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3 02:04:54

치하

97식 전차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치하(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기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제국 육·해군·해군 육전대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191919> 차륜 장갑차 스미다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궤도 장갑차 98식 장갑운반차 소다, 1식 장갑병차 호키
탱켓 카식 기총차, 92식 중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 97식 경장갑차 테케
반궤도차량 1식 양장궤장갑병차 호하
철도 수송 차량 95식 장갑궤도차 소키
전차 경전차 갑식 전차, 을식 전차,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98식 경전차 케니, 2식 경전차 케토, 3식 경전차 케루
중형전차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97식 중전차 치하, 97식 중전차 치하 改, 1식 중전차 치헤,
3식 중전차 치누, 4식 중전차 치토, 5호 중전차G, 3호 전차 J형G, 3호 전차 N형G
중전차 95식 중전차, 6호 중전차G
노획전차 파일:영국 국기.svgM3 스튜어트,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호주 국기.svg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대만 국기.svg1호 전차, 4식 중전차 치루, 르노 FT, 빅커스 Mk.E B형 파일:소련 국기.svgBT-7, T-34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M3 스튜어트, M4A3 (75) WB, M3 GMC
지휘전차 하고 지휘차형, 치하 지휘차형, 97식 시키
전파방출 전차 97식 카하
구난전차 특 97식 세리
지뢰제거전차 97식 치유, 97식 GS
공병전차 장갑작업기
수륙양용 특 2식 내화정 카미, 특 3식 내화정 카치, 특 4식 내화정 카츠
자주포 1식 포전차 호니 I, 1식 포전차 호니 II, 2식 포전차 호이, 3식 포전차 호니 III,
4식 포전차 호로, 12리 자주포, 5식 포전차 나토
차량 95식 4륜 자동차, 94식 6륜 트럭, 닛산 180
견인 차량 95식 13톤 견인차, 이스즈 98식 6톤 견인차 로케, 92식 8톤 견인차 니쿠, 치하 견인차, 98식 견인차 시케
오토바이 93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97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프로토타입 /
페이퍼 플랜
특 1식 내화정 미샤, 특 4식 내화정 카샤, 5식 경전차 케호, 특 3호 전차 쿠로, 97식 중전차 치니, 98식 중전차 치호, 특 5식 내화정 토쿠,
시제 4식 중박격포 하토, 4식 자주포 호토, 5식 구축전차 호루, 치세, 5식 중전차 치리, 5식 포전차 호리, 100식 초중전차 오이, 5식 포전차 호치, 시제 대전차 자주포 카토
그 외 쿠겔판처G, 나가야마 전차, 98식 소형 공병전차 야이고, 이시카와지마 수륙양용 전차
윗첨자 B : 탈취한 그 전투서 바로 소모됨.
윗첨자 G : 독일에서 구매한 품목. 쿠겔판처를 제외하면 본토에서 사용되지는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九七式中戦車 "チハ"
파생형 실전 운용국 미디어 모형
파일:Type_97_Chi-Ha_in_yaskuni.jpg
九七式中戦車 「チハ」
파일:Shin_ho_to_Chi_ha_Thumbnail.jpg
九七式中戦車 「チハ 改」 / 「新砲塔 チハ」
1. 개요2. 제원3. 내부4. 개발사5. 형식
5.1. 치하5.2. 치하 개량형
6. 평가
6.1. 장점6.2. 단점6.3. 총평
7. 파생형8. 실전9. 운용국10. 미디어11. 모형12. 참고 문헌13. 둘러보기14. 관련 문서

1. 개요

러시아 육군 소속 치하 개량형 기동 영상[1]
일본군제2차 세계 대전 기간 중에 운용한 중형전차. 보통 제식명이던 97식 전차, 치하, 1식 기동 47mm 속사포 장착형은 신포탑 치하 혹은 치하 카이(改, 개)라고 불렀다.

이 전차의 이름인 '치하'는 계획 당시에 쓰이던 코드네임으로, 중(ュウ)전차 중 세 번째로 만들어졌다고 해서 チハ가 된 것이다. 이로하 노래 순으로는 ハ가 イロ로 세 번째이기 때문이다.[2]

2. 제원

<colbgcolor=#fefefe,#191919> 九七式中戦車 「チハ」
제원
개발 국가 일본 제국
개발자 하라 토미오
개발 기관 미쓰비시 중공업
개발 연도 1936년 ~ 1937년
생산 기관 미쓰비시 중공업, 히타치, 사가미, 니혼 세이고쇼
생산 연도 치하: 1938년 ~ 1942년
치하 개량형: 1942년 ~ 1944년
생산 대수 치하: 1,162대
치하 개량형: 930대
도합 2,092대
생산단가 165,400엔
운용 연도 1938년 ~ 현재[3]
운용 국가 일본 제국[4] 포함 도합 10개국 사용
전장 치하: 5.52m
치하 개량형: 5.55m
전폭 2.33m
전고 2.23m
전비 중량 치하: 14.3t
치하 개량형: 14.8t
탑승 인원 치하: 4명 (전차장, 조종수, 탄약수, 무전수)
치하 개량형: 5명 (전차장[5], 조종수, 포수, 탄약수, 무전수)
엔진 미쓰비시 SA12200VD V12 4행정 공랭식 디젤엔진
장갑 전면 25mm
측면 20 ~25mm
후면 20mm
상면 10mm
하면 8mm
포방패 50mm
최고 출력 170hp
출력비 15.6hp/ t
현가 장치 벨 크랭크 현가장치
최고 속도 38km/h
항속 거리 210km
주무장 치하: 57mm 97식 전차포 1문 (120발)
치하 개량형: 47mm 1식 전차포 1문 (104발)
부무장 7.7mm 97식 중기관총 3정[6] (4,000발)

3. 내부

파일:치하_내부_번역본.jpg
치하 포탑 내부 도면
"치하"의 내부 상세도는 상단의 사진과 같다.

치하는 89식 전차 치로의 후계 차량답게 보병지원용 전차로서 개발되었기에 치로의 90식 57mm 전차포의 개량형인 97식 전차포를 탑재했고, 속도를 늘리고 서스펜션을 강화하고 장갑은 치로보다 약간 두꺼워졌다.

그래서 89식 중전차와 비교했을 때 차체 장갑이나 현가장치, 험지 주파력 등이 개선되었으며, 처음 개발 당시만 해도 세계 표준에 근접한 57mm 포를 탑재했고, 당시 전차들의 엔진이 모두 가솔린 엔진을 사용하는 상황에서 전차로서는 최초로 전체 모델에 디젤 엔진을 채용한 선진적인 면이 있었다.

다만 차량 내에는 무전기는 물론 별다른 통신용 인터컴도 없어서 승무원간 통신을 위해서는 전차장이 12개의 전구와 부저에 연결된 포탑 내의 버튼 12개를 사용했다.

야간에 지휘차량(무전기 탑재차량)을 제외한 차량 간 통신을 위해서는 3색으로 바뀌는 발광 방식의 일명 신호등이라고 하는, 무선기와는 다른 통신 수단도 준비되었다.[7] 당시 무전기는 통신 거리가 1km 정도밖에 없고, 발광 신호라면 조건조차 좋으면 야간에 상당히 떨어진 위치에서도 시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차내 우상의 조작판의 스위치로 발광·점멸하기 위해, 점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모스 신호도 타전 가능하고, 주로 야간의 부대내의 지휘나 연락에 이용되었다. 신호등에는 포탑용과 후부용이 있었다.

포탑용 신호등은 포탑 상면의 전망탑 좌측에 탈착식의 막대 형상의 기구이며, 평상시는 전용 상자에 들어가 차내에 수납되었다. 강철관을 절삭한 케이스의 안쪽에, 위로부터 녹색・주황색(황색)・적색의 색이 붙은 유리관이 전구와 함께 들어가 있어, 부착부에는 완충 스프링이 들어가 있었다.[8]

후부용 신호등은 차체 후면 중앙에 설치되어 있었다. 이쪽은 탈착 불가능한 장비로 작은 3색의 유리원이 옆 일렬로 늘어선 형상을 하고 있었다. 색의 배열의 순서는 미쓰비시 중공업제와 히타치 제작소제가 주황색・녹색・적색으로, 사가미조 병창제가 녹색・주황색・적색인 것과 같이 제조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4. 개발사

파일:276F92505336576F32.jpg
치바 전차 학교에서 훈련 중인 일본 제국 육군 소속 치하 지휘차형 & 치하 & 하고
1936년, 영국이 신형 중형전차인 A6 전차를 개발했다는 소식이 일본에 알려지자 일본 육군에서는 시대에 맞춰 신형 중형전차를 생산하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에 미쓰비시 사와 오사카 육군 조병창에서는 각각 두가지 시안을 제출하게 되는데, 하나는 오사카 조병창의 치니였으며, 다른 하나는 미쓰비시가 제출한 현 치하의 시안이었다.

치니 문서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수뇌층과 일선 장교들간의 의견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두 시안 모두 생산하기로 결정했다가 중일전쟁 발발 이후 수뇌층과 장교들 모두 스펙과 가성비가 뛰어난 치하의 시안을 지지하면서 치니는 사장되고 치하가 제식 중전차로 발탁되었다.

치하의 개발 컨셉은 초창기 독일군의 3호 전차와 4호 전차 개념처럼 상대적으로 체급이 작은 전차가 대전차전을 치르고, 중형전차는 다목적으로 아군 보병 지원과 적 보병벙커 등의 강화진지를 상대하도록 했기에 관통력이 낮은 대신 파괴력이 높은 97식 57mm 전차포를 채택하게 되었으며, 반대로 대전차전을 주 목적으로 개발한 것이 95식 경전차인 하고였다.

중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치로와 치하는 그야말로 중원에서 대활약을 펼쳤다. 국부군이 워낙 막장인데다가, 제대로 된 대전차화기나 전차도 없었고 덤으로 제대로 된 전차전도 딱히 벌어지지 않았으니 일본은 보병지원용 전차선에서 만족하였지만, 얼마 안가 할힌골 전투에서 한계점을 보인 97식 57mm 전차포37mm 94식 전차포의 성능을 확인하고 이후 태평양 전선에서 M4 셔먼스튜어트 전차를 상대하며 얻은 전훈으로 1식 전차포를 얹은 개량형을 만들게 되었다.

5. 형식

5.1. 치하

파일:type-97-chi-ha-Moskow_2.jpg
九七式中戦車 チハ
"치하"는 영국군의 빅커스 미디엄 전차 개발 소식에 이에 일본 군부에서 신형 전차 개발을 지시, 이에 1937년 등장한 시제안을 바탕으로 제작한 전차이다.

치하는 개발 당시 일본군의 전차 교리에 맞추어 보병 지원을 주 목적으로 한 97식 57mm 전차포를 탑재했는데, 일본군은 영국군과 비슷하게 재빠른 경전차가 대전차포를 장착하는 "기병전차(순항전차)" 교리와, 상대적으로 둔중하고 튼튼한 중형전차가 보병지원용 곡사포를 장착하는 "보병전차" 교리를 가졌기 때문으로, 이러한 전차 교리는 영국, 프랑스 등의 군사 선진 국가들에서 고안한 것이었으며, 시대상에 맞춰 일본 군부에서도 이렇게 제작한 것이었다.

그러나 전간기에 들어서며 이전까지의 전차는 곧 "움직이는 장갑 포대" 정도의 위치에서, "빠르게 이동하며 적들을 타격하는 훌륭한 공격수단"으로 확실히 변모하였으며, 이에 더 큰 구경의 포를 얹거나, 고관통을 위해 포신을 길게 만드는 등, 여러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었다.

이에 일본에서도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보병을 보조하기 위해 고속으로 질주하는 경형 차체에 전차를 상대하기 위한 95식 37mm 전차포를 얹은 하고와 하고에 비해서는 느리지만, 장갑이 더 튼튼한 차체에 보병 지원 및 축성진지 파괴 목적의 97식 57mm 전차포를 얹어 치하를 만들게 된 것이다.

전차 승무원은 4명으로 차체 우측 전방으로 치우친 2인용 포탑에는 포탑 좌측에는 포수 겸 탄약수가 탑승하고 포탑 우측에는 전차장이 탑승한다. 차체에는 좌측 전면에 차체기관총수가 탑승하고 차체 우측에는 조종수가 탑승한다. 주포의 연사속도는 분당 10발이며 숙련된 전차병은 분당 15발까지 가능하다.

중일전쟁 당시 실전에 투입된 치하는 그야말로 대활약을 했는데, 당시 국민혁명군의 대전차화기 보유 수는 매우 낮았던데다, 이를 운용하는 것에 미숙하였기 때문에 대보병용 97식 57mm 전차포가 적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평양 전쟁 이후, 기존 치하의 철갑고폭탄이 대전차전으로 사용하기 힘들다는 판단 하에 1944년 대전차고폭탄인 "타(タ)" 탄을 개발하게 되며, 전차보다는 일종의 자주포와 같은 개념으로 주로 운용하게 되었다.

5.2. 치하 개량형

파일:USSR_Captured_Shinhoto_Chi_ha.png
九七式中戦車 チハ 改
치하 개량형 내부 탐방 영상[9]
"치하 개량형 (チハ 改)" 혹은 "신포탑 치하 (新砲塔 チハ)"는 기존 치하의 97식 57mm 전차포가 대전차전에서 매우 취약함을 확인, 따라서 1식 기동 47mm 속사포를 전차포로 개수한 1식 전차포를 장착하여 만들어낸 치하의 개량형이다.

신포탑 치하가 등장한 사정은 이러했는데, 기존의 치하는 스튜어트 전차에게 밀리는 성능으로, 개전 후 필리핀 전장에서 노획한 미군의 M3 스튜어트의 장갑 성능을 시험할 때 일본군의 전차포가 장갑을 관통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 당시 일본군 지휘부를 당황하게 만들었다.

스튜어트가 전면 장갑이 50mm나 되는 등 경전차치고는 뛰어난 장갑을 지닌 전차이기는 했지만, 유럽에서는 경전차인 것이 태평양 전선에서는 주력전차들의 주포로 전면장갑을 뚫을 수 없다는 점에서, 할힌골 전투 이후 2년만에 일본 전차가 시대에 완전히 뒤떨어졌다는 것을 보여줬다.

1942년 4월 버마 랑군에서 노획한 M3 스튜어트 경전차에 대한 사격에서 매우 충격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스튜어트는 포방패까지 포함하면 51mm 수준이지만 대부분 전면 장갑은 38mm였다. 치하로 300m 밖에서 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타격했으나 관통은 실패했다.

그렇다고 측면으로 돌아가서 사격하는 고난이도 기술을 적용하려고 해도 격파가 불가능했다. 스튜어트의 25mm 측면장갑에 300m 밖에서 쏘았지만 관통이 불가능했으며, 측면에서 거리 200m, 거리 100m의 실험이 모조리 관통불가 판정이 난 후[10], 영거리 사격에 가까운 거리에서 치하 3~5량이 집중사격한 결과, 간신히 장갑에 균열을 내었다고 한다.

이런 작태를 보고받은 일본 육군 상층부에서는 치하를 개량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미쓰비시 사에서는 그에 응답하여 할힌골 전투 때 노획한 BT-7 1937년형의 원뿔형 포탑을 참고하며 연구 끝에 1식 기동 47mm 속사포를 장착한 "치하 개량형"이라는 명칭으로 신형을 개발하게 된다.

전반적으로는 1식 전차포의 크기 때문에 포탑이 대형화 되었으며, 이로 인해 기존 전차장-포수 2명에서 탄약수가 커진 포탑에 추가로 탑승해 전투 효율은 기본형 치하에 비하여 상승했다. 하지만, 포탑이 기본형 치하보다 커졌기 때문에 전방 기관총 사수가 전차 외부에서 탑승가능한 해치가 제거되었다.

전차 승무원은 4명으로 대형화된 2인용 포탑에는 포탑 좌측에는 포수가 탑승하고 포탑 우측에는 전차장 겸 탄약수가 탑승한다. 차체에는 좌측 전면에 차체기관총수가 탑승하고 차체 우측에는 조종수가 탑승한다. 소대장차에 한해서 탄약수가 추가로 탑승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전차 승무원이 5명이 된다. 주포의 연사속도는 분당 10발이며 숙련된 전차병은 분당 15발까지 가능하다.

1942년 4월 3일 12시 정각, 신형 치하의 시험이 시작되었는데, 우선 첫번째는 이전의 97식 57mm 전차포로 파괴 불가능이었던 M3 스튜어트에 대해 실시된 사격 시험에서는 1,000m 거리에서 명중한 47mm 전차포탄 6발 중 3발이 전면장갑을 관통, 800m 거리에서는 9발 중 6발이 전면장갑을 관통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이렇게 제작된 치하 개량형은 1942년 코레히도르 전투 당시 이전에 노획한 스튜어트와 함께 코레히도르 섬 상륙을 시작으로 실전을 치른 후, 이 때 당시는 보급이 빈약한 영국군과 미군을 파죽지세로 진격하여 몰아내는데 성공했다.[11]

결론적으로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신포탑 치하의 데뷔전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일본군 상층부도 이 성능에 만족했다.

6. 평가

6.1. 장점

6.2. 단점

6.3. 총평

일본은 국력, 특히 과학 기술력이 뒤떨어져 일류 전차를 만들 수 없었다. 노몬한 사건[26] 때는 2개 전차 연대를 근간으로 한 부대가 참전했지만 한 차례의 전투로 전력을 상실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가한 전차는 (중략) 다른 나라의 경전차나 장갑차 수준이었다. 일본 육군은 삼류에 불과했다고 봐야 한다.
'세계의 기갑사단', 요미우리 신문.[27]
"우리 포병들이 적 전차 근처에 지근탄을 날렸다. 그러나 적 전차들이 멈추기는 했으나 아무렇지도 않은 듯 보였으며 장갑도 뚫리지 않았다. 적 정비병들은 여유롭게 우리 앞에서 멈춘 전차를 손보고 있었다. 놈들 얼굴은 우리의 무력함을 비웃는 것처럼 오만하고 건방졌다.
만주 작전 당시의 보고서의 일부.
"벙커와 토치카 정도는 충분히 부수고, 보병용 총탄도 막아내는 방어력도 있고, 무엇보다도 셔먼은 물론 스튜어트 경전차조차 통과할 수 없다는 지형에서도 기동하는데 별다른 장애가 없어서 기습적인 기동전을 치르는데 도움이 되었다."
국공내전 시기 치하를 운용한 중국 전차병들의 평가.

가벼운 중량, 뛰어난 험지 돌파 능력, 적절한 화력을 바탕으로 한 고기동성 전차로 중국이나 만주처럼 도로망이 부실하고 험지가 산재한 지역에서 기동전을 펼치는데 최적화된 병기였다. 하지만 낮은 방어력과 무선통신 등 소프트웨어의 부실로 인해 대전차 전면전에는 부적합했고 이것이 결정적인 패착이 되었다. 사실 처음부터 부적합한건 아니었으나 해군과 항공기가 본토 지형상 훨씬 중요하게 여겨젔던 일본의 특성상 전차 개발을 등한시했고, 결국 타국의 기술 발전 속도를 일본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점차 도태되었다고 보는게 맞다.

즉, 치하는 전쟁 극초반에는 타국 전차들과 동등한 성능인 편이었으나 격변하는 기술 발전을 따라가지 못한게 진짜 문제점이었다. 만약 전쟁 중기에 치하를 대체할만한 제대로 된 중형-중전차가 등장하고 치하는 인마살상/진지파괴용 경전차 혹은 자주포로 재분류해 사용했다면 마지막까지 그래도 괜찮은 전차로 평가받았을지 모른다.

세간의 악명과는 달리 전시 중 대보병전에 한해서 제 몫은 충분히 해내었다고 평가받으며, 이 때문에 평가하는 사람에 따라서 평이 완벽하게 극단적으로 갈리는 병기이기도 하다.

치하의 대표적으로 선진적인 면인 디젤 엔진 자체는 전세대의 89식 중전차부터 탑재되기 시작했지만 89식 중전차는 디젤과 가솔린 엔진이 함께 탑재된 반면 97식 전차에는 디젤 엔진만 탑재되었다. 다른 나라에서는 디젤 엔진을 T-34부터 쓰기 시작했으니 나름대로 놀라운 성과이기는 하다.

당시 일본 제국은 전차 개발을 등한시하는 면도 있었고, 전차라고는 거의 없는 중일전쟁에 그리 성능이 뛰어난 전차는 필요 없었다.[28]

또한 일본의 주 전장은 항공 전력과 해상 전력이 중시되는 태평양 전선이었기에 대전차전을 신경 쓸 상황도 아니었기도 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후속전차인 1식 중전차를 포함해 전차를 비롯한 당시 일본의 군사 장비 전체에 드러나는 일본의 후진적인 야금, 제련, 공업기술을 변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애초에 일본군은 대전차전 양상에 대해서 할힌골 전투 이전부터 이미 그 중요성을 예견해서 신형 대전차포의 장착을 의논했으며, 특히 전간기에 일본군 일각에서는 전차뿐 아니라 화력전 전반에 있어서 서구의 추세를 따라가야 한다는 주장이 있었고, 개발 후 시제품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그것은 주변의 목소리에 그쳤고, 현실은 지나치게 넓어진 중국 전선과 병력 규모를 지탱하기 위한 예산이 부족해서 차량화와 화력전, 그리고 보다 강력한 육상무기의 배치와 병참은 후순위였고, 결국 이런 기조는 이후 태평양 전쟁을 수행하며 결정적인 패착의 바탕이 되었다.

화력 다음으로 전차의 심장인 엔진에 대해 이야기해 보면 치하에 탑재된 디젤 엔진은 상술했듯 공랭식의 한계로 나쁜 성능을 가졌다.

후일, 디젤 엔진을 사용하게 된 전차들은 이런 문제 때문에 수랭식을 사용했으며, 그 대표적인 사례로는 T-34M4A2가 있다.

개량해서 경전차로 재편제 혹은 자주포 형식으로 사용했어야 할 전차가 태평양 전쟁 개전 초반인 남방작전부터 2차대전 말기까지 최전선에서 돌아다녔다는 게 가장 큰 문제였다.

그리고 미국, 영국의 제대로 된 전차와 맞닥뜨린 후에는 스튜어트 전차도 어느 정도 위협적이었지만 그 윗체급인 M3 리, M4 셔먼 상대로는 답이 없었다.[29]

아이러니하게도, 적국의 주력 전차인 M4 셔먼 시리즈하고도 유사점이 많았는데, 치하 셔먼 시리즈 모두 주력 전차였고, 성공적으로 제작된 전차였기에 여러 플랫폼으로도 사용되었던 것과, 대보병, 대물 파괴 전용으로 운용되는 초기형과, 대전차전 위주로 운용되는 후기형 등, 서로 유사한 점이 매우 많았다.

일제가 패망한 이후에 남겨진 치하들은 아이러니하게도 전후의 식민지였던 나라들이 기갑장비의 공백을 매꿀 수 있게하는 큰 공헌을 하게 되었다.

7. 파생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파생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실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실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운용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운용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모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하/모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ff55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ff5500>
파일:MitsubishiHeavy.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dc142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dc142c> 전차 90식 전차, 10식 전차 치로, 하고, 치하, 치헤, 61식 전차, 74식 전차
장갑차 89식 보병전투차, 16식 기동전투차 60식 장갑차, 73식 장갑차
자주곡사포 99식 자주포, 19식 자주포 75식 자주포
자주대공포 87식 자주대공포
}}}}}}}}}}}}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천황 · 일본 황실(황실 관련 문서) ·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국장 · 기미가요
국호 국호 · 니혼/닛폰 · 야마토 · 야시마 · 히노모토 · 재팬 · 지팡구 · 미즈호 · 시키시마 · ( · · ) · 부상국 · 동영 · (왜국)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중의원 해산))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 정부홍보 온라인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도쿄도지사 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이념 · 사상 틀:일본의 이념 · 일본 좌파 · 일본의 자유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일본 내셔널리즘 · 야마토 민족주의 · 천황제 파시즘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일뽕 · 친일파 · 탈아입구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JUSCANZ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 왜관
군사 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 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나라현 경찰본부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후추 형무소 · 도쿄 구치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시대 역사 전반 ·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 ·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남북조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전국 3영걸 · 에도 시대 · 겐로쿠 · 막말 ·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 레이와 시대
정권 야마타이국 · 야마토 정권 · 소가 · 원정 · 겐페이토키츠 · 후지와라 · 헤이케 · 막부 · 쇼군 · 가마쿠라 막부 · 집권 · 무로마치 막부 · 관령 · 에도 막부 · · 조슈 번 · 사쓰마 번 · 일본 제국 · 에조 공화국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류큐 왕국
기타 일본서기 · 육국사 · 신찬성씨록 · 관위 · 후궁제도 · 봉행 · 태정관 · 공가 · 사쓰마 번 · 사무라이 · 다이묘 · 닌자 · 공가 · 화족 · 데지마 · 카쿠레키리시탄 · 쿠로후네 사건 · 에조 · 에도 · 왜구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다이쇼 로망 · 대일본제국 헌법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 일제강점기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코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일본의 역사왜곡(일본의 전쟁범죄 · 해군선옥론 · 육군악옥론 · 일본 극우사관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야스쿠니 신사 · 전범기업) · 오키나와/역사 · 전공투(적군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무역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내지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 대단해 · 애국 비즈니스)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 펀드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비짓 재팬 웹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교포 일본계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미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팔라우인 · 일본계 러시아인 · 일본계 대만인 · 일본계 멕시코인 · 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영국인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니기리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일본학 · 국학 ·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그랑프리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왕자계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데코라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특공복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와패니즈 }}}}}}}}}}}}


할힌골 전투의 일본군 기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할힌골 전투
관동군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191919> 차륜 장갑차 93식 스미다
노획 장갑차 BA-6, BA-10M
전차 탱켓 94식 경장갑차, 97식 경장갑차 테케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중형전차 89식 중전차 치로 갑형,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 97식 중전차 치하
노획전차 BT-5, BT-7
견인차량 94식 견인차 요케, 98식 13톤 견인차 로케
견인 차량 95식 13톤 견인차, 이스즈 98식 6톤 견인차 로케, 92식 8톤 견인차 니쿠, 치하 견인차, 98식 견인차 시케
차량 소형차량 95식 쿠로가네
트럭 니산 80, 니산 180, 94식 트럭, 97식 트럭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할힌골 전투의 소련군 기갑차량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할힌골 전투
소련군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T-27, T-26 1931년형, T-26 1932년형(2-K), T-26 1932년형(5-K), T-26RT, T-26 1933년형, BT-2(5-K), BT-2(DA-2), BT-7, BT-7RT, BT-7A, BT-7A RT, BT-5, BT-5RT, T-37A, T-38
화염방사전차 KhT-26, KhT-27, KhT-37, KhT-130, KhT-133
노획 전차 T-2597, T-2595
자주포 SU-1-12, SU-5-2, SU-12
장갑차 BA-I, BA-3, BA-6, BA-10M, BA-20, BA-27, BA-27M, FA-I, D-8
차량 차량 GAZ-M1
트럭 GAZ-AA, GAZ-AAA, ZiS-5
자주대공포 GAZ-AAA(4M), GAZ-AAA(DShK)
화포견인차 코민테른, S-2, S-65, STZ-3, STZ-5, Voroshilovets, T-26T, T-20 콤소몰리예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기갑장비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르노 FT, NC-31, 카든 로이드 Mk.VI, 빅커스 6톤 전차, 빅커스 6톤 전차 F형, 카든 로이드 M1931, 1호 전차, CV-33, CV-35, 97식 전차 치하
렌드리스 전차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M3A3, M5A1 스튜어트, M4A3, M4A4, M8 그레이하운드, LVT(A)(4) 파일:소련 국기.svg아식 구돈반전차, BT-5 파일:호주 국기.svg 유니버설 캐리어
장갑차 차륜 장갑차 Sdkfz221, Sdkfz222, BA-10, BA-3/6, FAI, ADGZ
정찰 및 수송, 견인차량 M3 하프트랙, CCKW, M3A1 스카웃 카, 르노 UE (Chine)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세미데샤트카», T-70B «세미데샤트카» , T-80X,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SU-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ZSU M15A1 CGMC, ZSU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808000>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808000> 경전차 M1, M2(A1/A2/A3/A4), M3(A1/A3),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 M2A1, M3 (A1, A2, A3, A4, A5, A6), M4,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 M6, M26 퍼싱, T26E4-1(M26A1E2) 슈퍼 퍼싱
장갑차 차륜 장갑차 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 M39 AUV
반궤도 장갑차 M2, M3, M5, M9
상륙장갑차 LVT, LVT(A)-4
자주포 자주박격포 M4 MMC, M4A1 MMC, M21 MMC
돌격포/돌격전차 M8 HMC "스콧",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T26E2 시제 중전차P
자주곡사포 M7 HMC M12 GMC, M40 GMC, M43 HMC
대전차 자주포 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M8A1 GMC
자주대공포 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 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 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741, 인디언 340, 인디언 M1, 인디언 841
프로토타입 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92, M38 울프하운드, T55E1 GMC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P: 전시 중 프로토타입으로 생산되었으나 전후 제식화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기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지상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Mk.6 경전차, 르노 R35, M3 스튜어트, M24 채피
중형전차 M3 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 셔먼 II
순항전차 A.C.I "센티넬", A.C.II, A.C.III, A.C.IV "썬더볼트"
보병전차 밸런타인 전차, 마틸다 II, 처칠 IV, 처칠 V, 처칠 VII
노획전차 M.11/39, M.13/40, 치하 개량형
장갑차 다임러 딩고, 라이노 중장갑차, 로버 경장갑차(LAC), S1 스카웃, T17E1 장갑차, 유니버설 캐리어
오토바이 BSA WM20
트럭 포드 F15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기갑장비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기갑장비
전차 <colbgcolor=#b22222> 경전차 스튜어트 I, 하고
중형전차 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V, 신포탑 치하
보병전차 밸런타인 전차
자주포 StuG mit 75/18 850(i), 섹스턴
장갑차 ACV-IP Mk.I, Mk.II, Mk.IIA, Mk.IIB, Mk.IIC, Mk.III, Mk.IV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장비 }}}
}}}}}}


국공내전 시기의 국민혁명군 기갑장비
파일:대만 육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국공내전
국민혁명군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393b42>94식 경장갑차 TK, L3/35, 아식 구돈반전차, M3A3 스튜어트, M5A1 스튜어트
중형전차 치하, 치하 지휘차형, 치하 개량형, M4A1, M4A2, M4A3, M4A4
자주포 제8식 75포 전차, M10 105호미 자행곡사포, 94식 75mm 산포 탑재 치하
장갑차 91식 소모, LVT(A)(4), LVT (4), M8 그레이하운드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


국공내전 시기의 중국공농홍군 기갑장비
파일:중국공농홍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de2910> 국공내전의 홍군 기갑차량
전차 <colbgcolor=#de2910> 탱켓 92식 중장갑차
경전차 L3/35NRA, 아식 구돈반전차NRA, M3A3 스튜어트NRA, M5A1 스튜어트NRA, 97식 전차 치하NRA/L, 97식 전차 치하 개량형NRA/L, 공신호 경전차M, 95식 경전차 하고
중형전차 M4A2NRA/M
장갑차 95식 장갑궤도차 소키, M3A1 스카웃카NRA, LVT(A)-4NRA, LVT(A)-4 (94식)NRA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LVT(A)-4 (ZiS-2)NRA/M/X, LVT-4 (ZiS-3)NRA/M/X
자주포 94식 75mm 산포 탑재 치하NRA
※ 윗첨자NRA: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M: 개조한 차량
※ 윗첨자X: 국공내전 극후반~ 전후에 편제되어 사용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파일:소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냉전기
소련군기갑차량
전차 <colcolor=#fff> 시대별 세대 구분 <colcolor=#fff> 1세대 전차 <colcolor=#fff> 중형전차 <colbgcolor=#fefefe,#393b42>T-2597 «치하»L/R, T-2597 «신호토 치하»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중전차 MK-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중형전차 K-91, T-54, T-55, T-62(A/M), T-64
중전차 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 PT-76 «플라분», PT-76B «플라분», PT-85, T-100
미사일 전차 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력전차 T-64A
2세대 주력전차 T-72
3세대 주력전차 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 T-62B, T-64(A/R), T-72A
2세대 MBT 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 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 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 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 MAZ-7310, ATS-59, GAZ-51, GAZ-63, ZIS-150, ZIL-150, ZIL-164 «자하르»,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14,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 SU-122R, 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 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 SU-57L/R, SU-M10L/R, SU-76IL/R, SU-76M, SU-85R, SU-85M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 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 T-26R, T-70 «세미데샤트카»R, M24 채피L/R, T-2595 «하고»L/R, MK-IIIL
구난전차 IMR-2, BTS-4, IMR
기타 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공신호 전차CN, M5A1CN/?
중형전차 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 IS-2CN
화염방사전차 OT-34CN
장갑차 BA-64, BTR-40
자주포 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 M-72
노획 차량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1c25>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 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 <colbgcolor=#ee1c25>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 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 99A식 전차
경전차 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 차륜장갑차 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 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SU-85 구난전차L/M/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 소형 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 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지에팡 CA1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 자주곡사포 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 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76ML/R, SU-85L/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 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 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 인도네시아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인도네시아 국군 (1945~현재)
Tentara Nasional Indonesia
기타전차 치하IJA/R, M4 셔먼C/R, M3A3 스튜어트C/R, M5A1 스튜어트C/R, 하고IJA/R, 97식 경장갑차 테케IJA/R,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을형IJA/R
MBT 3세대 레오파르트2(A4+/RI)
경전차 AMX-13-(90/105)R, PT-76R, FV101 스콜피온, 하리마우
장갑차 차륜장갑차 파나르 EBR, {판두르 II}, 두산 타란튤라, 핀덱 데덱 · APS-3 아노아,
V-150, 맘바, 부시마스터, 카스피르, FV601 살라딘, FV701 페렛,
VAB, 르노 셰르파 II, BTR-152R, BTR-40, BTR-82A, BTR-4M, 바라쿠다POLISI, 블루샤크POLISI, LAWPOLISI
궤도장갑차 M113(A1/A2), 마르더 1A3, FV4333 스토머, AMX-10P,
AMX-VCI, BTR-50PKR, BMP-2, BMP-3F, KAAVP7A1O
<colbgcolor=#ffffff,#191919> 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소형 코모도, M151, 디펜더, VBL, K-131, P6 ATAV
트럭 KM500, KM450, M35, M939, 유니목 U1300L, 볼보 FMX, 카이저 M715R
자주포 자주곡사포 CAESAR, M109A4BE, AMX Mk.61R
자주박격포 아노아-M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R
단거리 대공미사일 셰르파 TNI AD*, 코모도 AD*, URO VAMTAC ST5 AD, 디펜더 AD, NASAMS
다연장로켓 RM-70 그라드/밤피르 R-Han 122, NDL-40, ASTROS II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M3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 {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차량의 지붕에 미스트랄 발사기를 올린 대공용 파생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기타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경전차 PT-76(B)R, AMX-10RCC
중형전차 T-34-85MC
중전차 IS-2R, IS-2MR, IS-3MR, T-10MR
퍼레이드용 차량 T-2597 «신호토 치하»C/R, T-34 (1941)R, T-34 (1942)R, T-70 «세미데샤트카»R, T-34-85R, T-34-85MR, T-34-85CZR, MK-IIIR, SU-76MR, SU-85R, SU-85AR, SU-100R, ISU-152R, ISU-122R, 윌리스 MBR, BA-64R, BA-6R, TIZ-AM-600R, T-20R, T-26RTR, KhT-26R, T-38R, T-60R, T-28R, T-35R, MS-1R, BM-13R
MBT
서방식 분류
1세대 T-54(AM/M)RC, T-55(AD · AM · AMV)RC
2세대 T-62(M · MV)RC, T-64(A/B · B1 · BV · BMC), T-72(우랄/ARC · M1C · B · BA), T-80(BRC · BV · BVM)
3세대 T-80(U · UDRC · UK · UM2D · BVM) , T-72(B3(M)), T-90(A · S), M1A1 SAC
3.5세대 T-90M, T-14, 레오파르트 2A6C
장갑차 차륜장갑차 BDRM-2/2RkhbRC, BTR-60RC, BTR-70RC, BTR-82AM/82A/82A1, BTR-90S,
BTR-4C, BPM-97, AMN-590951, {K-16 부메랑 BTR}, {K-17 부메랑 BMP}, Z-STS, 05식 장갑차, M2010 APC?
궤도장갑차 MT-LB, BMD-2, BMD-3, BMD-4, BMP-1S(M · AMㆍUC), BRM-1(K)/Obr. 2021, BMP-2(M), BMP-3, BMPT, BMO-T, {T-15},
{쿠르가네츠-25(BMP · BTR)}, {BMMP}, PTS-2, PTS-3, DT-30, BTR-50RC, YPR-765C, M113C, CV90C, M2A2 ODS-SAC, 마르더 1A3C
차량 소형 UAZ-469, GAZ-2975 티그르, GAZ-2330 티그르, 이베코 LMV, VBL, UAZ-3132, UAZ-3163, 타루스2x2, A-1, TTM-1901-40, K-4386 타이푼-VDV, M1224 MaxxProC, M-ATVC, HMV 하야테, 플라스툰-SN
트럭 GAZ-51, GAZ-63, GAZ-66, GAZ-33097, MAZ-7310, MAZ-6317C/R, 우랄-4320, 우랄-5323, ZiL-131, KamAZ-4326, KamAZ-4350/5350/6350, KamAZ-65225, KamAZ 타이푼, BAZ-6906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A-222 베레크, 2S19 무스타-S, 2S35 칼리챠-SV, 2S43 말바, 주체포?
자주평사포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노나-S, 2S23 노나-SVK, 2S31 베나, 2S34 호스타, 2S39 매그놀리아, 2S40 플록스, 2S41 드로크, 2S42 로토스
대전차 자주포 2S25(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4 · M5) 쉴카, 2S6(M1) 퉁구스카, 판치르-S1, 소스나-R , {2S38 데리바치야-PVO}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M1) 퉁구스카, 판치르-S1, 9K331 토르-M1, 9K33(M3 · AKM) 오사, 9K35(M3 · MN)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BM-21 그라드, BM-27(M1) 우라간, BM-30 스메르치, 9A52-4 토네이도, TOS-1A 솔른체푝, TOS-2 토소치카, 체부라시카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윗첨자D: 전량 손실
취소선: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도입 의혹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4. 관련 문서



[1] 해당 차량은 이바놉스코예 국립 군사 기술 박물관에 소장된 개체로, 현존 유일의 기동 가능 치하이기도 하다.[2] 치이와 치로는 각각 시제 87식 중전차, 89식 중전차의 별명이다.[3] 러시아 한정으로 치하 개량형 1대를 의장용 및 각종 행사용으로 운용 중. 본가인 일본에서는 1945년 패전 후 비무장 방침으로 인해 완전 퇴역함.[4]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해군, 일본 제국 해군 육전대[5] 3인용 포탑이기 때문에 전차장이 더 이상 포수의 역할을 병행하지는 않지만, 포수 또는 탄약수가 전투 불능 시에 포수 또는 탄약수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6] 차체 전면 동축기관총 사수석과 포탑 후부의 볼마운트에 각각 1정씩 있으며, 포탑 상부의 대공용 마운트에 1정을 추가로 더 장비할 수 있다.[7] 또한 무전기를 탑재한 지휘차 사양이더라도 무전 침묵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사용했다.[8] 포탑용 신호등은 일본 해군이 개발한 수륙 양용 전차 특 2식 내화정 카미에도 탑재되었다.[9] 미국 문화유산 박물관에 소장된 개체로, 1943년 미 해병대가 노획한 단차이다.[10] 사실 100m부터 금이 가기 시작했다.[11] 사실 당시의 미군은 포위된 상태인데다가 코레히도르 전투 당시에 주둔 중이었던 인력 및 보급물자도 맥아더의 실책으로 바탄 반도에서 손실하는 등 미군의 상태는 좋지 못하였다.[12] 수직 벌류트 현가장치는 벨 크랭크나, 크리스티 현가장치보다 험지 주파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어 정글에서 이동시에 이에 애로사항이 있었다.[13] 이는 치하 뿐만 아니라 하고 전차도 동일한 현가장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14] 마찬가지로 바다를 건너가야 했던 M4 셔먼은 중량이 30톤 선으로 결정되었고, 후기 차량인 M26 퍼싱의 중량 또한 같은 이유로 42톤으로 제한되었다.[15] Japanese Tank and Antitank Warfare, Aug. 1, 1945, Military Intelligence Division Special Series No.34, p.82[16] 실제 47mm 포로 정면 관통이 가능한 셔먼은 M4A1M4A4 이 2개의 사양이다. M4A1는 설계 결함으로 인하여 전면장갑의 양측이 둥글게 말려들어가는 구조인지라 방호력이 60mm 수준밖에 되질 않았고, M4A4는 전면 관측창의 방호력 문제로 역시 마찬가지로 60mm 수준밖에 되질 않았다. 아마 두 사양 중 하나인 듯 하다.[17] Ibid., p.176.[18] 이는 소련의 다목적 자주포들, 특히 ISU-152SU-152 등도 이러한 문제로 명중률이 낮아 골머리를 앓았던 기록이 존재한다. 다만 참고해야 할 점은, 이 둘은 자주곡사포인데도 불구하고 대전차 자주포중돌격포를 겸임하도록 중장갑을 갖추고 돌격작전에까지 쓰이다 보니 곡사용 간접 조준경을 갖췄던 것이고, 치하는 전차다.[19] 마틸다 II가 대전차포치고는 피탄면적이 넓고 높이가 높은 8,8cm FlaK에게 당한 이유중 상당수가 이런 문제 때문이다.[20] 일본 전차 중 포탑 선회에 모터를 채용하고 바닥에 바스켓을 설치한 것은 시제 5식 중전차 치리 뿐이였다.[21] 현재도 한파인 날, 가끔씩 정비 부실 차량의 라디에이터가 고장나는 사례가 있는데, 하물며 그 시기에는 기술력이 지금보다 낮아 이런 문제 탓에 수랭식 엔진을 거의 채용하지 않았다. 오죽하면 아돌프 히틀러도 독일의 추운 겨울 기후에 맞게 KDF 바겐의 엔진을 제작시 수랭식이 아니라 공랭식으로 제작하라고 했을 정도였다. 이래서 그 당시 낮은 기술력으로도 수랭식을 채용한 소련의 하르키우 모델 V-2 엔진과 미국의 제너럴 모터스 사의 6046 디젤엔진이 고장이 나지 않아 최고의 디젤엔진이라고 찬사 받는 것이다.[22] 티거 2의 무게와 엔진 출력은 69.7톤에 700 마력이고 치하는 15톤에 170마력이다.[23] 다만 이는 모든 공랭식 자동차에 해당되는 단점이다. 추운 지방이면 모를까 매우 더운 지방에서는 공랭식 차량을 과도하게 운행할 경우 엔진 블록 사이에 피스톤이 녹아 벽에 붙어버리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낮은 내구도로 악명이 높은 로터리 엔진 또한 사이클 구조와 낮은 냉각 효율의 문제로 공랭식과 동일한 단점을 지니고 있다.[24] 그리고 이 또한 당연하지만 공랭식 엔진이라고 다 그렇진 않다. 기술에 따라 보완이 되는 부분이며 당장 이후에 나온 미국 전차들은 거의 다 공랭식 엔진이다.[25] 이는 Ki-84 하야테도 동일하게 겪은 문제였는데, 병기 자체에는 문제가 없었으나 공업력의 한계로 각 공장간의 부품 내구도, 호환성이 천차만별이었다.[26] 할힌골 전투의 일본 명칭.[27] 무려 치하를 만든 국가인 자국의 신문마저 이렇게 까댔을 정도로 치하의 성능이나 신뢰성은 일본 국내 기준으로도 무척 낮았다.[28] 중국 전선의 경우는 애초에 국가 인프라가 부족했던 것도 있어서, 티거 같은 중전차가 있더라도 사용할만한 지반이 없었을 정도다. 야포 같은 경우도 양 군(중국군/일본군) 전쟁 끝까지 가지고 다니기 쉬운 소구경포를 사용할 정도였다.[29] 그런데 전차 무장이 약하다 장갑이 약하다 탓하는 것은 사치에 가까운 것이, 아시아 대륙이 아닌 동남아의 섬 지역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은 하루 몇 톤 겨우 보급하는 병참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랬으니 설령 신형 전차를 개발했다고 해도 1대에 10톤이 넘는 전차와 그 전차가 꾸준하게 소비할 보급품을 정기적으로 상륙시킬 능력은 없었다. 이후 기껏 개발했다는 치니, 치누 등의 신형 전차들을 본토결전이랍시고 본토에만 배치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그나마 역전승의 가능성이라도 보였던 과달카날 전역에서 제공권을 잃은 후 일본군이 할 수 있었던 건 도쿄 익스프레스 정도였다. 발빠른 구축함에 드럼통을 줄줄이 비엔나 소세지처럼 달아서 보급하는 것. 이런 상륙용 주정 따위는 바랄 수도 없는 상황에서는 전차같은 건 기대도 할 수 없는 보급품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6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