왕제비꽃 · 으름난초 · 자주땅귀개 · 장백제비꽃 · 전주물꼬리풀 · 정향풀 · 제비동자꽃 · 제비붓꽃 · 조름나물 · 죽절초 · 지네발란 · 진노랑상사화 · 차걸이란 · , 참물부추 · 초령목 · 칠보치마 · 콩짜개란 · 큰바늘꽃 · 파초일엽 · 피뿌리풀 · 한라송이풀 · 한라옥잠난초 · 한라장구채 · 해오라비난초 · 흑난초 · 홍월귤
해조류 그물공말 · 삼나무말
고등균류 화경버섯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러시아 정부가 라조브스키 자연보호구(Lazovsky State Nature)에 아무르표범 재도입을 결정한 것에 영향을 받아 환경부에서 2차 멸종위기종 복원에 표범도 포함시켜 강원도의 비무장지대 일대인 백석산과 백암산 일대를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꼽아 검토한 바가 있다. 해당 지역은 군사적 제약으로 출입이 통제되어 밀렵 등을 피할 수 있고 산양, 고라니, 노루, 멧돼지 등 먹이가 될 수 있는 여러 야생동물이 자생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한 개체수만 확보된다면 성공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일부에서는 아시아흑곰 복원 사업처럼 표범 복원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현재 국내 학계에서는 대중의 부정적 시각[28]과 표범의 위험성, 남한에서의 자연서식지 부족을 문제점 삼아 복원 자체를 회의적으로 보고 있으며, 호랑이와 표범 등에 관련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를 진행해 온 단체인 (사)한국범보전기금에서는 표범의 남한 내 재도입 가능성이 불가하지는 않다고 여기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관련 사업은 없다.[29]

표범이 서식 여건의 문제점에서 호랑이보다는 비교적 자유롭기에 일각에서는 도심에서도 재도입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도심 등의 인간과 가까운 곳에서의 생존은 복원의 이점이라고만 할 수 없는데, 표범이 다수의 사람들이 사는 도심에서 서식하게 될 시에는 사람과 표범 모두에게 좋지 않은 상황이 벌어진다. 실제로 현재 도심에서 생존하는 인도표범들은 가축과 사람을 빈번히 공격하고, 표범 또한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보복을 받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도시 대부분으로 인구가 몰리는 점과 인구 감소 및 지방소멸 등으로 인하여 재도입에 의한 마찰 우려가 점차 낮아질 수도 있지만, 도입된 개체들이 사람 근처로 이주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전혀 없다.[30]

2024년 9월에 임정은 선임연구원의 연구팀도 현 시점에서 도심으로 표범을 재도입하는 것은 인간과의 마찰 외에 수많은 고속도로로 인한 서식지 이동 차단, 로드킬 및 대한민국의 심각한 수준의 빛 공해[31]를 이유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연구팀의 자료에 의하면, 강원도와 경상북도 북부의 일부 지방 정도가 그나마 표범의 잠재적 서식지로서 재도입할 가능성이 있는 곳이라고 한다. 다만 초안인지라 좀 더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고, 추후 결과에 따라 잠재적 서식지 범위가 더 넓어질 가능성은 있다. #

6.1. 동물원 보유 상황

대한민국의 동물원에서는 2002년 대전 오월드히로시마 아사동물공원(広島市安佐動物公園)에서,[32] 2005년 서울동물원이 하얼빈의 동물원에서[33] 아무르표범을 도입해 전시하는 등 해외 동물원을 통해 도입되어 아무르표범으로 전시된 표범들이 존재했으나 서울동물원의 개체들 대다수는 혈통이 불분명하거나 아무르표범이 아닌 북중국표범(P. p. japonensis)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34] 이에 서울동물원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한 표범사 개장 공사 후 기존에 아무르표범으로 전시한 하얼빈 출신의 표범들과 그 2세 개체들에 대한 안내판을 모두 북중국표범인 것으로 수정하여 전시하였다.

2016년 11월 1일 환경부 산하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아무르표범의 게놈 지도가 해독되었음을 발표했다. 표준 게놈지도 제작에 사용된 샘플은 대전 오월드에서 2012년에 폐사한 히로시마 아사동물공원 출신의 암표범 '매화'의 근육 조직이며, 추가로 야생 아무르표범 혈액 샘플과의 대조 과정을 거친 것으로 보도되었다.[35] 매화는 2003년 대전 오월드 개장 당시 히로시마 아사동물공원에서 남매 관계인 수컷 강산과 들여져 온 개체로, 강산과 매화는 아무르표범 국제 혈통대장에 각기 522번, 523번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직계 조상 중 하나가 북중국표범인 개체들이다.[36]

파일:서울대공원 레오 로드.jpg
대한민국 동물원 중 순혈 아무르표범의 확보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서울동물원은 2017년 5월 아무르표범 호랑이 연합(ALTA)과의 협의를 통해 유럽 내지는 러시아의 동물원을 통한 아무르표범의 도입을 추진하였고,[37] 2018년 5월 노보시비르스크 동물원(Новосибирский Зоопарк) 출신의 형제 관계인 수컷 2개체를 도입하여[38] 각각 레오로드라는 이름으로 명명. 2018년 10월 말부터 표범사에서 해당 개체들을 공개 전시하였다.

2024년에 서울동물원이 영국으로부터 암컷 아무르표범을 반입하기로 했다. 해당 표범의 이름은 아리나. 2014년에 태어난 개체로 2018년에 새끼를 낳은 적이 있다.

7. 대중매체에서

한반도의 최상위 포식자였던 시베리아호랑이가 아직까지 대한민국의 상징이나 국수 취급받는 것과는 달리, 불과 197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에 살던 동물이지만, 인지도가 낮아 다큐멘터리나 동물 프로그램을 제외한 대중매체의 출연은 사실상 없었다.[39]

표범의 생태는 아프리카표범이나 인도표범에서 많이 연구되었고 동물의 왕국에서도 이들이 많이 등장하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 사이에서는 주로 열대 지역의 동물로 인식된다. 물론 한국에 살았다는 사실 자체를 아는 이들은 적지 않다.[40]

과거 KBS 프로그램 스펀지대전 오월드의 매화&강산이, 주주클럽서울동물원의 '발해'[41]가 출현했지만, 이때도 한국표범이라고 특별히 띄워주지는 않았다.

서울 이랜드 FC의 상징이 한국표범이다.

만화경에서 연재된 웹툰 Winter Game에서 등장하는데 사실상 다큐 및 동물 프로를 제외한 대한민국 전자매체에서의 첫 등장이지만, 안타깝게도 해당 웹툰이 연재된 만화경은 2024년 5월 31일에 서비스 종료되었다. 첫 등장은 작품상 메인 빌런인 시베리아호랑이에게 물려죽은 표범이었으며, 이후 표범 부자가 등장해 주인공 스라소니 일행과 조우하기도 한다.[42] 결말부에 수컷 표범은 주인공 파이와 시베리아호랑이의 최후의 대결에서 결정적 조력자로 활약 한다.

플래닛 주의 dlc 보존팩에서 사육 가능 동물로 등장했으며, 게임에 첫번째로 등장한 표범의 아종이다.[43]

8. 참고 문헌

8.1. 서적

8.2. 발표 자료

8.3. 논문 자료

8.4. 기타


[1] 동물학자 헤르만 슐레겔이 기준표본으로 쓴 아무르표범이 잡힌 곳은 한반도였다고 한다.[2] 그러나 후술하듯이 둘 다 진위여부가 불분명한 발견들이다.[3] https://en.save-leopard.ru/news/20180727/455503.html[4] 정황상 실패로 보인다.[표범(豹)_1._습성_및_생태] https://blog.naver.com/gaia1989/220818049001[6] 시베리아의 위대한 영혼 p. 309~311[7] 다만, 현재 서식지가 겹치는지는 불확실하다.[8] 우수리불곰은 잠재적인 천적일 가능성이 크고, 흑곰이나 맹금류하고는 서로 무시할 가능성이 크며, 유라시아늑대는 아마 표범과 점박이하이에나의 관계와 동일했을 것으로 보인다.[9] http://leopard-land.ru/about/history, http://www.usjournal.kr/news/articleView.html?idxno=91225[10] http://kocmi.ru/zapovednik-kedrovaya-pad.html[11] http://en.save-leopard.ru/news/20161027/302679.html[12] 그 외에도 표범이 진화 과정에서 50~60만 년 전에 소수가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진출했고, 이 과정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극동아시아에 들어온 개체들은 더 적었기에 원래부터 유전적 다양성이 낮았다는 문제도 있다.[13] Wildlife Conservation Society (2001). Final Report on a Workshop for Conservation of the Far Eastern Leopard in the Wild. Submitted to the U.S. Fish and Wildlife Service and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14] 비슷하게 고대 그리스에서는 표범과 사자를 같은 종으로 여기며 사자와 표범이 짝을 짓는다고 생각했다.[15] 조선의 생태환경사 p. 42[표범(豹)_1._습성_및_생태] https://blog.naver.com/gaia1989/220818049001[17] 시인 이상화의 동생이다.[18] 제목은 "Diverse Locations and a Long History: Historical Context for Urban Leopards (Panthera pardus) in the Early Anthropocene From Seoul, Korea".[19] 정호기 p.172[20] 한국의 마지막 표범 p.173~174[21] 한국의 마지막 표범 p.167[22] http://blog.naver.com/savetiger/220935929002 https://ria.ru/20161027/1480114538.html[23] http://ecotopia.hani.co.kr/?document_srl=345765[24] https://www.yna.co.kr/view/AKR20200605106000096[25]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583973.html[26] 당시 영주시는 악어 목격담이 있었다. 다만 이것은 추후 왕도마뱀이 포획되며 왕도마뱀을 착각한 것임이 밝혀졌다.[27] 그리고 생존설이 들려오면 대한민국 정부가 단시간 안으로 아무르표범 보호 및 번식을 위한 강력한 조치가 따를 것이고 생존하는 아무르표범이 사는 곳은 정부에서 허락을 받지 않는 이상 출입금지 지역이 될 가능성이 크고 함부로 출입해 잡았다가는 징역형에 준하는 형사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다만 야생동물은 서식지를 안다 해도 촬영이 매우 어려우며 수십 년씩 생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28] 당연히 대부분의 사람들은 표범이 사람을 쉽게 사냥할 수 있는 맹수임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있어서 반달곰 역시 자유로울 수 없지만, 적어도 이들은 초식 위주의 잡식이라 식인을 목적으로 사람을 공격을 하는 행동은 얼마 없는데 반해, 이와 반대로 표범은 완전한 육식성으로 충분히 식인을 목적으로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29] 2020년에 아무르표범의 복원을 위해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22일 러시아 천연자원환경부 소속기관 '표범의 땅 국립공원'과 협력하기로 하였지만, 아직까지는 국내 복원 계획이 전무한 상황이다.#[30] 도심에 맹수가 사는 것이 바로 인명피해로 이어진다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맹수의 포획 및 재방사 등 잘못된 정책이 진행되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사람들이 이런 위험에 제대로 대처할 가능성도 낮다.[31] G20 국가 빛 공해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32] http://search.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6123&sc_code=1412156218&page=6122&total=122475[33] http://weekly.donga.com/List/3/all/11/79867/1[34]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7817019[35]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700210&menuId=286[36] https://blog.naver.com/dt644/222031156482[37] http://grandpark.seoul.go.kr/korea_grand/board/view.do?boardSeq=33141&notice_yn=N&parentId=41219&bbsId=29&menuid=41213&headerId=41181&mode=view[38] http://grandpark.seoul.go.kr/korea_grand/board/view.do?boardSeq=35634&headerId=41237&menuid=41243&parentId=52414&bbsId=56[39] 표범이 한국에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이 적지는 않지만, 호랑이가 표범보다 대중성이 높고 지금과 달리 옛날에는 호랑이와 표범을 모두 범이라고 불렀던 것이 결정타였다. 거기다 큐레이터나 일반인들도 생물학을 잘 모르는 것도 한 몫을 했다. 그래서 한국표범을 설명할 때 흔히 붙는 수식어가 '잊혀진', '사라진'이다.[40] 2013년도 설문 조사 기준 "50년 전 한국에 야생 호랑이 존재"에 90%가 긍정하였고, "50년 전 한국에 야생 표범 존재"에 67%가 긍정하였다. 해당 설문 조사는 2013년 4월 2일부터 11일까지 총 195명을 통해 이뤄졌으며, 이중 응답 연령의 범위는 16~65세, 평균 응답 연령은 25.24세이다. 다시 말해 20~30대 사이에서도 이 정보 자체는 이미 많이 알려진 편이다. 해당 조사는 "한국의 호랑이 문화와 복원 가능성 기초 연구"에서 볼 수 있다.[41] 새끼 때는 수컷으로, 나중에는 암컷으로 소개되었는데 지금은 확인되지 않는다. 어미가 돌보지 않아 인공포육을 했지만 같은 포육실의 호랑이 남매에게 괴롭힘당하고, 자라서는 방사장 문 너머의 재규어가 무서워 그쪽 방향으로 가지 않는 등 스트레스가 극심한 상황에 놓였던 것을 생각하면 말로는 좋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레오와 로드가 한표 이후 동물원 최초의 순혈 아무르표범이기 때문에 이때 출연한 발해와 다른 한국표범들은 북중국표범이다. 범이와 맥스(지금은 독일로 보내짐)의 형제로 추정된다.[42] 새끼들간의 인연이 있던 덕에 아빠 표범과 주인공 일행이 서로 싸우진 않았다.[43] 두번째는 5주년 기념 무료 업데이트로 추가된 아프리카표범. 비숫하게 표범이라 불리는 눈표범은 표범보다는 호랑이에 가까운 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