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0:03:31

유치원

유아학교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킨더가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게임에 대한 내용은 Kindergarten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유아 유치원 | 어린이집
초등 초등학교
중등 중학교(고등공민학교) | 고등학교(고등기술학교) | 영재학교
고등 전문대학 | 기능대학 | 기술대학
대학 | 교육대학 | 특수대학 | 산업대학 | 원격대학
대학원 | 전문대학원 | 특수대학원 | 대학원대학
평생 전공대학 | 사내대학 | 원격대학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기타 각종학교 | 대안학교 | 특수학교 | 외국인학교 | 외국교육기관 | 평가인정 교육훈련기관
}}}}}}}}} ||



1. 개요2. 역사 및 명칭3. 현황
3.1. 한국
3.1.1. 한국 유치원의 연간 행사3.1.2. 단설/병설3.1.3. 해외 한인 유치원3.1.4. 사건사고
3.1.4.1. 2016년 유치원 지원금 대란3.1.4.2. 비리 유치원 명단 공개
3.1.4.2.1. 관련 문서
3.1.5. 지역별 최초의 유치원3.1.6. 영어유치원3.1.7. 유치원 관련 통계
3.1.7.1. 연도별 유치원 취원율
3.2. 외국
4. 유아교사5. 기타6. 관련 문구7. 대중매체에서8. 관련 문서

1. 개요

유아교육법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유아"란 3세부터[1] 초등학교 취학 전까지의 어린이를 말한다.
  2. "유치원"이란 유아의 교육을 위하여 이 법에 따라 설립·운영되는 학교를 말한다.
  3. "보호자"란 친권자·후견인 그 밖의 자로서 유아를 사실상 보호하는 자를 말한다.
  4. 삭제 <2012. 3. 21.>[폐지전내용1]
  5. 삭제 <2012. 3. 21.>[폐지전내용2]
  6. "방과후 과정"이란 제13조제1항에 따른 교육과정 이후에 이루어지는 그 밖의 교육활동과 돌봄활동을 말한다.

[4] / Preschool, Kindergarten

초등교육기관 입학 전의, 학령이 안 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신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기관이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상 범위는 어린이집이 더 넓고, 어린이집은 보육, 유치원은 교육에 목적을 두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유치원 알리미 - 어린이집·유치원정보공시제도 포털사이트
유치원은 만 3세~만 5세 즉, 연 나이로 4~6세, 세는 나이로 5살~7살 어린이가 다닐 수 있는 기관이다.[5] 세는 나이로 4살까지는 유치원에 입학할 수 있는 곳도 있고 취학유예자를 제외하고는 5살부터 7살까지 재학이 가능하다.

유치원도 학교와 마찬가지로 국립·공립·사립으로 나뉜다. 사립 유치원 중에는 가톨릭·개신교·불교 등 종교재단에서 미션스쿨 방식으로 운영하는 곳도 많다. 우리나라는 국교(國敎)가 없으므로, 국·공립 유치원에서는 종교색을 띠지 않으며 특정 종교 교육을 하지 않는다.

2. 역사 및 명칭

쉬운 음악·그림·공작(工作)·유희 등을 가르치는 곳으로, 최초의 유치원은 1837년에 독일의 교육자 프리드리히 프뢰벨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유치원이라는 말도 프뢰벨이 만들었다.

미국 최초의 유치원은 1860년 미국의 교육자 엘리자베스 파머 피바디가 설립했다. 피바디는 프뢰벨의 "6살 이전의 아이를 교육 시설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프뢰벨의 제자 마가레테 슈르츠를 만나서 프뢰벨의 교육 철학을 미국의 아동 교육에 쓰기로 했다.[6]

현존하는 한국 최초의 유치원은, 1914년 이화학당에 만들어진 이화유치원이며, 최초의 개신교계 유치원이기도 하다(오늘날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7] 강원특별자치도는 1916년 원주의 정신유치원이, 제주특별자치도는 1924년 제주 성내교회가 설립한 중앙유치원이 최초이며, 최초의 불교계 유치원은 1923년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에 설립된 금천유치원이었다.[8]

유치원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Kindergarten은 원래 독일어 단어이며, '어린이(幼兒, 幼稚, Kinder는 Kind의 복수형이며 Kind는 어린이를 의미한다) 정원(園, Garten)'이라는 뜻이다. 이것을 영어로 직역하자면 Childrengarden. '유치원'이란 단어도 이 킨더가르텐을 번역한 것이다. 일본에서 이 독일어를 그대로 한자화하여 유치원으로 고착화되었으며, 현재 일본잔재 1호로 분류되어있다.[9] 실제로 유치원은 법적으로 학교로 분류되고 있어, '유아학교'라고 순화해야 한다는 운동이 펼쳐지고 있고, 2020년 하반기부터 청와대 국민청원까지도 올라가있었다.

중국에서는 유아원(幼兒園/幼儿园)이라고 하고, 홍콩과 대만에서는 유치원이라고 써 왔는데 대만의 경우 2011년에 유아교육및보호법을 제정하면서 정식 명칭을 유아원으로 바꾸었다. 한자문화권베트남에서는 쯔엉머우자오(Trường mẫu giáo / 場母敎)라고 한다.

3. 현황

3.1. 한국

교육기간은 3세[10]에서 초등학교 입학 전까지 3~4년(6~8학기)간이다. 입학하는 해에 3세가 되는 아이부터 입학 대상이며 이 때문에 일부 부모들은 아이가 12월생이면 1년 늦게 입학시키기도 한다. 과거에는 3월에 그 기준이 잡혀 있었기 때문에 일부 부모들이 1~2월에 태어난 아이를 일부러 1년 늦게 입학시키는 경우가 있었다.[11] 일부 유치원은 입학하는 시점에서 기저귀를 떼야 입학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 천식 등 특정 질환을 앓는 경우는 입학이 거부되기도 한다.

2020년 4월 현재 유치원 재학 대상인 유아의 인구 수는 127만 2,653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특별시 20만 1,049명[12], 부산광역시 7만 5,859명[13], 대구광역시 5만 8,186명[14], 인천광역시 7만 3,737명[15], 광주광역시 3만 8,455명[16], 대전광역시 3만 7,297명[17], 울산광역시 3만 2,437명[18], 세종특별자치시 1만 4,776명[19], 경기도 36만 6,110명[20], 강원특별자치도 3만 2,400명[21], 충청북도 3만 8,995명[22], 충청남도 5만 4,979명[23], 전북특별자치도 4만 652명[24], 전라남도 4만 899명[25], 경상북도 6만 994명[26], 경상남도 8만 7,141명[27], 제주특별자치도 1만 8,687명[28]이다. 다만, 어린이집 이용이나 조기입학 등의 사유로 127만 2,653명 전부가 유치원에 다니지는 않으며, 현재 유치원생은 63만 3,913명[29]이고 그 중 여아 31만 3,095명[30], 남아 32만 848명[31]으로 전체 유치원생의 성비는 약간 남초이다. 1960년에는 유치원생 수가 1만 6,315명이었으나[32] 계속 늘어 2016년 70만 4,13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현재는 감소 추세에 접어들었다.

비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이런 유아가 면 전체에 한 자리 수에 불과한 지역도 찾을 수 있다.[33]

교육과정은 1969년에 제1차 유치원 교육과정이 제정, 공포되었고, 2000년 3월에 제정된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2007년에 개정된 유치원 교육과정을 거쳐, 현재는 유아교육과 보육과정을 통합해 3~4세까지 확대된 누리과정으로 교육하고 있다. 2008년부터는 3년 주기로 5개의 평가 과정과 4개의 평가 영역으로 나뉘어 국가 수준 유치원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학교평가랑 비슷하다고 보면 될 듯. 근래 들어서 교육부에서 열심히 광고하고 있다. '만 3, 4, 5세가 다니는 학교', '아이의 첫 학교'라는 것을 유난히 강조한다. 다만 홍보 수단이 포스터와 현수막[34]밖에 없어서 효과가 그렇게 크지는 않은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 유치원은 의무교육과정이 아니지만,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된 장애인에 한해서는[35] 의무교육과정으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이것도 2010년부터 시행된 것이라서 그렇게 오래된 것은 아니다.[36] 또한 특수교육법에는 유치원의 경우 장애아동이 1~4명일 경우 특수학급을 1학급, 4명을 초과하면 2개 이상의 특수학급을 신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지만, 위에서 말한 대로 둘은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어린이집은 영유아보육법에 의해 운영되고, 유치원은 유아교육법에 의해 운영된다.

국립유치원은 교육부 장관의 지도·감독을 받으며, 공립·사립유치원은 교육감의 지도·감독을 받는다. 1976년 이전에 우리나라의 유치원은 모두 사립이었으나[37], 이때부터 국·공립유치원도 서울부산을 중심으로 설치되기 시작해서 1981년부터는 국·공립유치원의 수가 사립유치원의 수를 앞지르기 시작했지만, 언제부턴가 사립유치원이 다시 많아지기 시작했다. 이런 사태 때문인지 2019년에는 시도 교육청이 사립유치원을 매입해 공립으로 전환하는 매입형 유치원도 등장할 정도이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 유치원은 대체로 교회, 성당, 등 종교기관의 부설로 설립되었다.

2020년 기준으로 국공립유치원은 4,856곳, 사립유치원은 3,978곳으로 전국적으로는 국공립이 878곳 더 많지만 전체 유치원 재원생 67만 8,296명 중 약 75%인 50만 6,009명이 사립유치원에, 나머지 17만 2,287명이 국공립유치원에 다니고 있었다. 그나마 공립유치원 재원생의 비율이 높은 지역은 대부분 농어촌 지역이다. 지역별로 따지면 서울과 6대 광역시[38]는 사립유치원의 비중이, 나머지 10개 지역[39]은 국공립유치원의 비중이 더 큰 편이다.

특이하게 경기도수도권 지역이라 사립유치원의 비중이 더 커 보일 것 같지만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 포천시 등 농어촌 지역과 북부, 동부 지역의 중소도시에서 사립유치원의 비중이 작아서 도 전체로 봤을 때는 국공립유치원의 비중이 약간 더 큰 편[40]이다. 게다가 3기 신도시[41]에 설립되는 모든 유치원이 공립유치원이라 경기도에서 공립유치원보다 사립유치원이 많아질 가능성은 희박하다. 다만 시골로 가면 관내에 사립유치원이 하나도 없는 군도 있다. 이런 군은 2024년 기준으로 총 28곳 있는데 경남 5곳 (의령[42], 산청[43], 고성[44], 하동[45], 남해[46]), 전북 5곳 (무주[47], 진안[48], 장수[49], 임실[50], 순창[51]), 전남 6곳 (강진[52], 고흥[53], 보성[54], 곡성[55], 신안[56], 함평[57]), 대구 1곳 (군위[58]), 경북 4곳 (청송[59], 울진[60], 영양[61], 영덕[62]), 강원 5곳 (화천[63], 양구[64], 인제[65], 평창[66], 고성[67]), 충북 1곳 (단양[68]), 충남 1곳 (서천[69])이며 경기도[70]에는 이런 군이 없다. 다만, 농어촌 지역의 유소년 인구 감소로 사립유치원들이 경영 악화로 문을 닫으면서 사립유치원 없는 군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이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아이를 사립유치원에 보내고 싶으면 다른 지역에 있는 유치원으로 보내야 한다. 시 중에서는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속초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만 사립유치원이 없으나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등도 사립유치원 없는 시가 될 위험이 있다.

국립 유치원은 전국 통틀어서 딱 3개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71], 공주대학교에 있는 부설유치원이 그것.[72] 공립 유치원은 단설과 병설로 나뉜다. 단설은 유치원을 단독으로 운영하는 것이고, 병설은 공립학교에서 부속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병설의 경우 대부분이 공립 초등학교에서 부속으로 운영하지만[73], 아주 드물게 중·고등학교에서 부속 운영하는 유치원[74][75]이 있다.[76] 학부모들은 병설보다는 단설을 선호하는데, 병설 유치원은 초등학교가 방학에 들어가면 강제적으로 같이 방학에 들어가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중학교 병설도 갯수는 매우 드물지만 마찬가지이고, 고등학교 병설은 고등학교가 방학 중일 경우에도 보충수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문을 여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 시설도 단설이 좋은 경우가 많다. 하지만 초등학교 적응 문제를 이유로 병설을 선호하는 학부모들도 많은데, 병설유치원에 갈 경우 대부분 그 유치원이 소속된 초등학교로 진학을 하기 때문이며[77] 병설의 경우 재단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골에는 병설유치원만 있는 군[78]도 있어서 해당 지역에 거주할 경우에는 선택의 여지가 사실상 없다.

다만 국립유치원은 3개 모두 국립대학 예하에 있다보니 모두 대학교 병설인데, 방학 때에도 문을 여는 대학교 특성상 병설 공립유치원이 가지는 문제점을 상쇄시킨다. 수도권영남, 호남, 제주도에는 없고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에 하나씩만 있다. 당연히 해당 유치원과 연관된 대학들이 이곳에 있기 때문이다.

저출산, 고령화의 영향으로 지방 군 지역에 있는 유치원 중 전체 원생이 10명 미만인 '초미니 유치원'도 늘고 있으며[79], 아예 원생이 1명밖에 없는 유치원도 생기고 있다. 이런 경우는 강원특별자치도[80]경상북도 북부 농촌[81]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6개월에서 1년에 1번 생일잔치를 하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심한 경우는 유치원 졸업반에 원생이 1명밖에 없어 ‘나 홀로 졸업식’을 치르거나 모든 원생이 3, 4세반이라 졸업식을 치르지 못하는 경우도 있고, 몇 명 안 남은 마지막 원생이 해당 유치원을 졸업하는 순간 유치원 문을 닫는 경우[82]도 있다.

유치원 중에서도 미션스쿨이 있다. 개신교 교회 부속으로 운영되는 유치원은 '선교원'이라고도 부른다. 가톨릭계 유치원은 성당 부설 유치원인 경우도 있고, 수도회에서 운영하는 유치원도 있는데, 특히 수녀들이 유치원 일을 많이 하고 있다(원장이나 교사 등). 불교계 유치원도 있으며, 이태원동이슬람 사원에도 무슬림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유치원이 있다. 불교계 유치원에서는 비구니들이 원장이나 교사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고[83], 수계법회를 해 주기도 한다. 잘 알려진 불교계 유치원으로는 부산광역시내원정사가 있다. 가장 오래된 불교계 유치원은 1923년 강릉에 설립된 금천유치원이다.

비장애인 아이와 장애인 아이가 함께 다니는 통합 유치원이나 장애인 전용 유치원도 있다. 이런 유치원에는 장애인 아이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있으며, 아래에서 말하는 근무지를 유치원으로 발령받은 학교 사회복무요원들은 장애학습 지원을 명목으로 대개 장애인 원아가 다니는 유치원에 배치된다.

옛날에는 일부 영어유치원만 입학 경쟁이 있었지만, 정부에서 무상보육 제도를 시행하기 시작하면서 어느 유치원이든 상관없이 대입 수시, 공무원 공채에 못지 않는 경쟁률이 터져버렸다. 특히 사립유치원에 비해 원비가 저렴해서 인기가 높은[84] 공립유치원들은, 아예 11월 경에 신청을 받은 다음에 추첨으로 입학생을 선발할 정도이다. 결국 일부 지자체에서는 유치원 입학을 온라인으로 신청하는 시스템을 구축, 이를 통해서만 입학 신청을 받고 추첨 결과는 문자로 발송하도록 하기로 결정했다.

유치원을 다니면서 한글을 떼거나, 아예 한글을 떼고 유치원에 입학하는 경우도 있다. 초등학교에서 1학년 국어 수업시간에 한글을 가르치지 않고, 사실상 처음부터 다음 단원으로 넘어가게 만든 원인.[85] 하지만 누리과정에서는 한글을 직접적으로 교육하지 않도록 편성되어 있다. 일부 유치원에는 수영체육 과정을 추가한 아기스포츠단[86]도 있다. 당연히 원비도 비싸고 특성상 지켜야 할 규칙도 엄격하다. 이는 비만 예방 및 스트레스를 푸는 요령을 어릴 때부터 배우기 위해서이다. 또한 어릴 때부터 근육량 등 기초체력이 높으면,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도 한다.

2010년대 중후반부터는 정부의 소프트웨어 교육 의무화 때문인지 코딩 조기교육 열풍이 불면서, 코딩을 가르치는 유치원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생겨나고 있다. 당연히 원비는 200만원 수준으로 비싼 편이다. 이런 유치원에는 코딩 수업을 위한 태블릿 PC까지 있다.

이렇게 유아기때부터 과열된 조기교육·사교육 열풍에 반발하여, '숲 유치원'이라는 유치원들도 생기고 있다. 말 그대로 자연 속에서 자유로이 뛰어놀며 배우는 유치원이다.

유치원에서도 봉사활동이 가능하다. 청소년의 경우 국ㆍ공립유치원에서 했다면 봉사시간이 인정되지만, 사립유치원에서 했다면 인정되지 않는다.[87] 유아교육과에 다니는 대학생들은, 학과가 학과다 보니 유치원에서 교육봉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에서 하는 경우도 많다.

'반일반'과 '종일반'이라는 개념이 있다. 오후에 하원하면 반일반, 저녁에 하원하면 종일반이라고 하며 일반 학교처럼 방과후 교실을 운영하는곳도 많다. 어린이집도 마찬가지.

유치원에서는 대개 1~3개월마다 생일파티[88]를 한다.[89] 다만 농어촌 지역 등 인구가 적은 지역에 있는 유치원에서는 원생이 너무 적은 탓에[90] 4개월이나 6개월, 심하면 1년에 1번씩 하기도 한다. 묶어서 하는 경우에는 3~4월, 5~6월 등과 같이 이웃한 달끼리 묶어서 한다. 그리고 파티 날에는 생일 주인공들에게 한복을 입고 오게 하며[91], 간혹 가다 복장제한을 걸지 않기도 한다. 물론 여호와의 증인 신도인 원아인 경우 열외시키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 생일잔치에서 결석자가 보인다면 거의 질병으로 결석했거나 여호와의 증인 신도라고 보면 된다. 간혹 여행 중이거나 친척 장례를 치르느라 결석하는 경우도 있지만.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3, 4월에 유치원이 개학하지 못하면서 5월에 3, 4, 5월생 생일파티를 한꺼번에 하는 유치원도 대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희귀 성씨를 가진 사람들의 경우는 생일파티 때 자신의 성씨가 잘못 적힌 경우가 종종 있을 정도이다.[92] 생일이 2월 29일인 원아들은 평년에는 2월 28일이나 3월 1일에 대신 생일 축하를 하기 때문에 부모의 성향에 따라 2월 생일파티나 3월 생일파티의 주인공이 되고, 쌍둥이는 보통 생일이 같아 아이 2명의 생일파티를 같은 달에 하고, 음력으로 생일을 챙기는 아이들은 매년 생일파티 주인공이 되는 달이 달라지기도 한다.[93]

단독으로 찍는 졸업 사진을 찍을 때 아동은 보통 박사 가운[94]을 입히고 학사모[95]를 쓴다. 기사

유치원에도 가끔 가다 사회복무요원(공익요원)이 있으나, 어린이집과는 달리 배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만 장애인 원생이 있는 유치원에는 반드시 공익요원이 배치되며, 장애인 원아를 도와주는 일을 한다. 문신[96]이 있거나 경련성 질환 혹은 정신과적인 질병이 있어서 공익요원이 된 경우나, 전과가[97] 있는 경우에는, 규정상 장애인 원생을 도와주는 일을 할 수 없다.[98] 징병검사에서 이런 사유로 신체등위 4급 공익요원 판정을 받은 사람은, 유치원에서 공익근무를 하려고 해도 신청 자체가 불가능하다. 유치원 공익요원들은 아이들에게 위화감을 주지 않도록 대개 사복을 입고 근무한다. 가끔 운이 좋다면 자신이 졸업한 유치원에 사회복무요원으로 다시 오거나, 부모나 조부모, 혹은 형제자매가 졸업한 유치원에 배치받는 경우도 있다.

사립 유치원은 관할 교육감의 지도·감독을 받는다(사립학교법 제4조 제1항 제1호).

해외에도 재외국민 아이들을 위한 한인 유치원이 존재한다.

3.1.1. 한국 유치원의 연간 행사

3.1.2. 단설/병설

<rowcolor=#fff> 단설유치원 병설유치원
운영주체 지역교육청
원장 유아교육 전공자 초등학교 교장 겸임
학급수 최소 5학급 이상 1~3학급 수준
시설 유치원 단독 건물과 놀이터 학교 시설 이용[103]
누리과정 정부에서 정하는 누리과정 운영
학사일정 유치원 단독 결정 가능 학교 일정에 맞추어야 함

단설유치원병설유치원의 차이는 각 문서 참조

3.1.3. 해외 한인 유치원

1970년대 이후 한국인들이 이민, 유학, 파견 등 다양한 형태로 해외로 많이 진출하면서 해외 한인들을 위한 유치원 설립의 필요성이 커졌는데, 이런 요구에 잘 부응하는 것이 해외 한인 유치원이다. 해외 한인 유치원의 교사들은 대부분 한국에서 파견을 오는 형태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다.[104] 다만, 한인 유치원이 없는 나라[105]이민을 갔거나, 한인 유치원이 있는 나라로 이민을 갔지만 자녀가 현지인과 어울리기를 원하는 부모는 자녀를 현지 유치원에 보내기도 한다. 이민이 아닌 장기체류의 경우에도 가능하다. 해외 한인 유치원에 다니는 원아는 해외에서 태어났거나[106],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현재 해외에 체류 중인 아이들이다.[107] 현지 유치원을 다니다가 언어 문제 등으로 한인 유치원에 오는 경우와, 한인 유치원을 다니다가 현지 초등학교에 입학할 때 언어 문제로 불편을 겪지 않도록 현지 유치원으로 전원(轉園)하는 경우도 있다.

해외 한인 유치원들은 일본, 중국,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 한인 교포들이 많은 나라들에 설립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미국캐나다의 경우에는 한인타운 내에 있는 유치원들이 그 역할을 한다. 대체로 해외 한인 유치원들은 한인교회에서 설립, 운영한다. 대표적인 한인유치원은 인도네시아에 있는 리틀램유치원[108]과 성모유치원, 베트남 하노이의 샬롬유치원이 있다.

사회복무요원은 배치되지 않으며[109], 일부 교사는 자신이 어린 시절에 살던 나라나, 어린 시절에 다니던 한인 유치원으로 돌아와서 근무하는 경우도 있다. 그 이전에는 한인 교포들이 현지 유치원에 다닐 수밖에 없었으나, 한인 교포들을 위한 유치원이 생긴 이후에는 한인 유치원으로 가는 경우가 늘었다. 한인이 많은 국제학교에서는 이런 한인 유치원 출신들을 여럿 만날 수 있다.

조부모 대부터 해외에 정착한 이민 3세대의 경우 부모가 다니던 한인 유치원에 그대로 다니거나, 아예 부모가 다니던 현지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자녀 모두가 부모가 다니던 유치원을 졸업한 경우도 있을 정도.

3.1.4. 사건사고

3.1.4.1. 2016년 유치원 지원금 대란
유아교육법에 의거해서, 2015년까지는 유치원 원비의 일부[110]를 정부의 보조금 형태로 받을 수 있었다. 이것은 일반적인 유치원 원비의 약 50%에 달하는 금액으로, 다시 말해 학부모들은 절반의 부담을 지고 아이를 유치원에 보낼 수 있었던 것이다. 교육비가 생활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난 우리나라 현황에서 보자면, 이 보조금은 정말 유용했던 셈이다.

그러나 기존 만5세부터 받던 이 보조금을 만3~5세로 확대 지원하는 과정에서[111], 지원하는 대상은 늘었는데 예산 자체는 전혀 늘지 않아서, 예산 부족에 의해 역으로 2016년부터 해당 지원금이 전액 삭감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간단히 말해 유치원생 아이를 둔 학부모들은 이제까지 받던 보조금을 단 1원도 받을 수 없게 되어, 유치원 원비에 대한 부담금이 100%나 증대된 셈이다.

세수가 결손됐음에도 무리하게 예산을 편성한 것이 문제인데, 더욱이 이 예산 부담을 정부와 지자체가 서로 떠넘기는 형태가 되어 완전히 붕 떠버린 것이다. 비교적 사태를 잘 요약한 기사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각 정당들과 교육부, 교육청 등은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며 정치질을 열심히 하고 있다. 제대로 된 예산도 없는 주제에 무리하게 정책을 시행하는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며, 그 탁상행정으로 인한 대란을 다시 정치질에 이용한다는 점에서 대단한 수준이 느껴진다.

물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부모들이 받는다. 이에 반발하여 6월에는 어린이집에 이어 사립유치원들도 집단휴원에 들어간다고 했지만, 취소했다. 기사 유치원 과정이 의무교육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이런 현상은 계속될 것이다.
3.1.4.2. 비리 유치원 명단 공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비리 유치원 명단 공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4.2.1. 관련 문서

3.1.5. 지역별 최초의 유치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치원/지역별 현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6. 영어유치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어유치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7. 유치원 관련 통계

3.1.7.1. 연도별 유치원 취원율
연도 유치원 수 입학 대상[112] 원아 수 (명) 취원율 (%)
1945년 165 1939년~1941년 13,534 0.1
1946년 172 1940년~1942년 13,772 0.1
1947년 176 1941년~1943년 13,987 0.1
1948년 180 1942년~1944년 14,015 0.2
1949년 183 1943년~1945년 14,273 0.1
1950년 189 1944년~1946년 14,492 0.1
1951년 173 1945년~1947년 14,872 0.1
1952년 157 1946년~1948년 14,167 0.2
1953년 148 1947년~1949년 13,978 0.3
1954년 167 1948년~1950년 15,687 0.4
1955년 173 1949년~1951년 15,997 0.5
1956년 206 1950년~1952년 16,312 0.5
1957년 214 1951년~1953년 17,225 0.6
1958년 245 1952년~1954년 15,487 0.7
1959년 277 1953년~1955년 16,027 0.9
1960년 297 1954년~1956년 16,315 1.0
1961년 308 1955년~1957년 16,973 1.0
1962년 339 1956년~1958년 17,225 0.9
1963년 365 1957년~1959년 17,658 1.0
1964년 409 1958년~1960년 18,815 1.0
1965년 423 1959년~1961년 19,566 1.0
1966년 432 1960년~1962년 19,972 1.1
1967년 448 1961년~1963년 20,125 1.1
1968년 454 1962년~1964년 20,881 1.2
1969년 466 1963년~1965년 21,142 1.3
1970년 484 1964년~1966년 22,271 1.3
1971년 511 1965년~1967년 24,997 1.4
1972년 543 1966년~1968년 26,898 1.5
1973년 566 1967년~1969년 27,221 1.5
1974년 597 1968년~1970년 29,788 1.6
1975년 611 1969년~1971년 32,032 1.7
1976년 679 1970년~1972년 39,715 2.0
1977년 758 1971년~1973년 44,789 2.5
1978년 807 1972년~1974년 55,264 3.1
1979년 867 1973년~1975년 59,887 3.9
1980년 901 1974년~1976년 66,433 4.1
1981년 2,958 1975년~1977년 153,823 6.9
1982년 3,463 1976년~1978년 168,653 8.6
1983년 4,276 1977년~1979년 206,404 10.1
1984년 5,183 1978년~1980년 254,438 13.0
1985년 6,242 1979년~1981년 314,692 18.9
1986년 7,233 1980년~1982년 354,537 18.3
1987년 7,792 1981년~1983년 397,020 21.9
1988년 8,030 1982년~1984년 405,255 25.3
1989년 8,246 1983년~1985년 410,824 27.0
1990년 8,354 1984년~1986년 414,532 31.6
1991년 8,421 1985년~1987년 425,535 29.9
1992년 8,498 1986년~1989년 450,882 23.8
1993년 8,515 1987년~1990년 469,380 24.5
1994년 8,910 1988년~1991년 510,100 26.0
1995년 8,960 1989년~1992년 529,265 26.0
1996년 8,939 1990년~1993년 551,770 26.2
1997년 9,005 1991년~1994년 568,096 26.5
1998년 8,973 1992년~1995년 533,912 24.8
1999년 8,790 1993년~1996년 534,166 25.2
2000년 8,494 1994년~1997년 545,263 26.2
2001년 8,407 1995년~1998년 545,142 27.2
2002년 8,343 1996년~1999년 550,256 28.4
2003년 8,292 1997년~2000년 546,531 29.1
2004년 8,246 1998년~2001년 542,713 29.6
2005년 8,275 1999년~2002년 541,603 31.1
2006년 8,290 2000년~2003년 545,812 35.3
2007년 8,294 2001년~2004년 541,550 36.0
2008년 8,344 2002년~2005년 537,822 38.4
2009년 8,373 2003년~2006년 537,361 39.9
2010년 8,388 2004년~2007년 538,587 39.9
2011년 8,424 2005년~2008년 564,834 41.0
2012년 8,538 2006년~2009년 613,745 43.5
2013년 8,678 2007년~2010년 658,188 46.7
2014년 8,826 2008년~2011년 652,546 47.0
2015년 8,930 2009년~2012년 682,553 48.9
2016년 8,987 2010년~2013년 704,138 49.0
2017년 9,029 2011년~2014년 694,631 47.4
2018년 9,021 2012년~2015년 675,998 49.9
2019년 8,837 2013년~2016년 633,913 48.1
2020년 8,705 2014년~2017년 612,538 49.0
2021년 8,660 2015년~2018년 582,572 52.5
2022년 8,562 2016년~2019년 552,812 54.2
2023년 8,441 2017년~2020년 521,794 54.4
2024년 2018년~2021년
2025년 2019년~2022년
2026년 2020년~2023년
2027년 2021년~2024년
2028년 2022년~2025년
2029년 2023년~2026년
2030년 2024년~2027년

3.2. 외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치원/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유아교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유아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한국의 유치원은 분명 법적으로는 '학교'이다. 하지만 여러 이유로 유아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113] 또한 초등학교의무교육기관임에 반해[114] 유치원은 의무교육기관이 아니다 보니, 학부모들부터가 선생님을 대하는 태도가 학교 교사와는 차이가 많이 난다. 일반 학교에서는 사소한 일로 학부모가 교장의 면담을 요청하거나 교장 앞에서 무례한 언행을 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유치원에서는 사소한 일에도 원장을 부르고 협박성 언행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이 법적으로 학교이고 초등학교 진학 시에 생활기록부를 작성해서 보내주는 곳이라는 것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아서, 유치원이 의무교육기관으로 지정되지 않는 한 이런 인식은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유치원이 여초[115]라는 인식이 있어서인지, 학부모는 물론 인근의 불량한 주민들도 가끔 와서 소란을 피우기도 한다. 학교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잡상인들의 출입도 있다. 다만 요즘은 CCTV 설치의 영향 때문인지 점차 줄어들고 있는 편이다. 그리고 예전에는 어린이집에서만 아동 학대가 주로 일어났지만, 최근에는 유치원에서의 아동학대도 많이 적발되고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심지어는 유치원 교사가 결혼식 날짜를 원장과 상의해서 정하기도 하고, 결혼한 교사에게는 임신순번제를 도입해서 임신도 순서대로 하도록 강요하기도 한다. 이런 임신순번제 탓에 결혼하고도 몇 년째 아이를 갖지 못하는 교사도 있을 지경이며, 면접에서도 결혼이나 임신 계획도 질문할 정도.

눈이 많이 오는 지역[116]에 있는 유치원들은 통학차량 운전기사 등 유치원을 관리하는 교직원들이 유치원 주변 제설작업을 한다. 또한 전방 지역[117]에서는 현역병이든 상근예비역이든 같은 부대에서 유치원 시절 친구를 볼 수도 있다.

개명을 한 사람들은 대부분 유치원생 시절에는 개명하기 전의 이름으로 다녔는데[118] 이는 개명을 하는 시기가 대체로 초등학교 입학 이후이기 때문이다. 물론 드물게 유치원 시절에 개명한 사람도 있기는 하다.[119] 또한 재개명을 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 유치원들은 성탄절 무렵에 겨울방학을 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사실 유치원에서 성탄절 무렵에 겨울방학 (남반구는 여름방학)을 하는 건 거의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 성탄절이 평일인 일본에서도 유치원은 성탄절 무렵에 겨울방학을 한다. 예외가 있다면 중국이나 대만 등이다. 이 쪽은 크리스마스가 방학이 아니고 춘절을 전후해서 방학을 한다.

종교기관에서도 유치원을 운영한다. 개신교 교회천주교 성당에 부설유치원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해당 교회의 담임목사 또는 주일학교 유치부 담당 부목사, 해당 성당의 주임신부가 각각 유치원장을 겸하기도 한다. 유치원생들은 주로 해당 종교를 믿는 신자들의 자녀들이며, 부모가 다니는 교회/성당에 있는 유치원을 다닌다. 개척교회의 입장에서 보면 유치원만큼 고마운 존재도 없는데, 교회 안에 유치원을 차리게 되면 맞벌이 부부를 전도하기 쉬워지며 수입도 발생하기 때문이다. 불교계 유치원은 원장이 대체로 그 절의 주지승려[120]이다. 개그우먼 김신영[121], 공무원 국어강사 이선재 (본명 이혜선) 등이 대표적인 교회 유치원 출신이다.

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은 원장이 따로 있는 게 아니라 해당 학교의 교장이 유치원장도 겸한다.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보다는 드물지만, 유치원에도 투표소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사립초등학교/국립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사관학교[122]교복이 존재하듯이 어린이집과 더불어서 유치원은 원생들이 입는 원복이라는 인생에서 처음으로 입어보게 되는 제복이 존재한다. 다만, 의무적으로 착용해야 하는 교복과 달리 원복은 사복과 혼용해서 입어도 아무 상관 없다. 또한 교복도 춘추복과 하복, 동복이 존재하듯이 원복도 계절별로 따로 있다. 물론 원복 자체가 아예 없는 유치원도 있다.

한국의 유치원은 모두 남녀공학이다.[123] 다만 시골에는 원생 수 감소로 무늬만 남녀공학이고 실질적으로는 그 유치원의 원생이 남아/여아뿐인 경우도 있다. 1990년대부터는 농촌 인구 감소로 강원특별자치도전라남도, 경상북도 등지의 농촌을 중심으로[124] 무늬만 남녀공학인 유치원이 늘고 있다고 한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다른 지역의 유치원으로 등하원하거나 아예 인접 광역시[125]나 다른 (!)[126]에 있는 유치원까지 원정 등하원을 해야 할 판이다.

하지만 일본에는 남아/여아 전용 유치원도 있는데, 남아 전용 유치원은 도쿄오사카에 1곳씩, 여아 전용 유치원은 모두 사립으로 도쿄에 2곳, 삿포로에 1곳, 나고야에 1곳이 있다. 그외에도 브루나이, 파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같은 이슬람 국가에서는 남녀의 구별이 엄격하기 때문에 유치원도 남녀가 나누어 다닌다고 한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슬람교의 영향이 매우 강한 탓에, 남녀공학 유치원이 하나도 없다! 그나마 나이[127]가 아직 어려서, 유치원에 다니는 여자아이들은 히잡, 아바야(차도르) 등의 두건을 두르지 않는다.

인종차별이 심했던 1950~1960년대 미국 유치원은 백인, 흑인, 아시아인 전용 유치원 등 인종별로 유치원을 나누어서 운영했다. 70년대 인종차별이 법적으로 금지되면서 인종별로 운영되던 유치원은 모두 통합되었다. 지역의 특성상 원생별 인종이 차이가 나는데, 캘리포니아하와이에 있는 유치원은 원생 대부분이 황인흑인이고, 서부·남부·대도시 소재의 유치원들은 원생 중 흑인이나 히스패닉들의 비율이 어느 정도는 높다.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아파르트헤이트 시절(1950~1990년대 초반까지)에는 유치원도 인종별로 나누어 다녔다고 한다.

한국의 소도시나 시골에 있는 유치원의 경우 원아 중 코시안[128]의 비율이 높다. 대도시에도 원아 중에 외국인 혼혈 원아가 있지만, 그 비율이 소도시와 시골보다는 낮은 편이다. 유치원에서도 다문화교육을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정부에서는 이들 다문화가정을 위한 다문화 유치원을 운영하기로 했다. 2020년대 들어 다문화 유치원생이 증가했다.

서유럽 국가의 유치원들도 역시 점차 다문화, 다종교화되고 있는데, 특히 인접한 중동아프리카 등지에서 이민자가 들어와 그들의 아이들이 현지 유치원에 입학하면서 생긴 현상이다. 대도시에 있는 유치원들은 원생 중 흑인, 아랍인 등의 비율이 어느 정도는 높은 편이다. 유치원 교사가 체벌 등 아동학대를 한 사건이 언론에 오르내리는 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유럽 국가들은 유치원 교사에 의한 체벌도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멕시코 등은 유럽이 아님에도 모든 체벌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므로 유치원 교사에 의한 체벌이 거의 없는 편.

지진이 많이 일어나는 일본, 인도네시아 등지의 유치원에서는 지진 대피 훈련도 시킨다.[129] 당연히 이런 나라는 유치원 건물도 내진설계가 되어 있다.

한국 최고령 유치원교사1927년 생으로, 퇴임 당시에 90세(!!!)였다. 그것도 황해도 봉산군 사리원읍[130] 출신의 실향민이다. 실제 그는 교사 재임 중 한자 수업도 직접 했다고 한다.

직업군인, 교도관, 군무원, 국가직 공무원 가족들의 경우 이사를 자주 가는 탓에 자녀의 유치원을 옮기는 경우가 있다.[131] 개그우먼 김신영은 유치원을 8번이나 옮겼다고 한다.

아이가 쌍둥이일 경우 두 아이를 같은 유치원에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132] 드물게 쌍둥이인데도 다른 유치원에 다니는 경우가 있다.[133] 세쌍둥이 이상이면 그 경우의 수가 복잡해진다.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 해당자 중 연장자가 졸업한 유치원에 입학시키는 경우도 있다.[134]

한국에서는 2020년대 이후로 심각한 저출산으로 인해 어린이집과 더불어 폐원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비유적으로는 한국의 스포츠 팬들 사이에서 통하는 표현으로도 쓰이는데, 베테랑 선수의 비중이 낮고, 젊고 어린 선수들이 비중이 높은 팀에 대해 일컫는 표현이기도 하다. 물론 특정 팀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이 아니며, 실제로 거물급 선수들을 FA와 트레이드로 쓸어담으며 악의 제국으로 불리던 뉴욕 양키스브렛 가드너, 필 휴즈, 이안 케네디, 조바 체임벌린 등 유망주들을 대거 승격시켰던 시절에 '양키스 유치원'이란 소리를 팬들에게 들었던 적이 있다. 반대 표현은 고참들의 비중이 높고 젊고 어린 선수들이 적다는 비유의 노인정.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도 유치원이 많이 나왔다. 무인편 53화, DP 121화, BW 12화, XY 13화 등 아예 유치원이 등장하는 에피소드도 나왔으며, 여기서 언급된 몇몇 유치원들은 포켓몬도 키우고 있다.[135] 심지어 유치원 교사가 포켓몬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말한 ‘유라’는 사철록을, XY에 등장한 유치원 교사 푸르미에는 님피아를 가지고 있다. 나빛나가 마이농과 플러시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고[136][137] 건오와 베쓰에게 '삧나리'[138]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것도 그녀의 유치원 시절이었다는 내용이 DP 161화에서 등장했다.

포켓몬 세계에는 포켓몬을 위한 유치원도 따로 있는 모양이다. 그 예가 무인편 150화에 나오는 '우파 유치원'인데 우파가 원생 역할을 하며, 교사는 나혜[139] 1명뿐이다. 물론 웅이는 그 교사를 보자마자 작업을 걸었다이슬이에게 귀잡이를 당했다. 그것도 2번씩이나고 하며, 원생 역할을 하는 우파 중 1마리가 로켓단 삼인방에게 잡혔다가 교사인 나혜에 의하여 구출되기도 하였다. 물론 그 우파는 아보크또도가스를 거의 빈사 상태로 만들고 로켓단을 날려보냈다고 한다. 간혹 지우 일행을 비롯한 포켓몬 트레이너들이 유치원을 방문하기도 한다.

유치원의 원가(학교로 치면 교가)는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거의 대부분이 "…착하고 귀여운 아이들의 꽃동산"으로 끝나는 노래가 대다수였다. 2020년대 현재에는 원가가 있는 유치원이 드물다.

한국 최초의 유치원은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이화학당 내에 세워진 이화유치원(現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이다. 설립 당시 위치는 지금의 서울 중구 정동이었으나, 1920년대에 경기도 고양군 연희면 (현 서울 서대문구)으로 이전했다. 1914년에 이화유치원이 세워졌고[140], 이듬해인 1915년에는 유아교사를 양성할 목적으로 이화학당에 유치원 사범과(現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가 개설되었다. 당시 교과목은 수공·은물(恩物)·유희·교육학·아동심리학·성경·한문 등이었다. 때문에 1908년~1910년생이 이화유치원 첫 원생들이었고 최초의 유아교사는 1880~1890년대생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었다. 최초의 유아교사들은 1950~1960년대부터 사망하기 시작해 현재는 모두 사망했고 최초의 유치원생들도 1980~1990년대부터 사망하기 시작해 현재는 대부분이 사망했다.

1916년,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를 시작으로 1910년대 후반~20년대 초반에 유치원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로까지 확대되었고, 1923년에는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에 최초의 불교계 유치원인 금천유치원[141]을, 1924년에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도 성내교회가 현재의 제주시 일도2동에 중앙유치원을 설립했다. 또한 덕수궁 준명당에도 유치원이 있었는데, 고종황제가 환갑에 낳은 고명딸 덕혜옹주를 위해 세운 유치원이었다. 덕혜옹주 또래의 양반가 딸들을 원생으로 모집했다고 한다. 덕혜옹주가 제일 어렸으나 모두 덕혜옹주에게 존댓말을 했고, 항상 시중을 들 궁녀들이 대기하고 있는 등, 사실상 덕혜옹주를 위해 세워진 유치원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인과 일본인 원아가 함께 다니는 '애국유치원'이 있었는데, 당시에는 공용어가 일본어였던 탓에 일본어를 중점적으로 가르쳤다. 그 당시에는 출세를 위해 일본어 조기교육을 시키고 싶어하는 부모들이 아이를 애국유치원에 보냈다고 한다. 백남준이 대표적인 애국유치원 출신이었다. 하지만 조선어(국어) 사용을 완전히 금지한[142] 초, 중, 고등학교와 달리 유치원에서의 조선어(국어) 사용은 규제하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창씨개명령 시행 이후에는 원생 명부는 일본식 이름으로 쓰게 해서 1940년대에는 창씨개명이 어린이에게까지 강요되었다고 한다.[143] 이 시기 유치원 취원율은 매우 낮아서 1,000~2,000명에 1명이 겨우 다닐까 말까 하던 수준이었다. 동네 어르신들 중 유치원을 다닌 사람이 드물고, 양로원 등 노인복지시설에서 어르신들이 ‘유치원’ 이야기를 하면 자신이 다닌 것이 아닌[144] 손주가 다니는 것을 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은 그 때문. 게다가 그 당시에는 출생신고가 체계적이지 않아 또래보다 1살, 많게는 2~3살 더 먹고도 국민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에, 1938년에 유치원 다닌 사람 중 호적상으로는 1934년생인데 실제로는 1932년생이라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을 정도이다.

물론 일제강점기에는 시골 지역에 유치원이 세워지지 않아서 시골[145]에 살았던 아이들은 먼 거리의 도시나 읍에 있는 유치원으로 등하원하거나 아예 유치원에 다니지 못했던 아이들이 많았다. 1945년 해방 당시 전국의 유치원은 277개뿐이었다. 일제 강점기에 유치원을 다녔던 유명인으로는 백남준, 장영신, 김수영, 이순재[146], 구봉서 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부유층이었다.

1950~70년대에는 어려운 경제사정 때문에, 집안에 아이들은 많은데 아이들을 다 보내려면 원비가 만만치 않았던 탓에 1~2명만 유치원에 보내거나 아예 보내지 못하기도 했다.[147] 또한 유치원의 수가 적었던 탓에[148], 시골에 살았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유치원에 다니기 어려웠다.[149] 에서 살았던 사람들은 본토(본도)의 유치원을 다니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은 배로 등하원했기 때문에 여름이나 가을에 태풍이라도 불면 배가 끊겨서 꼼짝없이 결석 확정이었다. 때문에 옛날에는 유치원 취학률이 무척 낮았다. 당시 유치원은 일명 ‘귀족학교’일 정도로 부유층 아이들의 전유물[150]이라 도시 거주 아동의 유치원 취원율은 30% 미만이었고, 시골은 그보다 더 낮아서 5%도 안 되었다. 그 시절 유치원을 다녔던 유명인으로는 김청[151], 배철수, 성 김[152], 윤석열[153] 정도만을 꼽을 수 있을 정도이다. 심한 곳은 유치원에서 특수초등학교[154] 입시 대비를 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경제사정이 좋아지고 유아교육 진흥 정책에 따라 유치원 수가 늘어나면서, 1980년대부터는 유치원 취학률이 1950~70년대에 비해 훨씬 높아졌고, 1990년대 이후로는 고등학교, 대학교처럼 말만 의무교육이 아니지 거의 의무교육이나 다름없게 되었다.[155] 다만, 2023년 현재 형제나 남매, 자매가 같은 유치원을 졸업한 경우는 많아도 부모와 같은 유치원을 졸업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드문 편이고 조부모 혹은 그 이상 대부터 같은 유치원을 졸업한 사람은 매우 드물지만[156] 유치원 취학률이 높은 세대가 결혼하게 되면 부모와 자녀, 혹은 조부모, 부모, 손자녀가 같은 유치원을 졸업한 사람은 많아질 듯 하다. 사실 유치원생의 부모가 1980년대 중반~1990년대 초반생이 많아 대부분 유치원에 다녔을 테지만 부모가 다니던 유치원이 폐원되는 등의 사유로 유치원까지 같은 경우는 적기 때문. 2000년대 중반생 정도 가면 부모조차도 유치원을 나온 경우가 많지 않다. 현재는 이촌향도 때문에 조부모가 유치원을 나왔더라도 손자녀는 조부모와 다른 유치원을 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를테면 할아버지/할머니가 시골 읍내에 있는 유치원을 다니고, 아버지/어머니는 중소도시 시내에 있는 유치원을, 손자/손녀는 대도시의 유치원을 다니는 방식으로 3대가 다른 지역의 유치원을 다녔던 경우도 많다.[157] 또는 할아버지/할머니가 지방 농어촌이나 중소도시에서 유치원을 다니고 아버지/어머니 대부터 수도권이나 광역시, 혹은 대도시에서 유치원을 다닌 아이들도 상당히 많다. 매우 드물게 유치원생 중 부모, 조부모, 외조부모가 모두 같은 지역에서 유치원을 졸업한 경우도 있다. 몇몇 오래된 유치원들은 2대나 3대, 심지어는 4~5대째 같은 곳에 다닌 원생들도 있다.

코로나19 이후 유치원에 재원한 2014년, 2015년생들은 유치원 졸업식을 경험하지 못했는데, 이는 코로나19 사태 때문이다. 물론 그 전에도 이사입원 등으로 졸업식에 불참하는 유치원생이 소수 있었지만 2014년~2015년생들은 졸업식 없이 유치원 생활을 마무리지은 안타까운 세대가 되었다. 사상 최초로 감염병에 의한 졸업식 취소[158]를 겪은 셈. 물론 이들도 학사모 쓴 사진 정도는 가지고 있다. 게다가 2014~2019년생들은 유치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와 휴원했거나, 코로나 검사를 받은[159] 기억이 있을 것이다. 특히 2014년~2017년생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유치원에서 마스크를 써야 했던 건 물론, 이전 세대보다 휴원 기간이 매우 길었다.

흔히 부모들이 자녀들을 보고 "네가 어릴 때 천재인 줄 알았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유치원 교사들이 학부모한테 아이의 문제점이나 부족한 점보다는 소수의 장점들만 나열하고, 여기에 약간의 픽션을 가미해서 "이 아이는 천재"라는 식으로 그럴 듯하게 립서비스를 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160] 이전에 큰 아이를 키워봤던 경험이 있거나 눈치 빠른 부모들은 립서비스임을 깨닫지만, 그 반대의 부모들은 이런 립서비스만 듣고 아이가 진짜 천재인 줄 알고 기대했다가 나중에 실망하는 경우가 많다.

유치원 시절 친구들은 자라면서 잊어버리는 경우가 많고, 연락처를 알기도 쉽지 않다. 유치원을 졸업하고 나서 같은 학교를 다니지 않는 이상, 잘 지내고 있는지 알고 싶어도 만나기는커녕 전화번호조차 모르기 때문에 연락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나마 홈페이지나 카페에 졸업생 게시판이 있는 유치원도 있지만 그마저도 없다면 다녔던 유치원에 직접 찾아가서 찾고자 하는 친구의 이름이나 연락처를 물어보는 방법밖에 없는데,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유치원 측에서 잘 알려주지 않는다. 설사 알려준다고 해도 너무 오랜 세월이 지나 주소와 연락처가 바뀐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유치원 때의 친구를 찾기란 쉽지 않다. 게다가 유치원 시절 친구와 재회했다고 해도 너무 어린 시절의 일인지라 그 친구는 높은 확률로 당신을 잊어버렸을 것이다(이는 어린이집 친구들도 마찬가지이다). 많이 변한 얼굴은 당연하고 이름조차도 알기 쉽지 않다. 정말로 유치원 시절 친구를 찾고 싶다면, 페이스북에 유치원 친구를 찾을 수 있는 페이지가 있는데 그것을 활용해보자.#1, #2, #3 이 외에도 네이트판에 올라온 글이 있는데 구글 닥을 이용해서 친구를 찾는 방법이다. 링크에 들어가서 자신이 다녔던 유치원 이름과 찾고 싶은 친구의 이름을 적으면 된다.

추신수[161]백남준[162]이일민[163]처럼 유치원 시절 친구가 부부로 발전했거나 같은 유치원을 다닌 선후배가 연예계에서 만난 박나래 - 박진주가 드문 케이스의 예이다. 해외로 넓히면 미토마 카오루 - 미우라 나루미도 같은 유치원 출신인 친구가 같은 시기 축구계에서 활동한 사례도 있다.

친구들뿐만 아니라 유치원 시절 선생님 역시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특히 선생님의 경우 초·중·고등학교 선생님은 교육청의 스승찾기 서비스를 이용해 찾을 수 있지만[164], 유치원 선생님은 스승찾기 대상에서 빠져 있다. 찾으려면 다녔던 유치원에 직접 찾아가는 방법밖에는 없는데, 이 역시 개인정보라는 이유로 유치원 측에서 잘 알려주지 않으려 하고, 알려준다고 해도 주소와 연락처가 변경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찾기가 쉽지 않다. 재회했다고 해도 그 선생님 역시 높은 확률로 당신을 잊어버렸을 것이다. 40대 이상인 어른들의 경우[165] 유치원 시절 선생님을 만나려고 해도 그 선생님이 이미 사망한 경우도 있다. 또한 이름은 기억나더라도 친구의 근황을 계속 모르는 경우도 있다.

역대 대통령 중 유치원에 다녀 본 사람은 박근혜[166], 윤석열[167] 둘뿐이다. 국회의원까지 가면 이순재, 류호정[168] 등 그나마 많지만, 아직까지는 300명 중 10% 미만의 의원만이 유치원 생활을 경험했다. 반대로 인터넷 강의 강사들 중 유치원을 다녀 보지 못한 사람은 매우 드문 편이다.[169] 이는 대통령과 대부분의 국회의원이 태어나던 시절에는 유치원이 드물어 다니지 못한 경우가 많았으나, 유명 인터넷 강의 강사들은 대부분 유치원이 많이 생긴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났기 때문.[170] 월드컵 출전 축구선수들의 경우는 2002 월드컵 이후에, 올림픽 메달리스트의 경우는 2004 아테네 올림픽 이후에 유치원 나온 선수들이 대폭 늘었다.[171]

21세기 들어서는 반려견 시장이 커지면서 '강아지 유치원'이 생겨나고 있다. 다만, 맹견[172]은 동물보호법에 따라 유치원에 출입하지 못한다.

중국에는 판다 유치원도 있는데 생후 6개월 이상인 판다들이 다닌다고 한다. 아이바오도 판다 유치원 출신이다.[173] 아이바오의 판다 유치원 시절을 담은 영상. 당시에는 화니였다.

노인주간보호센터를 노인+유치원을 줄인 노치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6. 관련 문구

꽃밭에는 꽃들이 모여 살고요
우리들은 유치원에 모여 살아요
우리 유치원 우리 유치원[174]
착하고 귀여운 아이들의 꽃동산

미끄럼틀 그네뛰기 재미있고요
선생님의 풍금 맞춰 노래도 하죠
우리 유치원 우리 유치원
착하고 귀여운 아이들의 꽃동산
- 우리 유치원, 박화목 작사 한용희 작곡.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에 관해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나는 유치원에서 배웠다. 아래에 적은 것들이 내가 배운 것들이다.

무엇이든지 나누어 가져라.
정정당당하게 행동하라.
남을 때리지 마라.
남에게 욕하지 마라.
물건은 항상 제자리에 놓아라.
자신이 어지럽힌 것은 자신이 치워라.
남의 물건에 손대지 마라.
남의 마음을 상하게 했을때는 미안하다고 말하라.
밥 먹기 전에는 손을 씻어라.
화장실 물을 내려라.
따뜻한 쿠키와 찬 우유는 몸에 좋다.
균형 잡힌 생활을 하라.
공부도 하고 매일 적당히 그림도 그리고, 노래하고, 춤추고, 놀고, 일도 하라.
매일 오후에 낮잠을 자라.
경이로운 일에 눈떠라. 컵에 든 작은 씨앗을 기억하라.
뿌리가 나고 새싹이 나서 자라지만 아무도 어떻게, 왜 그렇게 되는지 알지 못한다.
우리들도 모두 그와 같은 것이다.
금붕어, 햄스터, 흰쥐, 스티로폼 컵에 심은 씨앗까지 모두 죽는다. 우리도 마찬가지다.
집 밖을 나설 때는 차를 조심하고 서로 손을 잡고 함께 다녀라.
그림동화와 맨 처음 배운 '이것 좀 봐(LOOK!)'라는 단어를 기억하라.
-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All I Really Need to Know I learned in Kindergarten)』 로버트 풀검 저, 최정인 역.

7. 대중매체에서

8. 관련 문서


[1] 만 3세이므로 연 나이로는 4살이다. 실제로 세는나이 5살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다.[폐지전내용1] "반일제"란 1일 3시간 이상 5시간 미만의 교육과정을 말한다.[폐지전내용2] "시간연장제"란 1일 5시간 이상 8시간 미만의 교육과정을 말한다.[4] Kindergarten의 번역[5] 일부 병설유치원의 경우 연 5살부터 입학이 가능한 곳도 있다. 전국 만3세 이상부터 유보통합포털 사이트에서 유치원 입소입학 온라인 신청이 가능하다.[6] 출처: Chisholm, Hugh, ed. (1911). "Peabody, Elizabeth Palmer" .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21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7] 물론 이전에도 유치원이 설립되기는 했지만 일본인 자녀를 위한 유치원이었거나, 현재는 폐원되었다. 1909년 한국인을 위해 최초로 세워진 나남유치원의 경우 휴전선 이북(청진시)에 있어 현황을 알 수 없다.(북한 치하에서 사실상 폐원되었을 것으로 본다.)[8] 2012년까지는 만1세~만3세까지는 어린이집을 다닌 후에 만4세~만6세까지는 유치원을 가야했다.[9] 그러나 이렇게 따지면 고등학교, 대학 등의 용어도 다 일제잔재이다. 다만 초등학교는 동아시아 국가 중 한국에서만 쓰이는 단어로 예외이다.[10] 1990년까지는 만 4세부터 시작했으나 1991년 교육법 개정 이후 만 3세로 변경되었다. 이는 1988년생까지는 4세부터 5세까지 유치원 입학이 가능했으나 1989년생부터는 만3세부터 만5세까지 유치원 입학이 가능해진 셈이며, 2024년에는 2018년생부터 2021년생까지 유치원 입학이 가능하며, 2024년생들은 2027년부터 2030년 사이에 유치원 입학이 가능하다.[11] 당시 1~2월생 아이를 둔 부모가 아이를 유치원에 늦게 입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남들보다 1년 더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장애가 있는 경우는 초등학교 취학을 유예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2023년에도 2016년 출생인 유치원생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일제강점기에는 4월, 미군정 시기부터 제1공화국 초기까지는 9월, 1950년대에는 4월에 입학식을 했고, 1960년대 이후에 현재와 같은 3월에 입학식을 하는 체제가 정착되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개학이 연기되면서 58년 만에 4월 입학이 부활되었다.[12] 종로구 2,427명, 중구 2,282명, 용산구 4,377명, 성동구 6,837명, 광진구 6,377명, 동대문구 6,840명, 중랑구 7,386명, 성북구 9,393명, 강북구 5,160명, 도봉구 6,204명, 노원구 1만 558명, 은평구 9,620명, 서대문구 6,556명, 마포구 8,258명, 양천구 9,681명, 강서구 1만 3,139명, 구로구 9,269명, 금천구 4,191명, 영등포구 8,177명, 동작구 8,270명, 관악구 7,564명, 서초구 1만 326명, 강남구 1만 777명, 송파구 1만 6,427명, 강동구 1만 953명.[13] 중구 447명, 서구 1,727명, 동구 1,358명, 영도구 1,707명, 부산진구 6,874명, 동래구 6,279명, 남구 5,899명, 북구 6,376명, 해운대구 9,011명, 사하구 6,635명, 금정구 4,287명, 강서구 6,550명, 연제구 4,874명, 수영구 3,412명, 사상구 4,183명, 기장군 6,240명.[14] 중구 1,745명, 동구 8,393명, 서구 2,553명, 남구 2,230명, 북구 1만 989명, 수성구 9,104명, 달서구 1만 3,291명, 달성군 9,678명, 군위군 203명.[15] 중구 3,743명, 동구 1,295명, 미추홀구 8,935명, 연수구 1만 1,367명, 남동구 1만 3,812명, 부평구 1만 966명, 계양구 6,058명, 서구 1만 6,314명, 강화군 929명, 옹진군 318명.[16] 동구 2,160명, 서구 6,887명, 남구 5,510명, 북구 1만 800명, 광산구 1만 3,908명.[17] 동구 4,893명, 중구 4,908명, 서구 1만 2,376명, 유성구 1만 1,640명, 대덕구 3,480명.[18] 중구 5,437명, 남구 7,780명, 동구 5,117명, 북구 8,422명, 울주군 5,681명.[19] 하위 기초자치단체가 없으므로 세종시 자체 통계만 집계한다.[20] 수원시 3만 1,941명(장안구 5,859명, 권선구 1만 966명, 팔달구 3,115명, 영통구 1만 2,001명), 성남시 2만 1,556명(수정구 4,912명, 중원구 4,341명, 분당구 1만 2,303명), 의정부시 1만 932명, 안양시 1만 2,678명(만안구 5,128명, 동안구 7,550명), 부천시 1만 8,794명, 광명시 7,760명, 평택시 1만 4,993명, 동두천시 2,029명, 안산시 1만 3,952명(상록구 7,438명, 단원구 6,514명), 고양시 2만 6,130명(일산동구 6,594명, 일산서구 7,121명, 덕양구 1만 2,415명(덕양북구 6,415명, 덕양남구 6,000명).), 과천시 1,452명, 남양주시 2만 705명, 오산시 7,760명, 시흥시 1만 4,950명, 군포시 6,669명, 의왕시 4,398명, 하남시 9,896명, 용인시 3만 2,307명(처인구 6,716명, 기흥구 1만 3,932명, 수지구 1만 1,659명), 파주시 1만 4,031명, 이천시 6,222명, 안성시 4,419명, 김포시 1만 6,946명, 화성시 3만 3,575명, 광주시 1만 1,732명, 양주시 6,048명, 포천시 2,787명, 여주시 2,286명, 연천군 898명, 가평군 1,042명, 양평군 2,259명.[21] 춘천시 6,639명, 원주시 8,673명, 강릉시 4,094명, 동해시 2,029명, 태백시 808명, 속초시 1,915명, 삼척시 1,137명, 홍천군 1,159명, 횡성군 685명, 영월군 500명, 평창군 568명, 정선군 508명, 철원군 1,017명, 화천군 567명, 양구군 558명, 인제군 772명, 고성군 365명, 양양군 406명.[22] 청주시 2만 3,542명(상당구 4,692명, 흥덕구 7,555명, 서원구 4,500명, 청원구 6,795명), 충주시 4,576명, 제천시 2,756명, 보은군 450명, 옥천군 798명, 영동군 670명, 증평군 1,063명, 진천군 2,418명, 괴산군 380명, 음성군 1,975명, 단양군 367명.[23] 천안시 1만 9,862명(동남구 6,479명, 서북구1만 3,383명), 공주시 1,779명, 보령시 1,950명, 아산시 1만 756명, 서산시 4,886명, 논산시 2,274명, 계룡시 1,240명, 당진시 5,064명, 금산군 781명, 부여군 948명, 서천군 691명, 청양군 359명, 홍성군 2,395명, 예산군 1,055명, 태안군 939명.[24] 전주시 1만 7,089명(완산구 7,733명, 덕진구 9,356명), 군산시 6,721명, 익산시 6,162명, 정읍시 1,977명, 남원시 1,518명, 김제시 1,334명, 완주군 2,315명, 진안군 363명, 무주군 369명, 장수군 329명, 임실군 425명, 순창군 464명, 고창군 803명, 부안군 783명.[25] 목포시 5,939명, 여수시 6,729명, 순천시 7,336명, 나주시 3,208명, 광양시 4,177명, 담양군 674명, 곡성군 355명, 구례군 332명, 고흥군 767명, 보성군 554명, 화순군 1,022명, 장흥군 586명, 강진군 506명, 해남군 1,166명, 영암군 1,135명, 무안군 2,112명, 함평군 403명, 영광군 1,011명, 장성군 871명, 완도군 1,008명, 진도군 531명, 신안군 477명.[26] 포항시 1만 2,922명 (남구 5,746명, 북구 7,176명), 경주시 5,206명, 김천시 3,312명, 안동시 3,269명, 구미시 1만 3,721명, 영주시 1,869명, 영천시 1,755명, 상주시 1,608명, 문경시 1,213명, 경산시 6,754명, 의성군 577명, 청송군 306명, 영양군 246명, 영덕군 525명, 청도군 460명, 고령군 468명, 성주군 586명, 칠곡군 3,214명, 예천군 1,473명, 봉화군 463명, 울진군 925명, 울릉군 122명.[27] 창원시 2만 6,724명(의창구 6,928명, 성산구 5,294명, 마산합포구 4,027명, 마산회원구 4,248명, 진해구 6,227명), 진주시 9,018명, 통영시 3,165명, 사천시 2,640명, 김해시 1만 5,895명, 밀양시 1,766명, 거제시 9,208명, 양산시 1만 1,522명, 의령군 333명, 함안군 1,291명, 창녕군 1,039명, 고성군 815명, 남해군 487명, 하동군 609명, 산청군 441명, 함양군 555명, 거창군 1,144명, 합천군 489명.[28] 제주시 1만 4,132명, 서귀포시 4,555명.[29] 서울특별시 7만 8,009명, 부산광역시 4만 2,240명, 대구광역시 3만 6,185명, 인천광역시 3만 9,373명, 광주광역시 2만 3,252명, 대전광역시 2만 2,898명, 울산광역시 1만 7,266명, 세종특별자치시 6,541명, 경기도 17만 6,782명, 강원특별자치도 1만 5,388명, 충청북도 1만 6,629명, 충청남도 2만 6,671명, 전북특별자치도 2만 2,025명, 전라남도 1만 8,682명, 경상북도 3만 6,723명, 경상남도 4만 9,068명, 제주특별자치도 6,181명.[30] 서울특별시 3만 8,568명, 부산광역시 2만 642명, 대구광역시 1만 7,962명, 인천광역시 1만 9,501명, 광주광역시 1만 1,459명, 대전광역시 1만 1,328명, 울산광역시 8,628명, 세종특별자치시 3,252명, 경기도 8만 7,549명, 강원특별자치도 7,654명, 충청북도 8,342명, 충청남도 1만 3,093명, 전북특별자치도 1만 776명, 전라남도 9,313명, 경상북도 1만 7,876명, 경상남도 2만 4,121명, 제주특별자치도 3,001명.[31] 서울특별시 39,441명, 부산광역시 2만 1,598명, 대구광역시 1만 8,223명, 인천광역시 1만 9,872명, 광주광역시 1만 1,793명, 대전광역시 1만 1,570명, 울산광역시 8,638명, 세종특별자치시 3,289명, 경기도 8만 9,233명, 강원특별자치도 7,734명, 충청북도 8,287명, 충청남도 13,578명, 전북특별자치도 1만 1,249명, 전라남도 9,369명, 경상북도 1만 8,847명, 경상남도 2만 4,947명, 제주특별자치도 3,180명.[32] 그 시절이면 유치원에 다닐 수 있는 유아 인구가 100만 명을 넘었다. 그로 인해 1960년대 유치원 취원율은 1~2%에 불과했다.[33] 유아 수가 0명인 지역도 있긴 하나,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노곡면 단 두 곳뿐이다.[34] 현수막은 각 원별로 원아 모집시에 문구를 써넣는다.[35] 학습장애가 있는 사람은 예외적으로 장애인이 아니지만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된다. 반면 안면장애가 있는 사람은, 장애인이지만 안면장애 그 자체만으로는 학습에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안면장애와 다른 장애를 동시에 가져서 중복장애로 등록되어 있지 않는 이상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되지 않는다. 그 외에도 건강장애가 있는 사람 중에 치료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경우에도 특수교육대상자로 지정된다. 이런 경우에 해당하는 남성은 대체로 신검 없이 전시근로역이나 병역면제 판정을 받는다.[36] 2010년이면 2004년~2007년생이 유치원에 재학하고 있을 때라 장애인 한정으로도 2000년대 중반생부터이다.[37] 이 때문에 유치원의 수가 현재보다는 매우 적었고, 그마저도 대부분이 도시나 읍내에 몰려 있다 보니, 시골에서 어떤 아이가 유치원에 다녔다고 하면 그 아이는 다른 아이들의 부러움을 샀다. 이러한 이야기는 주요섭의 소설 사랑 손님과 어머니에도 잘 나타나 있다. 또한 그 당시에는 경기도의 웬만한 시에도 유치원이 없었고 (1976년 이전에 유치원이 없었던 경기도 도시는 광명, 포천, 양주, 남양주, 구리, 김포, 과천, 군포, 의왕, 안산, 시흥, 화성, 오산, 광주 등 14개였다. 그나마도 김포시의 경우는 김포군 시절이었던 1944년 일시적으로 유치원이 운영되었다가 폐쇄돼 한동안 유치원 없는 도시였다.), 대부분의 군 지역의 국민학교에서는 한 반에 유치원을 다니고 온 학생이 있어도 2명 이내인 경우가 태반이었고, 현재 유치원생의 조부모(주로 1950년대~1960년대 초중반생) 중 유치원을 다녀 본 사람은 드물었다. 당시에는 관내에 유치원이 있었던 군이 별로 없었던 데다 군 지역에서 유치원을 다녀도 등하원에 걸리는 시간이 현재보다 오래 걸렸다고 한다. 철도가 있는 군이라 쳐도 대부분의 철도가 단선 비전철[175]이라 교행 등을 감안해도 너무 오래 걸렸고 (경상남도 양산군, 경상북도 경산군, 경상북도 칠곡군, 충청북도 옥천군, 충청남도 연기군 등은 일제 때 이미 복선화된 경부선 연선이라 그나마 사정이 나았다.), 강원특별자치도, BYC 같은 산골에서는 구불구불한 산길을 따라 등·하원했으며, 섬에서는 배를 타고 유치원에 다녀야 했다. 운이 좋아서 산골이나 섬에 사는 아이가 도시 유치원에 갈 수 있었어도 눈이나 태풍 등 날씨가 안 좋으면 못 갔던 셈. 단적으로 대한민국 대통령 중 유치원에 다녀 본 사람은 박근혜윤석열 2명밖에 없다.[38]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이 중 울산광역시는 2022년 역전되었다.[39]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40] 국공립 1,200곳, 사립 1,037곳.[41] 1기 신도시2기 신도시에는 사립유치원 설립이 가능해 해당 지역은 사립유치원이 더 많지만, 3기 신도시에는 사립유치원 설치가 불허되어 사립유치원이 없다. 이유는 아마 동탄신도시의 환희유치원에서 원장이 원비를 이용해 명품 가방을 사고 아파트 관리비를 납부했으며 성인용품점, 숙박업소, 노래방 등에서 부정하게 사용하는 등의 비리를 저질러 그 여파로 사립유치원에 대한 불신이 높아졌기 때문이다.[42] 일제강점기에 사립유치원이 들어온 적이 있었으나 폐원되었다. 현재 의령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지만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진주나 창원 등지로 가야 한다.[43] 일제강점기에 대원사에서 산청유치원을 사립으로 설립했으나 인구 감소로 폐원되었다. 현재는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진주나 함양, 거창으로 가야 한다.[44] 일제강점기에 읍내에 신명유치원이 설립됐으나 원생이 너무 없어서 휴원 상태이다. 대신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진주나 통영으로 가야 한다. 고성군은 2019년 기준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 중 인구가 5만 명을 넘는 단 둘뿐인 곳이다. (2019년 8월 인구 5만 2,602명. 20위인 장수군보다 29,985명 더 많다.)[45] 해방 직후인 1946년에 하동기독유치원이 설립되었으나 1950년 폐원되었다. 현재 하동군에는 사립유치원이 없지만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진주나 사천, 광양으로 가야 한다. 이런 군들 중 3번째로 인구가 많다.[46] 군내에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바로 윗 동네 하동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광양이나 삼천포로 가야 한다. 이런 군들 중 4번째로 인구가 많다. (서천군 53,125명, 고성군 52,602명, 울진군 49,526명, 하동군 46,886명, 남해군 43,909명) 가까운 미래에 함양군, 합천군, 창녕군이 경상남도에서 6, 7, 8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수도 있다.[47] 1973년 군내 유일의 사립유치원인 소화유치원이 세워졌으나 어린이집으로 용도가 변경되었다. 대신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옆 동네 진안, 아랫동네 장수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대전이나 금산, 전주로 가야 한다.[48] 1957년 소화유치원이 사립으로 설립되었으나 진안군의 인구 감소로 원생이 너무 없어서 폐원되었다. 현재는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옆 동네 무주와 장수, 아랫동네 임실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전주로 가야 한다.[49] 군내에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전주로 가야 한다. 인구가 22,617명이라 영양군을 제외하면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 가운데 인구가 가장 적다.[50]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윗 동네 진안, 옆 동네 장수, 아랫동네 순창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전주로 가야 한다. 가까운 미래에 부안군, 고창군이 사립유치원 없는 6, 7번째 군이 될 수도 있으며 그나마 전북특별자치도 군 지역의 희망인 완주군이 전주로 통합된 상태에서 부안군과 고창군의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문을 닫으면 전북특별자치도에는 사립유치원이 있는 군이 하나도 남지 않게 되며 김제시, 정읍시도 사립유치원 없는 시로 전락할 위험이 있다.[51] 군내에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윗 동네 임실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광주로 가야 한다.[52] 일제강점기에 강진읍교회에 유치원이 들어왔으나 현재는 휴원 상태이다. 현재는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해남이나 장흥으로 가야 한다.[53] 2024년 고흥군의 모든 사립유치원이 문을 닫아 고흥에 사는 유아들은 순천으로 가야 사립유치원을 다닐 수 있게 되었다. 고흥군은 사립유치원 없는 군 중 유일하게 인구가 6만 명을 넘어 인구 수로는 1위이다.[54] 2024년 보성군의 모든 사립유치원이 문을 닫아 보성에 사는 유아들은 광주나 순천으로 가야 사립유치원을 다닐 수 있게 되었다.[55] 군내에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구례나 남원, 순천으로 가야 한다.[56]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목포로 가야 한다. 이런 군들 중 5번째로 인구가 많고 (1위 고흥군 65,234명, 2위 서천군 53,125명, 3위 고성군 52,602명, 4위 울진군 49,526명, 5위 하동군 46,886명, 6위 남해군 43,909명, 7위 평창군 4만 2,315명, 8위 보성군 41,897명, 9위 신안군 40,791명), 10위 영덕군부터는 인구가 3만 명대로 (10위 영덕군 37,598명, 11위 산청군 35,527명, 12위 강진군 35,504명, 13위 함평군 32,989명, 14위 인제군 3만 1,759명), 15위 단양군부터는 2만 명대로 내려간다. (15위 단양군 29,928명, 16위 곡성군 29,208명, 17위 순창군 28,626명, 18위 임실군 28,294명, 19위 고성군 27,398명, 20위 의령군 27,322명, 21위 진안군 25,710명, 22위 청송군 25,477명, 23위 화천군 2만 4,567명, 24위 무주군 24,326명, 25위 군위군 23,647명, 26위 양구군 23,185명, 27위 장수군 22,617명) 28위 영양군은 17,065명으로 유일하게 2만 명 미만이다. 가까운 미래에 구례군, 장흥군, 영암군, 진도군 등이 전라남도에서 7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수도 있다.[57] 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사라져 무안, 광주 등지로 가야 사립유치원을 보낼 수 있다.[58]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그나마 나은 것은 군위읍내에서 의성에 있는 사립유치원까지 차로 20분이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군위에서 대구광역시 자치구 지역으로 갈 때 거쳐가는 구미시 장천면, 칠곡군 동명면에는 사립유치원이 없다. 그러나 군위군은 2023년 대구로 편입되었고 고령군, 봉화군, 의성군, 성주군 등 경상북도의 다른 군이 마지막 사립유치원을 폐원한다는 소식이 아직 들려오지 않아 경상북도의 사립유치원 없는 군은 다시 4곳으로 줄어들었으나 가까운 미래에 다시 늘 수도 있다. 대구광역시 군위군에서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경북 구미대구 북구로 가야 한다. 현재까지 군위군은 광역시 산하의 군들 중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이고 가까운 미래에는 인천광역시 강화군, 옹진군이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 중 옹진군이 가장 확률이 높다.[59] 군내 모든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이다. 사립 유치원을 보내려면 안동이나, 영천, 포항 등지로 가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어느 지역으로 가든 차로 30분 이상을 가야 한다는 것이다. 가까운 미래에 사립유치원이 단 하나만 남은 봉화군, 울릉군, 의성군, 고령군, 성주군 등도 경상북도에서 5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60] 2019년 군내 모든 사립유치원이 무기한 휴원에 들어갔다. 사립유치원을 가려면 삼척, 포항 으로 가야 한다.[61] 2020년 영양성모유치원이 폐원되면서 영양군에 사는 유아들이 사립유치원을 가려면 안동으로 가야 한다.[62] 2023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인 영덕성심유치원이 폐원되면서 영덕군에 사는 유아들은 사립유치원에 가려면 안동이나 포항으로 가야 한다.[63] 2018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인 명성유치원이 경영난으로 폐원됐다. 사립유치원을 다니려면 춘천으로 가야 한다.[64] 일제강점기에 양구읍교회에서 유치원을 운영했으나 북한 치하로 넘어가면서 유치원 기능을 상실했다. 이후에 남한이 수복하기는 했지만 유치원 기능은 회복되지 못했고, 1996년 양구장로교회 부설 유치원마저 폐원되면서 현재 양구는 강원도에서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이 됐다. 안타까운 것은 양구에 인접한 춘천 등 인접한 다른 지역에는 사립유치원이 있는데 양구에는 없어서 양구읍내에 사는 사람이 아이를 사립유치원에 보내고 싶어도 차로 30분 이상을 가야 하는 것은 물론, 춘천 방면은 배후령터널을 지나야 하고, 속초 방면은 광치령을 넘어야 하기 때문. 가까운 미래에 양양군, 정선군, 철원군이 강원특별자치도에서 6번째로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65] 2020년 인성유치원의 휴원으로 인제군에 사는 유아들이 속초 등지로 원정 통학을 한다. 인제군은 현재 사립유치원 없는 군들 중 면적이 가장 넓다.[66] 2021년 연화유치원의 휴원으로 평창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 최초의 사립유치원 없는 군으로 전락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원주강릉으로 가야 한다. 만약 정선군, 횡성군, 영월군마저 평창군을 따라 사립유치원이 모두 문을 닫으면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사립유치원 있는 군은 하나도 없게 된다.[67] 2023년 푸른하늘유치원이 폐원하면서 강원특별자치도 영동 지방 최초의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으로 전락했다. 이 때문에 강원특별자치도 최전방 라인에서 사립유치원이 있는 군은 철원군 하나뿐이고 전방 라인까지 넓혀도 양양군, 홍천군 정도밖에는 없다. 게다가 속초에도 사립유치원이 없어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강릉까지 가야 한다.[68] 군내에 공립 단설유치원은 있다. 사립유치원을 보내려면 영주제천으로 가야 한다. 가까운 미래에 보은군, 괴산군, 증평군, 영동군도 충청북도의 사립유치원 없는 군 대열에 합류할 수도 있다.[69] 인구 감소로 사립유치원이 무기한 휴원 중이다. 사립유치원에 다니려면 대천이나 군산으로 가야 한다. 청양군, 금산군, 태안군 등이 가까운 미래에 충남에서 2번째로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가능성이 있다.[70] 연천군이 가까운 미래에 경기도 유일의 사립유치원 없는 군이 될 가능성이 있다.[71] 원주캠퍼스에 있다.[72] 참고로 한국교원대학교는 공립 초등학교였던 월곡초등학교를 부속 학교로 인수하는 과정에서 병설 유치원도 같이 인수한 것이고, 강릉원주대학교와 공주대학교는 각갇 전문대학인 원주대학과 공주문화대학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그 부설유치원도 같이 인수한 것이다.[73] 매우 드물지만 사립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도 있는데, 부산광역시 금정구에 있는 동래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이 여기에 해당된다. 다만 유치원알리미에서는 운영주체가 그냥 '사립(법인)'으로 분류된다.[74] 예: 창녕여중고병설 창녕유치원.[75] 초등학교와 같은 교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이 경우에도 유치원은 초등학교 병설로 본다.[76] 다만 이런 곳들은 중·고등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에서 같이 운영하는 사립 유치원이라 정식 명칭에 '중·고등학교 병설'이라는 수식어를 붙인 단설유치원에 더 가깝다. (위에서 말한 사립초 병설 유치원처럼 그냥 '사립(법인)'으로 분류.) 유치원알리미 조회 결과 이렇게 이름을 붙인 유치원은 전국적으로 총 3곳에 있다. 정황상 명칭 중복 때문에 정식 명칭을 이렇게 지었을 듯.[77] 초등학교의 경우 무조건 집에서 가까운 곳으로 진학을 하게 된다. 이렇게 되어 타 시/도 접경 지역에 사는 아이들이 타 시/도의 초등학교로 배정받는 경우는 아주 드물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경우가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송정리에 사는 아이들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의 영천초등학교로 배정받는 경우[78] 대구광역시 군위군,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고성군, 경상북도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울진군,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임실군, 전라남도 강진군, 신안군, 경상남도 산청군, 충청남도 서천군 등. 군 단위에서는 11곳만 있지만 공립 단설유치원, 심지어는 사립유치원이 있는 군이라도 이들은 대부분 읍내에만 있기 때문에 군청 소재지가 아닌 이나 단위로 내려가면 병설유치원만 있는 지역이 수두룩하다. 지방에는 그조차 없는 곳도 있을 정도이다. 재미있는 건 충청남도와 경상북도의 사립유치원 없는 군들은 모두 병설유치원만 있다.[79] 이렇게 되면 무늬만 남녀공학이지 실질적으로는 단성 유치원인 경우가 생기게 된다.[80] 주로 영월군, 정선군 등 영서 남부. 최전방 지역은 그나마 원생이 많은 편이며, 그나마도 대부분 직업군인의 자녀들이다. 특히 양구군화천군, 인제군, 평창군, 고성군은 강원특별자치도에서 5곳밖에 없는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이며, 태백시, 속초시는 사립유치원이 없는 단 둘뿐인 시이다. 사립유치원이 1곳만 있는 군도 강원특별자치도에만 3곳 (정선군, 양양군, 철원군)이나 있다.[81] 청송군, 영양군 등. 이들 동네는 안 그래도 적은 인구가 더 줄어들고 있으며 영양군은 2006년에 인구 19,989명을 기록하는 등 이미 인구 2만 명 선이 무너졌다. 또한 청송군, 영양군, 울진군, 영덕군은 경상북도에 4곳밖에 없는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이며, 군위군은 광역시 산하의 군들 중 유일하게 사립유치원이 없는 군으로 전락했으며 사립유치원이 1곳만 있는 군도 경상북도에만 무려 4곳 (성주군, 고령군, 울릉군, 봉화군)이나 있다.[82] 2019년 전라남도 해남군의 해남유치원이 그 예이다. 해남유치원은 첫 졸업생이 2022년 현재 80세를 넘긴 노인일 정도로 유서깊은 유치원이었지만 2019년 초 8명의 졸업생을 마지막으로 졸업식을 치르고 남아 있는 11명의 원생들은 인근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으로 분산 배치되었다. 참고로 2019년 초반의 졸업생은 2012년생으로 흑룡띠라 49만 명을 기록해 마지막으로 비교적 많이 태어난 시기였다. 현재는 초5이다.[83] 이 때 이름이 법명으로 나가는지 속명으로 나가는지는 불명.[84] 심지어 공립유치원이 있는 아파트 단지도 인기가 좋다.[85] 이걸 문제점으로 인식한 정부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1, 2학년 국어 교과에서 기초 한글 교육을 대폭 강화했다.[86] 노홍철, 배우 남민우, 이이경, 축구선수 이강인이 대표적인 아기스포츠단 출신이다. 특히 이강인은 인천YMCA 아기스포츠단 출신인데, 2008년에 졸업할 때 (2001년 2월 19일생이지만, 2001년 3월 이후생들과 같이 다녔다.) 사자반이었다고 한다.[87] 이는 어린이집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뿐만 아니라 다른 기관에서 봉사활동을 해도, 사설기관에서 했다면 인정되지 않는다.[88] 일부 원에서는 '생일잔치'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89] 어린이집도 마찬가지이다.[90] 심지어 원생을 다 합쳐도 1명뿐인 곳도 있다. 이런 경우는 농어촌 지역에서 상당히 많이 발생하며, 주로 단위 지역의 병설유치원들이 이런다.[91] 실제로 유명인들의 유치원 시절 사진을 보면 생일파티 때 열에 아홉은 한복을 입고 있었다. 심지어 박지향의 경우처럼 학부모도 한복을 입은 경우 역시 있을 정도. 사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유치원 생일파티에 학부모까지 참석하는 경우가 잦았고 아이들의 한복 역시 고름을 묶는 형태였으나 2000년대 이후로는 원생 본인만 참석하고 고름을 묶지 않는 형태의 한복이 늘고 있다. 이를 보아 박지향은 1990년대 이전에 유치원을 다닌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박지향이 2007년에 20대 후반이었던 점으로 보아 1978~1980년생 추정이므로 1980년대에 유치원생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박지향의 생일은 9월 2일이라 9월 생일파티의 주인공이있다.) 유치원 시절 사진을 보다가 명절도 아닌데 한복을 입고 있었다면 대부분은 생일파티 사진이었다.[92] 예를 들면 빙씨인데 방씨로 적히거나, 판씨인데 한씨로 적히거나. 실제로 판유걸이 이런 피해를 받았을 것이다.[93] 2020년 음력 5월 17일 (양력으로는 7월 7일)생이 유치원에 들어갔을 때 2023년에는 생일이 7월 4일이라 7월 생일파티 주인공이 되고 2024년에는 6월 22일이라 6월 생일파티 주인공이, 2025년에는 6월 12일이라 6월 생일파티 주인공이, 2026년에는 7월 1일이라 7월 생일파티 주인공이 된다. 아직까지 음력으로 생일을 챙기는 경향이 컸던 1960~70년대에는 이런 경우가 상당히 많았으나, 양력으로 생일을 챙기는 경향이 커진 2020년대에는 상당히 줄어들었다. 아마 할머니나 할아버지가 유치원을 다녔다면 본인은 유치원에서는 양력, 집에서는 음력으로 생일을 챙겼다거나, 아예 음력으로 생일을 챙겨 매년 생일이 오는 달이 달라졌다는 이야기도 할 정도. 물론 음력으로 윤달이 생일인 경우는 유치원 시기에 그 윤달이 돌아오지 않아서 애초부터 양력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94] 검은색 일색의 학사나 석사 학위복보다는 박사 학위복처럼 화려한 편이다.[95] 단, 박사모(Doctoral Hat) 형태도 있다. 기사[96] 그것도 온몸에 문신이 있는 경우에만 4급 사회복무요원 판정을 받고 몸의 일부에만 문신이 있으면 개수와 크기에 따라 현역 1~3급 판정을 받는다. 그나마 2021년부터는 문신에 의한 병역 기준이 사라져 문신이 있어도 현역이다.[97] 6개월 이상 1년 6개월 이하의 실형을 선고받은 경우나 1년 이상의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경우에 자동으로 사회복무요원 판정을 받는다.[98] 이는 사회복무요원 복무관리규정에 엄연히 있는 규정이다.[99]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 시기에 대개 1박2일로 여름캠프를 다녀오곤 했었는데, 1999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 이후로 유치원 여름캠프 시장은 사실상 종말을 맞았다. 다녀오더라도 원에서 가까운 곳에 당일치기로 다녀오는 경우가 많다.[100] 간혹 윤달이 끼면 10월에 하기도 한다.[101] 단, 2022년은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해 할로윈 행사를 취소한 경우가 많았다. 2023년에도 그 영향으로 할로윈 행사를 안 하는 유치원이 있다.[102] 윤달이 있는 해에는 1월에 하기도 한다.[103] 단, 부지가 넓다거나 중/고등학교, 대학교 부설인 경우 학교 옆이나 내에 유치원 단독 시설을 따로 만들기도 한다.[104] 이들 중 일부는 국내-해외-국내 순으로 근무하거나 해외 한인 유치원이 첫 근무지가 된다.[105] 대체로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유럽에 있는 나라들이다. 이런 나라들에는 한인 교포들의 수가 적어서 한인 유치원을 두지 않는다. 따라서 이런 나라들에 체류 중인 교민들은 자녀를 국제유치원이나 현지 유치원으로 보낼 수밖에 없다. 이런 나라에 체류 중인 교포들의 경우 현지어 실력이 낮은 경우가 많아 보통은 영어를 사용하는 유치원으로 보낸다.[106] 한인 부모들 중 해외에서 태어난 자녀를 둔 경우는 한인 유치원과 현지 유치원을 두고 고민하는 경우가 있다.[107] 한국에서 유치원을 다니다가 해외로 이민 와서 두 나라의 유치원 교육을 경험하는 유아와 유치원 입학 이전에 이민을 와서 이민 간 나라에서 유치원 과정을 전부 경험한 유아도 있다. 심지어 아이를 둘 이상 가진 부모는 한국 유치원과 해외 유치원을 모두 경험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로 첫째 아이는 한국 유치원을 졸업하고 첫째 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닐 시기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둘째 아이는 미국 유치원에 보내는 경우이다.[108] 4곳이 있는데 1곳은 완전 한인용, 1곳은 완전 외국인용, 나머지 2곳은 한인과 외국인 겸용이다.[109] 애초에 사회복무요원 등 군 대체복무자들은 해외로 배치될 수 없다.[110] 급식비 포함 약 2~30만 원.[111] 이 과정 자체는 대통령 공약에 의거.[112] 빠른 년생 (1월, 2월 출생자), 입학유예자 제외. 1991년까지는 5세, 1992년부터는 4세부터 입학 가능하다.[113] 특이하게도 유치부만 있는 특수학교의 경우 유치원이 아니라 학교로 분류되어 있다. (2024년 기준 전국에 10곳 소재.) 실제로 이들 학교는 유치원알리미에 정보가 공시된 일반 유치원과는 달리 모두 학교알리미(초·중·고등학교 공시 사이트)에 정보가 공시되어 있다. 다만 교육부에서 매년 발간하는 특수교육통계에서는 이렇게 유치부만 있는 특수학교도 별도의 항목에서 안내하고 있기는 하다.[114] 70대 후반 이상인 어르신들, 특히 할머니들 중 초등학교도 못 다닌 사람이 있는 것은 현재의 70대 후반 이상인 어르신들이 어렸을 때는 초등학교조차 의무교육이 아니었기 때문. 그리고 의무교육 첫 세대인 1947~1952년생들도 초등학교를 안 다니는 사람도 있다. 여기에 할아버지들의 평균 학력이 할머니들보다 더 높았던 것은 남존여비 사상이 심해 여자가 글을 아는 것을 나쁘게 여겨 딸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았던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여기에 현재의 80대 중후반~90대들은 창씨개명을 하지 않으면 초등학교조차 입학 허가가 되지 않았던 시절이 있었다. 이렇게 된 탓에 문맹이거나 반문맹인 할머니들이 아직도 있고 노인복지관 등에서 한글 관련 강좌를 수강하는 어르신들 가운데 할머니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이다.[115] 매우 드물게 젊은 남자가 있기는 하지만, 그 대부분은 사회복무요원이다.[116]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태백시, 삼척시,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창군, 부안군, 경상북도 울릉군, 봉화군 등.[117] 파주시, 포천시, 철원군, 양구군 등.[118] 용준형만 해도 유치원은 용재순이라는 이름으로 다녔고, 야구선수 나균안은 유치원 시절 쓰던 이름이 나종덕, 한유섬의 경우는 한동민이었다.[119] 1934~1937년생 어르신들이 대표적인데 (1938~1940년생은 유치원 입학 이전에 창씨), 이들은 유치원 시절에 성과 이름을 모두 일본식으로 고쳤다. 이런 케이스로는 이순재 (창씨명 히로키 준사이)가 대표적이다. 이대호의 딸인 이예서는 유치원 시절 이효린에서 개명했다고 한다.[120] 주로 비구(독신 남성 승려). 비구니(독신 여성 승려)가 맡는 경우도 있다.[121] 유치원을 8번 옮겨 다녔다.[122] 더 옛날에는 초등학교와 대학도 교복이 있었다. 초등학교 교복은 1960년대에, 대학 교복은 1980년대에 사라졌고 1990년대 일부 초등학교가 잠깐 교복을 도입하기는 했으나 얼마 안 가 사라졌다. 현재 대학생 교복은 사관학교와 가톨릭 신학교에만 제한적으로 남아 있다.[123] 단, 성비는 시대나 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1980년대 중반~2000년대 중반생들이 유치원생이었던 1987년~2012년에는 남초인 유치원이 많았다고 한다. 심지어 현재도 안동시예천군 등 몇몇 보수적인 지역에 가면 남초인 유치원이 아직도 많다. 남아선호사상으로 인한 여아 낙태 때문이다. 물론 현재는 대부분 지역은 성비가 비슷하다.[124] 특히 전라남도, 경상북도 북부, 경상남도 서부의 농촌 지역이 그런데, 이들 동네는 안 그래도 적은 인구가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으며, 특히 영양군은 2006년에 19,982명을 기록하는 등 이미 인구 2만 명 선이 무너졌다. 그나마 몇 곳 남아 있는 사립 유치원들이 줄줄이 폐원하는 곳도 농촌 지역이다. 심지어 28개 군 (강원 양구•화천•인제•평창•고성, 충북 단양, 충남 서천, 전북 무주•진안•장수•임실•순창, 전남 강진•곡성•신안•함평•고흥•보성, 경북 청송•울진•영덕•영양, 경남 의령•산청•고성•하동•남해, 대구광역시 군위군)과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속초시,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에는 사립유치원이 하나도 없다.[125] 아직까지 이런 사례는 전라남도 함평군뿐이며, 대구광역시 군위군은 대구광역시 자치구 지역으로 간다.[126] 대표적인 사례가 충청남도 서천군.[127] 8세 이상인 여자는 무조건 히잡, 차도르 등을 둘러야 한다는 규율인데, 유치원에 다니는 연령대는 6세 이하이기 때문.[128] 한국인과 아시아인 노동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129] 크레용 신짱에도 이를 묘사한 에피소드가 존재한다.[130] 현재의 황해북도 사리원시.[131] 주로 장교 가족들이 이렇게 자녀의 유치원을 옮긴다. 반면 부사관이나 준사관 가족들은 유치원을 옮기는 경우가 잘 없다.[132] 실제 쌍둥이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고민 중 하나가 유치원을 보낼 때 같은 반에 넣느냐, 다른 반에 넣느냐일 정도. 한 반에서 쌍둥이가 함께 생활하면, 유독 둘이서만 어울려 다른 친구들과의 관계가 부족해지고, 교사나 다른 원아들이 개별적인 시각에서 보지 않고 둘을 하나로 묶어서 생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 연령에 한 반일 경우는 어쩔 수 없지만.[133] 주로 도시에 사는 경우 이런 일이 발생하는데, 두 아이의 유치원 추첨을 하다가 한 아이가 떨어져 서로 다른 유치원에 다니게 되는 경우인데, 심지어는 쌍둥이인데 다른 지역의 유치원을 다니기도 한다. 풍납동에 사는 쌍둥이 중 하나는 풍납동, 다른 하나는 천호동의 유치원을 다닌다든가(...).[134] 그 예로 형이 다니던 유치원에 둘째 아들을 입학시키는 경우가 있다.[135] 물론 BW 12화의 깨봉이처럼 원생들이 들여와서 키우는 경우도 있다. 해당 에피소드 초반에는 교사인 유라[176]가 깨봉이에게서 지독한 냄새가 난다는 등의 이유로 반대해서 깨봉이가 쓰레기장에 버려졌으나, 비밀기지 사건 이후 교사도 찬성 쪽으로 돌아서서 깨봉이를 유치원에서 키우게 되었다.[136] 해당 유치원에서는 포켓몬으로 마이농플러시를 키우고 있었다.[137] 물론 그 트라우마는 나중에 극복했다.[138] 일본어로는 ピカリ(피카리), 영어로는 Dee Dee. 여기서 Dee Dee는 Diamond Dandruff의 줄임말로 추정된다.[139] 일본어로는 サナエ, 영어로는 Olesia.[140] 물론 그 전에도 1897년에 부산유치원 등이 설립되기는 했으나 대부분 일본인 자녀를 위한 것이었고, 1909년 나남에 세워진 유치원은 해방 이후 북한으로 넘어갔다.[141] 현재도 존재한다. 1918년 생이 1회 졸업생, 1920년생은 1회 입학생이었다.[142] 당시 초, 중, 고등학교에서는 그나마 있던 조선어 수업 시간도 매우 적게 편성하다가 1938년에는 수의과목으로 전락한 것으로 모자라 1940년대에 가서는 끝내 폐지되었고, 조선어(국어)를 쓰면 벌을 받았다고 한다. 학생들을 서로 감시하게 만들고 조선어(국어)를 사용한 학생을 처벌하기 위한 국어상용패(國語常用牌)가 이런 상황에서 나왔던 것이다.[143] 실제 사례로, 국내 최초의 불교계 유치원인 강릉시 금천유치원의 1941년 졸업생 명단에는 일부만 창씨개명한 일본식 이름이, 1942년 졸업생 명단에는 모두 창씨개명한 일본식 이름이 올라와 있다. 물론 이들은 현재 고인이거나 팔순을 넘긴 어르신들이다. 예외가 있다면 일본에 원래 성씨와 같은 한자를 쓰는 성이 있어서 창씨개명을 하지 않아도 티가 나지 않았던 남궁씨, 남씨, 계씨, 임씨 (林), 류씨 등등.[144] 매우 드물게 유치원을 다녀 본 어르신이 있기는 하다. 심지어 창씨개명한 이름으로 유치원에 다닌 사람도 있다.[145] 당시에는 서울 강남구 (경기도 광주군 소속. 현재의 서울 강남구는 광주군 산하 2개의 면이었는데 삼성동, 대치동, 신사동, 압구정동, 논현동, 역삼동, 청담동, 도곡동, 개포동은 언주면, 일원동, 수서동, 자곡동, 율현동, 세곡동은 대왕면 소속이었다.)와 대구 수성구, 칠곡은 물론 지금은 도시인 울산대전, 일산, 성남 (경기도 광주군 소속), 수원, 구미, 천안, 청주, 충주, 제천, 여수, 정읍, 전주, 제주, 강릉, 속초 (강원도 양양군 소속), 춘천 같은 동네도 시골이었다. 다만 고흥군은 1920년대에 이미 고흥유치원이 존재했고, 의성군, 예산군, 산청군, 함양군, 양구군, 횡성군, 홍천군, 철원군, 화천군, 거창군 등지에도 일제 시대부터 유치원이 있었던 등 시골 중에서는 비교적 일찍 유치원이 들어온 편이었다. 특히 횡성군은 무려 1919년(!!!)에 화성유치원이 들어왔는데, 이는 강릉이나 울산은 물론 경기도의 웬만한 큰 도시들에 비해서도 상당히 빠른 것이었다. (횡성 1919년, 강릉 1923년, 울산 1930년. 경기도의 많은 도시들은 1960년대 이후에야 유치원이 겨우 들어왔다.) 게다가 횡성에 처음 유치원이 들어왔을 시기에 전라도와 제주도에는 아직 유치원이 없었다.[146] 유치원 시절 히로키 준사이(廣城順載;ひろきじゅんさい)라는 이름으로 창씨개명을 했다.[147] 정찬우가 이런 케이스이다.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에서 정찬우는, "나는 둘째라는 이유로 유치원에도 다니지 못하고 형만 다녔다"고 말했다. 여기에 더해 당시 시골에서는 이렇게 유치원을 못 다닌 사람들이 많았고, 서울 같은 도시라고 해도 사정이 낫지는 않아서, 서울에 살아도 부자가 아니면 유치원에 못 다녔다고 한다. 부모들이 월남하면서 이북에 재산을 놓고 내려온 실향민 출신들도 마찬가지. 1950~1970년대에 유치원은 금수저들만 다닐 수 있었던 셈. 특히 현재 50대 이상인 사람들의 취원율을 성별로 나누면 여자는 남자에 비해서 낮았고, 출생 순서에 따라 나누면 둘째 이하의 유치원 취원율은 첫째에 비해 낮을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어 판다 사육사 강바오, 송바오도 유치원을 못 다녔을 확률이 매우 높고 대통령 중에서는 박근혜윤석열 단 2명만 유치원에 다녀 봤을 정도이다.[148] 당시 유치원은 모두 사립이었으므로, 시골 군 지역은 관내에 유치원이 있는 경우가 잘 없었다. 그나마 관내에 유치원이 있었다고는 해도 모두 읍내에만 있었으니 읍내에서 멀리 떨어진 면 지역에 사는 아이들은 다니기도 어려웠다. 그 당시 시골에는 버스가 다녀도 2~3시간에 1번 꼴로 오는 게 다반사였을 정도였고 철도가 지나지 않는 동네들도 많았으니. 횡성군, 평창군, 인제군, 정선군, 홍천군강원특별자치도 산골 마을은 더 상황이 심각해서, 겨울 (주로 11~3월)에 폭설이라도 오면 주요 등하원 수단인 버스가 끊기는 바람에 꼼짝없이 결석 확정이었다. 이는 완도군, 옹진군, 신안군 등 섬 지역도 마찬가지로 여름이나 가을 (주로 7~9월에 태풍이 많이 오며 드물게 6월이나 10월, 매우 드물게 5월에 오는 경우도 있었다.)에 태풍이 오면 주요 등하원 수단인 배가 끊겨서 결석 확정이었다. 울릉군 같은 경우는 1974년에야 유치원이 들어와서 울릉도가 고향인 50대 후반 이상은 유치원에 다녀 보지도 못했다.[149] 한 예로, 1960년대 경상북도 경산군 경산읍에 사는 아이가 대구에 있는 유치원을 다니려면 경산에서 대구까지 버스나 기차를 타야 했다. 이것은 수도권이라고 해도 별로 낫지 않아서 평택 (이런 스킬을 쓰는 경우는 주로 평택군 평택읍)이나 안성에 사는 아이가 충청남도 천안으로 넘어가서 유치원을 다닌다든가, 가평이나 양평, 여주에 사는 아이가 강원도 춘천, 원주로 넘어가서 유치원을 다닌다든가 하는 일도 있었으며, 고양군 신도면, 양주군 구리면, 시흥군 서면과 같이 서울에 인접한 이나 에 사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아예 서울로 넘어가서 유치원을 다니는 경우도 있었다.[150] 당시 유치원생들은 대부분 대지주, 고위 공무원, 기업체 사장, 유명 정치인, 지역 유지 등의 자녀들이었고 실향민 출신 아동은 상대적으로 적었다.[151]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에서 유치원을 다녔다.[152] 유치원 졸업 후 이민을 갔다.[153] 역대 대통령 중 2번째로 유치원을 다녀 본 대통령이다. 1번째는 박근혜.[154] 당시 명칭은 특수국민학교. 대학교 부속 초등학교와 사립초등학교가 여기에 해당됐다. 이들은 입학시험을 거쳐 신입생을 뽑았다.[155] 당장 현재 50대 이상인 사람들의 유치원 취원율과 30대 이하인 사람들의 유치원 취원율을 비교해 보면 30대 이하 쪽이 더 높을 수밖에 없다. 1980년대에 유치원을 다닌 40대인 1974~1986년생은 과도기이다. 실제 통계에서도 1964년에는 전국 초등학교 신입생(1957년생) 중 유치원을 나온 경우가 1.3%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90% 이상으로 폭증했다. 이런 이유로 1960년대 유치원생들은 (1954~1966년생으로 현재 이들은 환갑을 넘긴 어르신들이나 환갑을 앞둔 아저씨, 아주머니들이다.) 대체로 도시에서 기와집이나 서양식 주택을 짓고 살 정도로 부유한 집안의 아이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들은 세뱃돈을 100원 이상 받아 보기도 했다.[156] 이렇게 되는 이유는 현재 유치원생의 조부모 대에 해당하는 사람은 1950년대~1960년대 중반생인데, 이들의 고향이 농촌 지역이 많고, 도시더라도 유치원에 다니지 못한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특히 현재 유치원생의 조부모의 고향이 울릉도였다면 더한데, 울릉도에 유치원이 처음 들어온 것은 서울보다 60년, 제주도보다 50년, 거제도보다 3년 늦은 1974년이었기 때문에 1968년생부터야 유치원에 다닐 수 있었는데 유치원생인 2017~2020년생의 조부모가 49~52살 이하 차이나는 경우는 드물어서 이들의 조부모가 울릉도 거주자라는 할아버지,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대에는 유치원을 다닌 사람이 아예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증조부모 대에 해당하는 1910년대 후반~40년대 초반생은 말할 것도 없고.[157] 이런 경우는 광역시가 있는 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경상북도를 예로 들면, 할아버지가 상주군 상주읍, 할머니가 문경군 점촌읍에서 유치원을 다니고, 아버지가 김천시에서, 그 아들은 대구광역시에서 유치원을 다닌 셈. 수도권의 경우도 마찬가지인데 할아버지는 안성군 안성읍, 할머니는 이천군 이천읍, 아버지는 수원시, 그 자녀는 서울특별시에서 유치원을 다닌 경우가 있다.[158] SARS는 확진자 수가 졸업식에 영향을 줄 정도로 많지 않고, 신종플루MERS는 매우 심하지도 않았고 대유행 시기가 졸업 시즌을 비껴갔다.[159] 유치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면 해당 유치원은 휴원하고 그 유치원에 임시선별진료소를 설치해서 그 유치원의 교직원, 원아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는다. 2020년 대구 신천지 사태 때 유치원에서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수많은 지역에서 유치원생 확진자가 나왔다.[160] 유치원 교사들이 이렇게 말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아이의 단점이나 부족한 점을 말했다가는 학부모로부터 항의가 들어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고, 이런 안 좋은 소문이 학부모들 사이에서 퍼지게 되면 원아 모집이 어려워진다. 물론 아이의 단점이나 부족한 점을 깨닫고 수용하는 개념있는 부모들도 있지만, 아이를 금이야 옥이야 하면서 싸고 돌기만 하는 무개념 부모들도 많으니까. 그리고 부모들이 교사가 편애한다고 생각하거나, 교사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교사에게 비협조적으로 행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치원 교육의 기본 목표는 '바른 생활습관 기르기'(이 '바른 생활습관' 중에는 면학도 포함되어 있다.)로, 가정과의 협력이 가장 중요하다. 때문에 학부모와의 관계 또한 교사의 업무 중 하나이다. 참고로 이런 마케팅은 월트 디즈니의 방법론을 적용시킨 것으로 보인다.[161] 아내 하원미와 같은 유치원 출신이다.[162] 백남준 본인은 재혼을 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첫 번째 아내가 그와 같은 유치원 출신이었다.[163] 본명 이걸(이일민에서 이걸로 개명했다). 아내 김혜림과 같은 유치원 출신이다.[164] 물론 스승찾기 서비스에 동의한 선생님들만 한정이고 해당 서비스에 동의하지 않은 선생님들의 경우 검색을 해도 정보가 나오지 않는다. 또한 이미 정년퇴임한 선생님들의 경우에도 당연히 검색이 불가능하다.[165] 대체로 60대 이상인 경우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유치원 교사는 대부분 20대 여성이고, 여성의 평균수명이 85세를 넘기기 때문에 유치원 졸업생이 50대가 넘었어도 해당 교사가 살아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 보통 유치원 졸업생이 40~45세가 될 때부터 해당 교사가 환갑을, 50~55세가 되면 고희를 넘기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유치원 졸업생이 50세이면 해당 교사는 65~70세인 경우가 많다.[166] 1956~1957년 경 서울 근화유치원.[167] 1964~1966년 유치원 재원. 그는 보문동에서 종로까지 걸어서 등하원했으며, 유치원 시절 장래희망이 목사였다.[168] 하지만 류호정은 1992년생으로 1995~1998년에 유치원생이었다.[169] 심지어 이다지는 어머니가 유치원 원장을 했다. 이다지가 강의 도중 어머니가 유치원 원장 모임에 나가면 자신만 모피 코트가 없다며 이다지에게 모피 코트를 사 달라고 했다는 말을 하기도 했던 것은 이 때문.[170] 물론 1960~1970년대에 태어난 인터넷 강의 강사들도 있다. 한석원 (1964년생), 한석만 (1970년생), 전한길 (1970년생), 고석용 (1970년생), 신승범 (1971년생), 이기상 (1971년생), 심주석 (1971년생), 이선재 (1974년생), 배기범 (1977년생), 윤성훈 (1976년생), 류성완 (1979년생), 강승희 (1978년생), 정승제 (1976년생), 조은정 (1976년생), 박봄 (1976년생) 등등.[171] 국내에서 잘 알려진 축구선수 박지성 (1982년 3월 30일생)은 1986~1988년 사이에 고흥군에서, 손흥민 (1992년 7월 8일생)은 1996~1998년 사이에 춘천시에서 유치원을 다녔다. 올림픽 메달리스트 중 대체로 하계는 2004 아테네 올림픽 이후, 동계는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의 대회에서 메달을 받은 선수들이다.[172] 동물보호법상 맹견은 도사견과 그 잡종의 개, 로트와일러와 그 잡종의 개, 핏 불 테리어와 그 잡종의 개, 아메리칸 스태퍼드셔 테리어와 그 잡종의 개, 스태퍼드셔 불테리어와 그 잡종의 개 등으로 규정되어 있다.[173] 당시 이름은 화니(华妮).[174] 많은 유치원에서 "우리 유치원" 대신 실제 유치원 이름을 넣어서 원가로 쓴다.

[175] 지금은 복선 전철화가 된 호남선, 전라선, 경춘선, 경의선, 경원선조차 당시에는 단선 비전철이었다. 수도권 지역이라고 해도 철도 환경이 이래서 당시 경기도 양평에서 서울 청량리까지 기차를 타도 2시간 이상이 걸렸다(!). 이게 1960년대 시골에서 도시 유치원으로 다니던 아이들의 등하원 시간을 늘리는 원인이 되었다.[176] 일본어로는 ユリ, 영어로는 Daniela.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