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0:23:22

민주당계 정당


대한민국의 정당 분류
정부수립 이전
민주당계 정당
보수정당
(초기, 군정기, 민자당계)
극좌 | 진보 | 중도 | 중도보수 | 극우 | 민족주의 | 대중주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원내정당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70석
12석
}}}
원외정당
파일:기후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새미래민주당 임시 로고 화이트.svg 파일:소나무당 로고.svg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sv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민주당계 정당
주요 정당
과거 초기 <colbgcolor=#fff,#1c1d1f>한국민주당 (1945~1949)
민주국민당 (1949~1955)
민주당 (1955~1961)
군정기 신민당 (1967~1980)
민주한국당 (1981~1988)
신한민주당 (1985~1987)
통일민주당 (1987~1990)
평화민주당 (1987~1991)
제6공화국 민주당 (1991~1995)
새정치국민회의 (1995~2000)
새천년민주당 (2000~2005)
열린우리당 (2003~2007)
대통합민주신당 (2007~2008)
통합민주당 (2008)
민주당 (2008~2011)
민주통합당 (2011~2013)
새정치민주연합 (2014~2015)
국민의당 (2016~2018)
현존 원내정당 더불어민주당 (2015~)
조국혁신당 (2024~)
집권 정부
<colbgcolor=#fff,#1c1d1f>장면 내각 (1960~1961)
국민의 정부 (1998~2003)
참여정부 (2003~2008)
문재인 정부 (2017~2022)

1. 개요2. 현황
2.1. 당색2.2. 정당 기호
3. 성향
3.1. 보수정당과의 연관성3.2. 진보정당과의 연관성
4. 역대 민주당계 정당 목록
4.1. 8.15 광복 이후 ~ 제5공화국4.2. 노태우 정부 ~ 국민의 정부4.3. 참여정부 ~ 박근혜 정부4.4. 문재인 정부 ~ 현재4.5. 현재
5. 소속 정치인
5.1. 대통령5.2. 부통령5.3. 내각제 총리5.4. 국회의원
5.4.1. 13대 국회5.4.2. 14대 국회5.4.3. 15대 국회5.4.4. 16대 국회5.4.5. 17대 국회5.4.6. 18대 국회5.4.7. 19대 국회5.4.8. 20대 국회5.4.9. 21대 국회5.4.10. 22대 국회
5.5. 광역자치단체장
5.5.1. 서울특별시장5.5.2. 부산광역시장5.5.3. 인천광역시장5.5.4. 광주광역시장5.5.5. 대전광역시장5.5.6. 울산광역시장5.5.7. 세종특별자치시장5.5.8. 경기도지사5.5.9. 강원도지사5.5.10. 충청북도지사5.5.11. 충청남도지사5.5.12. 전라북도지사5.5.13. 전라남도지사5.5.14. 경상북도지사5.5.15. 경상남도지사5.5.16. 제주특별자치도지사
5.6. 기초자치단체장5.7. 당대표
6. 역대 선거결과
6.1. 대통령 선거6.2. 부통령 선거6.3. 국회의원 선거6.4. 지방선거
7. 전당대회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55년에 창당한 민주당을 시초로 하는 대한민국의 정당 계보.

이승만 정부사사오입 개헌에 반발해 반독재를 기치로 집결하면서 형성되었으며, 이후 유신체제신군부에 맞서면서 성향이 구체화되고 다양해졌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민주당계 정당사의 주요 정당으로는 평화민주당, 민주당(1991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더불어민주당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현재에도 보수정당과 양강 구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진보정당'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실제 이념 스펙트럼과는 다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도나 중도진보 성향으로 분류되긴 하나, 민주당계 정당은 특정 인물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때에 따라서는 보수 성향을 자처한 경우도 있었기 때문이다. 김영삼김대중이 민주당계 정당을 이끌던 시절[1]과 비교하면 현재의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적 성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해졌으나, 이념적으로 진보적 성향이 더 강한 정당 계열이 별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진보정당으로 분류하기 어렵다.

민주당계 정당은 시대와 상황에 따라 성향이 변화해온 것이 특징이다. 동일한 계통의 정당들이 다양한 성향을 띄면서 현재까지 이어져오고 있는데, 이는 역사적으로 군사독재정권보수정당에 맞서는 과정에서 다양한 정치적 성향을 가진 세력들이 이합집산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대한민국의 다른 정당들은 주로 '보수정당'이나 '진보정당'으로 이념에 따라 구분하지만, 민주당계 정당은 '민주당계'라는 계통으로 묶어 정의한다.

2. 현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원내정당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170석
12석
}}}
원외정당
파일:기후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새미래민주당 임시 로고 화이트.svg 파일:소나무당 로고.svg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svg
다른 정당 (극좌 · 진보 · 제3지대 · 중도 · 보수 · 극우 · 민족 · 대중 · 단일쟁점 · 빅 텐트 · 명망가 · 종교 · 호남권 · 혼합 정치 · 비례위성) }}}괄호 안은 대한민국 국회 의석 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주당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새미래민주당 임시 로고 화이트.svg
이재명 조국 전병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정부 장면 내각(윤보선 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정치인 대통령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 장면
대통령 후보 신익희 · 조병옥 · 허정 · 김창숙 · 유치송 · 김영삼 · 정동영 · 이재명
국무총리(내각제) 허정 · 장면
국무총리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당대표
정파 친노/친문 친문 (비문) · 친노 (비노) · 친낙 ·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친명 친명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동교동계 동교동계 · 박지원계 · 호남계
보수파 김한길계 · 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 민평련 · 박원순계
정당연대 더불어시민당 · 더불어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계파 역사
관련 정당 기후민생당 · K정치혁신연합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보수)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정당의 계파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복 ~ 한국민주당 창당
고려민주당 조선민족당 한국국민당
한국민주당 창당 ~ 4당 코뮤니케
민족민주파 한국국민파
4당 코뮤니케 ~ 민주국민당 창당
흥사단 송진우계 김성수계 장덕수계
민주국민당 창당 ~ 민주당 창당
탈당파 흥사단 국민당계 대청계 한민당계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구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 노장파 합작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 중도파 노장파 정안회 신민당 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민중당 창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자민당
민주당 민정당
민중당 창당 ~ 한일기본조약 비준
박순천계 유진산계 윤보선계 김준연계
한일기본조약 비준 ~ 신민당 창당
박순천계 신파계 유진산계 김준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71년 전당대회
신파계[1] 이재형계 소장파 유진오계 유진산계 신한계
71년 전당대회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2] 범진산계[3] 유진산계 국민당
2차 진산 파동 ~ 76년 전당대회
신파계 구파계 이철승계 유진산계 민주통일당
76년 전당대회 ~ 5.17 내란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이철승계 신도환계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권당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신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 상도동계 이기택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 신민당 꼬마민주계 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 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 동교동 신파 동교동 구파 후단협 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 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 친노 비노 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 친노 정동영계 민주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 정동영계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 참여계 민평련 친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 혁통계 민평련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박지원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손학규계 김한길계 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원외민주 민평련 친문 정세균계 천정배계 구민주계 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원외민주 친문 정세균계 구민주계 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 친문 안희정계 양승조계 호남계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 친문 비문 평화 대안 바른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친명 친문 비문 민생
더시민위성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 친명 친문 친낙 민생
20대 대선 ~ 더불어민주당 분당
친조 친명 친문 비명 친낙
더불어민주당 분당 ~ 22대 총선
혁신 친명 친문 비명 새미래
민주연합위성
22대 총선 ~ 현재
혁신 친명 비명 새민주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조국 · 민주 · 기후민생 · 새미래 · 개혁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민주당계 · 제3지대 · 보수정당)
}}}}}}}}}}}} ||
파일:대한민국의 정당 역사 계보.png
민주당계 정당의 계보[2]

2.1. 당색

민주당을 상징하는 색은 네 개로, 김대중 전 대통령이 정계 복귀를 선언하고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면서 고른 초록색16대 총선을 앞두고 세력 확대를 위해 창당하면서 고른 새천년민주당청록색[3],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열린우리당에서 주로 사용한 노란색[4], 2013년 민주당으로 개명한 후 더불어민주당문재인 정부가 사용하는 파란색[5][6]이 있다.

2015년, 국민의당은 당시 새누리당의 빨강과 더민주의 파랑이라는 스펙트럼의 중간인 초록색을 선택했다.[7] 주황색을 사용했을 때도 있었는데, 대통합민주신당이 그 예다. 2018년, 국민의당의 분열로 생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중 민주당 계열인 민주평화당은 초록색을 골랐고, 후신인 민생당까지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현재는 더불어민주당의 색깔인 파란과 민생당이 사용 중인 초록색, 두 색깔이 쓰이고 있다. 다만 민생당이 원외정당이 됨에 따라 원내 민주당계 정당의 색깔은 더불어민주당의 파란색만 남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더불어민주당에서 시조 격으로 여기는 1955년 민주당남색을 당색으로 사용하였는데, 2024년에 더불어민주당이 로고를 교체하며 기존의 옅은 파란색에서 이 색깔에 한층 가까운 짙은 파란색으로 당색을 바꾸었다.

2.2. 정당 기호

국회 원내 의석수 순으로 선거 정당기호 순서를 정한 공직선거법이 제정된 이후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민주당계 정당이 전국 단위 공직선거에서 받은 기호는 2번 또는 3번이었다. 민주당계 정당이 배출한 3명의 대통령 중에 두 대통령(김대중, 노무현)이 기호 2번으로 당선된 바 있다. 이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탁현민의 연출하에 김대중의 번호, 노무현의 번호라는 유세 CF를 제작하기도 했다. 기호 1번은 보수정당들이 주로 받았는데 이는 1997년까지 당시 여당이었던 보수정당이 자연스럽게 다수당이 될 수 있도록 만들었던[8] 선거법의 영향이 크다. 제13대 대통령 선거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평화민주당이 기호 3번을 받았고 이후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은 1991년부터 2002년까지 열린 모든 전국 단위 선거 때 기호 2번을 달았다.

그러다 2004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처음으로 기호 1번을 받게 되는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이 원내 1당이 되면서 기호 1번을 받았다. 그러나 열린우리당은 기호 1번을 받은 후 모든 선거에서 모조리 참패하는 흑역사를 만들었고(...) 이 당의 후신인 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제17대 대통령 선거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의 유산인 기호 1번을 받아 선거에 임했지만 역대급 참패를 당하고 1번 자리를 다시 보수정당인 한나라당에 넘겨주고 만다. 이후 시행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제18대 대통령 선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이 기호 2번을 달고 선거에 임했다.

그러나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원내 1당 자리를 탈환하면서 기호 1번을 달 수 있는 권한이 다시 민주당계 정당으로 돌아왔고 제19대 대통령 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 더불어민주당이 기호 1번을 배정받았다. 민주당보다 의석수가 적은 민생당은 기호 3번을 받았다. 그리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절반을 가뿐히 뛰어넘는 압승을 거두면서 2024년 4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치러지는 모든 선거에서[9] 더불어민주당이 기호 1번을 배정받았고, 2024년 4월 치러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원내1당을 유지함에 따라 2028년 4월까지도 1번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3. 성향

대한민국 민주당계 정당의 현재 이념은 진보적, 중도진보적 성향을 띠고 있지만, 그 역사를 전체적으로 보면 단순히 '진보적, 중도진보적'으로만 표현하기 어렵다. 민주당계 정당은 다양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때로는 보수적 정책을 내놓기도 했고, 중도개혁주의를 표방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김대중 대통령 시절의 국민의 정부는 중도개혁주의를 주 이념으로 내세웠지만, 호남 지역주의에 기반한 보수자유주의로 평가받기도 했다. 이처럼 민주당계 정당은 고정된 이념보다는 유연한 이념적 스펙트럼을 지녀왔다.

과거의 평화민주당과 통일민주당은 민주정의당을 진정한 보수가 아니라면서 보수 야당 타이틀을 주장하며 보수야당으로 분류되기도 했다. 이는 당시 정권에 대한 대안으로서 자신들을 보수적인 면에서도 차별화하려는 전략이었다. 또한, 민주당계 정당은 대북 포용정책을 펼치며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특성은 민주당계 정당이 단순히 진보적 또는 중도진보적 이념으로만 정의되기 어려운 이유이다.

각 인물별로 강조하는 바가 달랐고, 이는 정당의 성격과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대중 대통령은 민주화, 인권, 남북 화해 협력을 강조하며, 경제위기 극복과 복지 확충에 중점을 두었다. 노무현 대통령은 참여민주주의, 정치 개혁, 탈권위주의, 경제적 평등을 중시하며, 권력 분산과 지역 균형 발전을 추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적폐 청산, 소득주도 성장,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주요 과제로 삼아, 공정 사회 실현과 남북 평화를 강조했다. 이재명 국회의원은 기본소득, 공정성, 지역 균형 발전을 강조하며,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복지 확대를 중점으로 삼았다.

이 인물들 간의 차이는 강조점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김대중 대통령은 경제위기 극복과 민주화에 집중한 반면, 노무현 대통령은 정치 개혁과 권력 분산에 중점을 두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공정 사회와 한반도 평화에 집중했으며, 이재명 의원은 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복지 확대를 강하게 추진했다.

공통점으로는 모두가 민주화와 인권, 사회적 평등을 중요시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대북 정책에서는 일관되게 평화와 대화를 강조했다. 경제적으로는 복지 확대와 분배 정의를 중요한 목표로 삼았다는 점에서도 공통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적, 중도진보적 성향을 지니면서도 시대적 요구와 지도자의 철학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해왔다. 이들의 이념은 특정 시기와 상황에 따라 보수적 성향을 보이기도 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정치적 스펙트럼을 아우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각 인물별로 차별화된 강조점을 통해 드러나며, 동시에 공통적인 민주화와 평등, 대화와 평화를 추구하는 일관된 가치관을 보여준다.

3.1. 보수정당과의 연관성

대한민국 민주당계 정당은 역사적으로 보수적 성향을 띠었던 여러 시기가 있었다. 특히,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민주당 계열의 야당들도 반공을 중심으로 한 보수 성향을 강하게 보였다. 이승만 정권 하에서는 반공주의가 국가 이념으로 자리잡았으며, 민주당 계열 야당도 이러한 반공주의를 수용하였다. 이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안보 정책의 일환이었다. 또한, 경제적 자유주의를 지지하며 시장 경제와 사유 재산권 보호를 강조했다.

박정희 정권 시기에는 민주당 계열이 박정희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지지하며 국가 주도의 산업화와 경제 성장 정책을 수용했다. 이 계획은 국가가 주도하여 산업을 발전시키는 경제 정책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을 포함했다. 박정희 정권은 군사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군비 확충을 추진했다. 민주당 계열의 야당은 이러한 정책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방관하며, 국가의 안보를 강화하는 데 동조했다. 예를 들어, 박정희 정부는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까지 군사적 현대화를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였고, 민주당 계열의 야당은 이를 국방력 강화의 필요성으로 받아들였다. 이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김대중 정부는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IMF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도입했다. 이 정책은 자유 시장 원칙에 기반하여 경제를 개방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며, 금융과 기업 구조조정을 포함했다. 보수정당은 김대중 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을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필수 조치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진보정당은 이 정책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노동자와 서민들에게 피해를 준다고 비판했다. 진보정당은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이 대기업과 외국 자본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중소기업과 노동자의 권익을 소홀히 한다고 주장했다.

노무현 정부는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 추진하여 자유 무역을 촉진하고, 경제 개방을 확대했다. 보수정당은 FTA가 한국 경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국과의 경제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진보정당은 FTA가 국내 농업과 중소기업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하며, 대기업과 외국 자본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노무현 정부는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차별을 줄이고, 고용허가제같은 노동 시장의 경직성을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보수적 경제 접근으로 평가되며, 진보정당은 이러한 접근이 노동자 권익을 축소하고 노동 시장의 불안정을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문재인 정부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해 한미 군사 동맹을 강화하고,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군사적 대비 태세를 유지했다. 보수정당인 국민의힘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일부 진보 세력은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더 적극적인 평화 정책을 원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는 초기에는 탈원전을 강력히 추진했지만, 후반기에는 에너지 수급 문제로 인해 탈원전 정책을 일부 완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수정당은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나, 진보정당과 환경단체들은 실망을 나타냈다.

이재명 의원은 금융투자소득세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투자자들의 과세 부담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자본 시장의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보수정당인 국민의힘은 이재명의 입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는 세금 부담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진보정당과 일부 민주당 내 진보 성향 의원들은 금융투자소득세를 통해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고 공평한 과세를 실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반대했다. 또한 이재명 의원은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재건축 및 재개발의 용적률과 층수 규제, 안전진단 절차 등을 완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는 기존 민주당의 입장과 달리, 주택 공급을 늘려 부동산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보수적인 접근이다. 보수정당인 국민의힘은 이를 환영하며, 주택 공급 확대를 통해 시장의 수급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진보정당과 일부 민주당 내 진보 성향 의원들은 개발이익 환수와 환경 및 안전 문제를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한 접근을 요구했다.

보수 정권이 자리를 잡고 있던 시기에도 민주당계 정당이 무조건적으로 반대만 한 것은 아니었다. 각 정부의 정책 중 일부는 민주당계 정당과 보수정당 간의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노태우 정부 하에서 민주당계 정당은 경제 자유화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정하며, 부동산 시장의 규제 완화에 대한 보수적인 접근을 방관하기도 했다. 김영삼 정부 시기에는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한 구조조정 정책에 대해 필요악으로 받아들이며, 공공부문 개혁의 방향성을 공감했다. 이명박 정부의 4대 강 프로젝트와 녹색 성장 정책은 민주당계 정당이 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환경적 우려는 제기했다. 박근혜 정부의 기초연금 확대와 보편적 건강 보험 정책은 국민 복지 강화를 위한 조치로서 민주당계 정당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박근혜 정부의 사드 배치에 대해서도 민주당계 정당은 기본적으로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필요성에는 공감했다. 또한, 한미 동맹 강화를 위한 전략적 측면에 대해 일정 부분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결국, 민주당계 정당은 보수적 성향을 띠었던 여러 시기를 경험했으며, 이는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따른 실용적 접근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승만과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보수적 성향을 보였고, 김대중과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경제적 신자유주의와 개방 정책을 채택했다.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대표 하에서도 경제 정책과 사회 정책에서 진보적 요소와 중도적 요소를 혼합하여 다양한 접근을 시도해왔다. 또한 보수정권 시기에도 민주당계 정당은 정책 대응을 단순히 반대에 그치지 않고, 정책의 내용과 목적에 따라 보수정당과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였다. 이것은 민주당계 정당이 변화하는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발전해왔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민주당계 정당의 이념적 보수성에도 불구하고, 민주당계 정당이 보수정당과 다른 길을 걷게된 결정적인 차이점은 바로 대북정책의 시각차에 있다. 분단 국가 특성상, 통일을 비롯한 대북정책은 주요 의제로 떠오를 수 밖에 없고, 이에 강경한 입장을 취한 보수정당과 달리, 대화와 교류 위주의 유화적 입장을 보인 민주당계 정당은 보수정당과 방향성의 차이를 일으켰고, 더 나아가 진보/보수 이분법적 분류 방식으로 인해 대중적으로 진보정당으로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3.2. 진보정당과의 연관성

본 단락에서 말하는 '진보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은, 정당의 이념이 아닌 대한민국 정치사에서의 계보에 따라 구분해 지칭한다.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정당과 역사적으로 연관이 깊지만, 독자적인 정치적 성향을 유지해왔다. 반독재 운동의 중심에 서서 군사정권에 저항한 민주당계 정당과 노동자, 농민의 권익을 대변해 급진적인 변화를 추구한 진보정당은 대한민국의 정치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민주당계 정당은 반독재 운동의 중심에 서며 군사정권에 저항했다. 특히 1960년 4.19 혁명 당시 민주당은 이승만 정부의 독재와 부패에 맞서 싸웠고, 이로 인해 정권이 교체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도 민주당계 정당은 박정희와 전두환 군사정권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다. 1979년 김영삼의 국회의원 제명 사건과 1987년 6월 항쟁은 이러한 민주당계 정당의 반독재 투쟁의 중요한 사례들이다.

반면 진보정당은 주로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을 대변하며 더 급진적인 변화를 추구했다. 예를 들어, 1987년 민주노총의 전신인 전국노동조합협의회는 노동자들의 권익을 위해 싸웠고, 1980년대 농민운동 단체인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은 농민들의 경제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활동했다. 진보정당들은 주로 이들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자의 노동 조건 개선과 농민의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진보정당이 민주화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민주당계 정당과 합심하게 된 배경에는 독재정권이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을 억압하고 착취했기 때문이다. 독재정권은 경제 성장을 최우선시하면서 노동자와 농민을 경제 발전의 도구로만 여겨, 이들의 권익을 지속적으로 침해했다.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 조건과 낮은 임금에 시달렸고, 농민들은 농업 정책의 실패와 농산물 가격 하락으로 고통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자와 농민의 권익을 대변하는 진보정당들은 독재정권의 억압에 저항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이유로 진보정당은 민주당계 정당과 손을 잡고 반독재 운동에 참여했다. 이들은 독재정권의 종식을 통해 정치적 자유와 함께 경제적, 사회적 권리를 회복하려는 목표를 공유했다. 1987년 6월 항쟁은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이 합심하여 민주화를 이룩한 대표적인 사례로, 노동자, 농민, 학생 등 다양한 사회 계층이 함께 참여하여 군사독재를 무너뜨렸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 간의 관계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했다. 민주화 이후 초기에는 독재정권에 대한 공동의 반대가 사라지면서 각자의 정치적 목표와 노선 차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 김대중과 김영삼이 주도하는 민주당계 정당은 보다 중도적이고 현실적인 접근을 선호했지만, 진보정당은 여전히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했다. 이러한 차이는 1990년대 초반의 민주자유당 창당과 같은 정치적 사건들로 인해 더욱 부각되었다.

김대중 정부는 1998년 출범 이후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복지 강화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1998년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IMF 구조조정 프로그램을 수용하면서도, 기초생활보장법을 제정해 사회적 안전망을 강화했다. 또한, 햇볕정책을 통해 남북 관계를 개선하려 했으며, 이는 평화 통일을 위한 진보적 접근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는 시장 경제를 수용해 외환 위기 극복을 위해 기업 구조조정과 민영화를 추진했고, 이는 진보정당의 비판을 받았다.

노무현 정부는 참여정부로서 소득 재분배와 복지 정책을 강화했다. 국민연금 개혁, 기초노령연금 도입, 무상 보육 확대 등 사회복지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노무현 대통령은 균형 발전을 위해 행정수도 이전을 추진했으나, 시장 경제를 지지하는 신자유주의 정책도 병행하였다. 한미 FTA 체결을 추진하며 대외 경제 개방을 확대했고, 이는 진보정당과 시민단체의 강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안보 정책에서도 노무현 정부는 한미 동맹을 유지하며 보수적 입장을 고수했다.

문재인 정부는 소득주도 성장 정책을 통해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노동시간 단축 등을 시도했다. 복지 정책에서는 아동수당 도입, 기초연금 인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등을 추진했다. 또한,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고, 판문점 선언과 평양 공동 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진전시키려 했다. 그러면서도 경제 정책에서는 여전히 기업 친화적인 정책을 일부 유지했고, 안보에서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강한 한미 동맹을 강조했다.

이재명 의원은 기본소득 도입, 부동산 투기 근절, 노동자 권익 보호 등을 강력히 주장하며 더욱 진보적인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경기도지사 시절, 기본소득형 지역 화폐 도입과 무상교복, 무상 산후조리원 등 복지 정책을 시행해 주목받았다. 그는 경제 정의와 소득 재분배를 강조하며, 부동산 불로소득을 환수하고 공공임대주택을 확대하자는 정책을 제안했다. 이러한 행보는 진보정당의 지지를 받는 부분이다.

진보정당들은 이러한 민주당계 정당의 행보에 대해 일정 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여전히 타협적이고 중도적인 성향을 비판한다. 진보정당들은 민주당계 정당이 시장 경제를 수용하고 기업 친화적 정책을 유지하는 것을 경제적 불평등 해소에 충분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또한, 안보 정책에서 보수적 입장을 취하는 것을 비판하며, 보다 급진적인 변화와 개혁을 요구한다.

더불어시민당 출범 당시, 야권 단합을 명분으로 노동당, 녹색당, 미래당, 민중당 등을 끌어들이려 했으나, 선거제도와 정책 차이로 인한 잡음이 있었다. 노동당과 녹색당은 더불어시민당이 민주당의 위성 정당이라는 점에서 비판적이었다. 이들은 더불어시민당이 민주당의 정책을 대변할 것이라고 우려하며, 진보정당의 독자성을 유지하기 위해 합류를 거부했다. 또한, 미래당과 민중당은 선거제도의 공정성 문제와 정책적 차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합류하지 않았다. 이러한 잡음은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 간의 장기적인 정책 연대가 어려운 이유를 보여준다.[10] 민주당계 정당은 중도 성향을 유지하며 폭넓은 유권자층을 포괄하려는 경향이 강한 반면, 진보정당은 보다 급진적인 개혁을 추구하기 때문에 정책적 조율이 어렵다.

진보정당 지지자들은 진보정당의 세력이 약하기 때문에 전략적 투표로 민주당계 정당을 선택하기도 한다. 이는 보수 정당의 집권을 막기 위한 현실적 선택이며, 진보정당의 영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다. 지방선거나 국회의원 선거에서 진보정당이 전국 모든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못하기에, 선거에서 진보정당 지지자들이 지역구에서는 민주당계 정당에서 출마한 후보에 투표하고, 비례대표 투표는 진보정당에 투표하는 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7년 대선에서는 심상정 후보가 출마했지만, 최종적으로 많은 진보 성향 유권자들이 문재인 후보를 선택하여 보수 정당의 집권을 저지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 앞서 언급한 전략적 투표 현상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층의 분포 면에서 진보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의 관계는 일차원적으로 해석하기 곤란하다.

결국, 민주당계 정당의 뿌리는 진보정당과 연관이 있지만, 독자적인 정치적 성향을 유지해왔다. 1955년 이후 민주당계 정당은 민주화 운동을 통해 진보적 성향을 강화했으나, 여전히 중도 성향을 유지하며, 다양한 정치적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변화해왔다. 2024년 현재까지 민주당계 정당은 진보적 가치와 중도적 정책을 조화시키며, 정치적 지형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민주당계 정당과 진보정당의 관계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며 발전해왔고, 이는 한국 정치의 복잡성을 잘 보여준다.

4. 역대 민주당계 정당 목록

4.1. 8.15 광복 이후 ~ 제5공화국

반독재 보수정당 빅텐트의 성향을 보이던 시기다.

4.1.1. 한국민주당


1945년 8월 18일 독립운동가 원세훈이 고려민주당을 결성하였으나 1945년 8월 28일 조선민족당에 흡수 통합되었다. 조선민족당 또한 1945년 9월 16일 한국민주당에 통합되었다.

한국민주당은 원세훈, 김병로 등의 조선민족당과 장덕수, 김도연 등의 한국국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으로, 당시에는 지금의 민주당과는 정반대의 우익 성향 정당이었다. 이 중 비주류였던 조선민족당 계열은 독립운동가 출신이 섞여 있었지만, 정작 주류였던 한국국민당 계열은 친일반민족행위자 출신이 많았다. 이후 1946년 비주류가 좌우합작운동에 대한 의견 차이로 탈당하면서 한민당은 완전히 친일지주, 유지 및 자본가 세력 중심의 정당으로 남게 됐다.

한민당은 초기에는 이승만정읍 발언 및 단독정부 수립 구상에 동의하는 등 반공, 친이승만 성향을 띠고 있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도 반민특위 좌초에 앞장서는 등 이승만 정부의 연립여당 격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한민당이 체제를 의원내각제로 바꾸고 김성수를 국무총리에 앉히려 했던 반면 이승만은 대통령제를 강하게 주장하면서 둘의 관계는 점점 멀어지게 된다. 이후 내각 구성 과정에서 한민당은 내각의 절반을 한민당 인물로 채워 줄 것을 요구했지만, 이승만은 이를 무시하고 좌익 성향의 조봉암을 농림부장관으로 임명하면서까지 한민당을 노골적으로 홀대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승만은 한민당의 기반이던 친일 지주세력을 찍어누르기 위해 농지개혁법 카드를 꺼내들며 한민당과 이승만 정부의 사이는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버린다.

민주당계 정당 계보에도 들어가는 정당으로, 청년 시절 김대중이 입당하여 시당 상무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훗날 1955년 민주당의 뿌리가 되는 일부 인사들이 속해있었다. 다만 1955년의 민주당이 창당된 이후 이어진 민주당계 인사들과는 큰 연관점이 없고, 친일 문제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도 존재하며, 정치적 성향 자체도 현재와는 정반대의 당이었기에 오늘날 현존하는 민주당계 정당들은 이 당을 민주당계의 원류로 취급하지 않고 있다. 애초에 민주당계 정당은 많은 이합집산을 반복하면서 역사가 이어져 왔고, 시초로 보는 1955년 민주당 역시 한민당 인사들 외에 다른 세력들도 많이 합류했기 때문에 더 그렇다.

4.1.2. 대한국민당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대통령이 여당이면서도 정당보다는 정치 단체의 성격이 강했던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정식 정당으로 전환시키려는 의지를 보이자 신익희, 윤치영 등이 창당한 정당이다. 하지만 이승만은 독촉 자체의 정당 전환을 노렸던 거지 신당 창당을 원한 것이 아니었고, 결국 이승만과의 거리가 멀어진 대한국민당은 한국민주당과 힘을 합치며 야권으로 편입된다. 이후 껍데기만 남은 당을 친이승만계가 채워버리며 1949년 말부터는 전혀 다른 성향의 당이 된다.

4.1.3. 민주국민당

민주국민당은 이승만 정권에게 뒤통수를 거하게 얻어맞은 한국민주당대한국민당과 합당하며 만들어진 정당이다. 당명은 한국민주당에서 "민주", 대한국민당에서 "국민"을 땄다고 한다. 민국당은 무소속 의원 일부와 제휴하여 내각제 개헌을 추진했지만 통과시키지 못했고, 이승만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면서까지 발췌 개헌을 통과시키며 대통령 권한 강화로 맞섰다. 이후에도 민주국민당은 야당으로서 이승만 정부의 모진 탄압을 견뎌내야 했다.

4.1.4. 민주당(1955년)

민주당은 이승만 정권이 발췌 개헌에 이어 사사오입 개헌마저 멋대로 통과시키자 위기를 느낀 제1야당 민주국민당장면흥사단계, 그리고 사사오입 개헌에 반대하는 자유당 탈당파가 세력을 모아 창당한 정당이다. 민주당은 제3대 대통령 선거신익희를, 3.15 부정선거(당시 4대 대선)에 조병옥을 내보냈지만 공교롭게도 둘 모두 유세 기간에 사망하며 정권을 잡지 못했다. 참고로 3대 대선에서 신익희가 내세운 구호가 그 유명한 못살겠다 갈아보자이다. 그러다가 부정선거에 따른 4.19 혁명으로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이 무너지면서 민주당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압승하며 제1당이 되고 내각제로 개헌하여 제2공화국의 집권 여당이 되었다. 이 때 민주당이 세운 75% 의석률 기록은 독재정권 시기에도 깨지지 않았고 현재도 깨지지 않고 있다.

하지만 정작 정권을 잡은 민주당은 극심한 내부 계파 갈등에 시달리며 국정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민주당에는 구파와 신파라는 두 계파가 있었는데 구파는 한민당-민국당 시절부터 쭉 당에 있었던 인사들이고[11] 신파는 흥사단계, 자유당 탈당파, 테크노크라트 등 민주당 창당 때 새로 들어온 인사들이다. 2공 당시 장면 국무총리는 신파, 윤보선 대통령은 구파 소속이었는데 내각제 특성상 실권이 총리에게 있으므로 장면은 내각을 전부 신파 일색으로 구성해 버렸고, 그러자 윤보선은 장면 내각의 행보에 지속적으로 태클을 걸며 상징적 국가원수 자리에 머물러 있으려 하지 않았다. 즉 한민당 시절부터 그렇게 내각제를 부르짖었으면서 내각제를 제대로 실천하지도 못한 셈. 이러한 계파 갈등에 따른 정치 혼란은 박정희5.16 군사정변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또한 2공이 무능해서 박정희가 갈아엎었다는 식으로 정당성도 제공해 줬다.

4.1.5. 신민당(1960년)

신민당은 민주당 내 치열한 계파 싸움이 진행되던 와중에 구파 강경파가 일당독재를 막겠다는 명분으로 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신민당은 불과 몇달 전까지 같은 정당 소속이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장면 내각에 사사건건 딴지를 걸었고, 또한 구파였던 윤보선 대통령이 2공 헌법상 당적을 가질 수는 없었지만 거의 대놓고 신민당의 이익을 대변해 줬다고 한다. 결국 장면 내각의 발목을 잡으며 2공 실패에 일조했던 신민당은 5.16 군사정변으로 민주당과 같이 해산되었다.

4.1.6. 민정당

민정당은 민정이양 이후 구 민주당 구파 및 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제5대 대통령 선거윤보선 전 대통령이 야권 단일후보로 출마했지만 역대 최소 득표차이로 박정희에게 아쉽게 패배했다. 지금과 달리 당시에는 구한말 유력 가문 출신의 기성 정치인 윤보선이 보수, 빈농 출신의 신진 세력 박정희가 진보의 지지를 받았다고 한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40석을 획득하며 제1야당이 되었다.

4.1.7. 민주당(1963년)

민주당은 민정이양 이후 구 민주당 신파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2공 민주당을 이어받았다는 뜻에서 재건민주당이라 불리기도 했다.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은 야권 단일화를 위해 후보를 내지 않고 민정당 윤보선 후보를 지지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정당에 밀리며 제2야당이 되었고, 자유민주당, 국민의당과 삼민회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했다. 이 중 국민의당과는 1964년 합당했다.

4.1.8. 자유민주당

자유민주당은 박정희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이 "범국민정당 운동"의 일환으로 창당한 정당이지만, 정작 박정희는 자유민주당에 발을 빼며 민주공화당 쪽으로 가버렸고 그 자리에 신민당, 통일당 출신 일부 인사들이 참여하면서 창당 의도와 달리 야권에 편입되었다. 제6대 국회에서는 재건민주당, 국민의당과 삼민회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1964년 같은 구파 성향의 민정당에 흡수합당되었다.

4.1.9. 민중당

민중당은 1965년 민정당, 재건민주당 양당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정당으로, 구 민주당에서 신민당이 떨어져 나간 이후 5년만에 다시 민주당계 정당이 하나로 뭉치게 되었다. 하지만 합당의 취지가 무색하게 여당이 강행 처리한 한일기본조약 저지 투쟁 노선을 두고 원외투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강경파와 국회의원답게 원내에서 해결을 봐야 한다는 온건파로 나뉘었고 결국 강경파는 민중당을 탈당하여 신한당을 창당했다.

4.1.10. 신민당(1967년)

신민당은 제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중당, 신한당 양당이 야권 단일화를 위해 합당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6대 대선에는 지난 대선에 이어 윤보선이 출마했지만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성공으로 인해 4년 전보다 훨씬 큰 격차로 패배했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신민당의 대중적 이미지는 그냥 무늬만 다르지 형태는 똑같은 보수야당 내지 기성 정치인들이 모인 구태정당에 가까웠다. 그러나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40대였던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이 출마를 선언하며 분위기가 달라진다. 일명 40대 기수론꼰대 마인드의 지도부는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반대로 지지자들은 환호했고, 최초로 현대식 공개경선을 실시한 결과 김대중이 승리하여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다. 김대중은 3선 개헌까지 저지른 박정희가 이번에도 대통령이 되면 영구집권의 총통제를 실시할 것이라고 유권자들에게 경고했지만, 결국 패하고 말았다.

이후 김대중의 예언, 그리고 앞으로는 표달라 하지 않겠다던 박정희의 말대로 정부는 10월 유신을 선포했고, 신민당은 제1야당으로서 유신독재에 맞서 다양한 방식의 민주화 투쟁을 주도했다. 이때부터 신민당을 비롯한 민주당계 정당이 그동안 가지고 있었던 부정적 평가가 희석되고 민주화 투사 정당이라는 이미지가 자리잡게 된 것이기 때문에 혹자는 구 민주당보다 신민당을 민주당계 정당의 뿌리로 쳐주기도 한다. 이후 장기화된 유신 체제에 대한 국민적 불만과 피로가 누적되며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이 민주공화당의 정당 득표율을 앞서는 이변을 연출했고, 그해 10.26 사건으로 유신 정권은 종말을 맞이한다. 박정희 사후 신민당과 민주공화당은 대통령 직선제를 골자로 하는 민주헌법 개헌안에 합의했지만 신군부가 5.17 내란으로 정권을 잡으며 민주화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한편 40대 기수론을 타고 정치권 전면으로 급부상했던 양김김대중은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해외 망명 투쟁을 벌이던 중 박정희 정권에게 납치/감금당하는 고초를 겪어야 했다. 반면 국내 투쟁을 진행했던 김영삼은 총재로 선출되어 당을 이끌었으나, 당내 권력다툼에서 밀리고 있던 정적 이철승차지철을 비롯한 독재정권의 비호를 받고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난동 사건을 일으키며 반강제로 이철승에게 당권을 넘기게 된다. 하지만 김영삼은 1979년 전당대회에서 강경 노선을 앞세우며 다시 이철승을 꺾고 기어코 총재직을 탈환했다. 박정희 정부는 YH 사건 탄압, 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 김영삼 질산 테러 사건 등을 통해 김영삼을 어떻게든 정치권에서 제거하려 했지만 분노한 국민들이 부마민주항쟁을 일으켰다. 이 당시 남긴 희대의 명언이 바로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4.1.11.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은 신군부의 정치규제를 피해간 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전두환 정권의 관제야당 중 하나였다. 관제야당이었기 때문에 창당 자금도 국가안전기획부가 대 줬고, 선거 공천도 안기부가 넘겨준 명단대로 했을 정도로 힘이 없었다. 민주한심당 1981년 제12대 대통령 선거유치송 총재가 출마했으나 당연히 전두환에게 큰 차이로 패배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그해 정치규제가 풀린 인사들이 만든 신한민주당에 밀려 제2야당이 되었으나, 선거 과정에서 중선거구제를 이용해 아빠는 신민당, 엄마는 민한당 구호를 내세우는 등 신민당이랑 짜고 민주정의당을 엿먹이는 데 가담하기도 했다. 이후 소속 의원들이 전부 신민당으로 넘어가며 민한당은 사실상 와해되었으며, 끝까지 당을 지키던 유치송 등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부 낙선하며 자동해산되었다.

4.1.12.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은 1985년 초 전두환 정권의 정치규제가 풀린 신민당 출신 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사실상 신민당이 부활한 정당으로 당명 역시 선관위가 신민당 재사용을 불허하는 바람에 약칭을 신민당으로 할 수 있는 신한민주당으로 정한 것이다.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은 돌풍을 일으키며 제1야당이 되었고, 이는 전두환 정부가 양김의 정치규제를 해금시키는 등 더욱 유화책을 쓰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신민당은 민한당을 사실상 흡수하며 의석수를 100석으로 불렸고, 인천 5.3 운동 등 직선제 개헌을 위한 민주화 투쟁을 진행했다. 그러나 이민우 총재가 전두환 정권이 신민당의 요구사항을 들어준다면 내각제 개헌도 수용할 수 있다는 이민우 구상을 발표하자 강하게 반발한 양김이 탈당했고, 이후 신민당은 급속하게 몰락했다. 결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이민우를 비롯한 모든 후보들이 낙선하며 자동해산되었다.

4.2. 노태우 정부 ~ 국민의 정부

동교동계 중심의 중도개혁주의를 바탕으로 중도 노선을 탄 시기이다.

4.2.1.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신한민주당 이민우 총재가 발표한 이민우 구상에 반발한 김영삼계와 김대중계가 신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민주당은 6.10 민주 항쟁을 주도했고 마침내 노태우6.29 선언을 발표하며 직선제 민주화를 쟁취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제1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나란히 출마를 선언한 YS와 DJ가 끝내 단일화에 실패하자 DJ가 동교동계를 이끌고 평화민주당을 창당하며 민주당에는 YS의 상도동계만이 남게 되었다. 민주당은 단일화 무산의 대가로 대선에서 패한 데 이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평민당에 밀려 제2야당으로 전락하면서 위기에 처했으며, YS의 차기 대권주자 행보에도 급제동이 걸렸다. 이때 똑같이 난관에 봉착했던 노태우 대통령이 3당 합당을 제안하며 접근했고, 김영삼이 수락하며 통일민주당은 여당 민주정의당, 김종필신민주공화당과 합당해 민주자유당이 되어 보수정당의 계보로 편입된다.

4.2.2.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제13대 대통령 선거 정국에서 김영삼과의 단일화에 실패한 김대중이 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대선에서는 평민은 평민당, 대중은 김대중이라는 센스있는 구호를 내세웠으나 결국 3위로 낙선했다. 당시 DJ는 지방 하나씩을 텃밭으로 삼고 있는 4명 모두 출마하면 수도권에서 우세한 본인이 이긴다는 4자 필승론을 제시하였으나 결국 노태우가 어부지리로 승리하며 4자 필승론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평민당은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YS의 민주당을 밀어내고 제1야당이 되는 등 황색 폭풍을 일으키며 약진했으나, 나머지 세 정당이 하루아침에 하나가 되며 순식간에 전세가 역전되었다. 사실 노태우 대통령은 평민당까지 끼워 4당 합당을 통해 일본 자민당마냥 중도보수 1당 우위제를 만들려 했지만 DJ는 국민이 만든 여소야대를 뒤집는 건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일이라고 생각하여 거부한 것이다.

4.2.3. 민주당(1990년)

민주당은 3당 합당에 반대하던 통일민주당 이기택, 노무현 등 일부 의원들이 통일민주당을 탈당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민주당"을 약칭으로 쓰던 전신 통일민주당 및 신민주연합당과의 합당으로 만들어진 후신 1991년 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 꼬마민주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꼬마민주당은 최대 의석수가 채 10석이 되지 못할 정도로 규모가 작았지만 1991년 지방선거에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통일민주당 득표율의 절반 이상을 득표하는 등 지지율은 꽤 높았다. DJ의 평민당이 동교동계의 정치적 뿌리라면 정치 신인이었던 노무현이 3당 합당 비판에 앞장서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던 꼬마민주당은 열린우리당-친노-친문으로 이어지는 계파의 정치적 뿌리라고 할 수 있으므로 당세나 존속기간은 짧았을지언정 이후 민주당계 정당에 미친 영향은 평민당 못지않았다고 할 수 있다.

4.2.4. 신민주연합당

신민주연합당 3당 합당으로 순식간에 홀로 남은 야당이 된 평화민주당이 재야 세력과 규합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신한민주당과 마찬가지로 당명은 약칭으로 "신민당"을 활용할 수 있도록 신민주연합당으로 정하게 되었다. 1991년 지방선거에서는 민주자유당의 계파 갈등 및 노태우 정부의 부정부패 스캔들로 인해 무난하게 승리할 것으로 보였으나 야권표가 신민당과 꼬마민주당으로 분산되고 투표율도 저조하게 나오면서 패배했다.

4.2.5. 민주당(1991년)

민주당은 야권 분열로 인해 지방선거에서 패한 신민주연합당꼬마민주당이 거대 여당 민주자유당에 맞서기 위해 합당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민자당의 과반 의석 획득을 저지하며 100석 가까이 얻어 사실상의 개헌저지선을 확보하는 등 선방했다. 그러나 같은 해 열린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1971년, 1987년에 이어 3번째 대권 도전에 나선 김대중초원복집 사건으로 인한 지역감정 극대화 및 영남권의 대결집으로 인해 라이벌 김영삼에 또다시 패배하고 말았고 결국 김대중은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이후 제2야당이었던 통일국민당의 몰락으로 또다시 나홀로 야당 신세가 되었다. 1995년에는 이종찬새한국당을 흡수했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승리했지만 정작 격전지였던 경기도에서 패하며 책임론을 두고 동교동계와 꼬마민주계 간의 계파 갈등이 발생했다.

4.2.6.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는 민주당 내분이 이어지자 때마침 정계에 복귀한 김대중동교동계를 이끌고 민주당을 나와 창당한 정당으로, 현재 원내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법적 전신이다. 그러나 당시 정계 은퇴를 번복한 DJ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았고, 평민당-꼬마민주당 시절 이후 다시 야권이 분열되었기 때문에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회의는 제1당은커녕 개헌저지선도 확보하지 못하면서 참패했다. 반면 신한국당은 무소속과 자민련 탈당파를 끌어모아 과반 의석을 채웠고, 여당의 독주를 막기 위해 국민회의는 김종필자유민주연합과 손을 잡으며 DJP 연합을 결성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김대중은 1997년 외환 위기의 여파로 문민정부의 지지율이 폭락하고 여권이 이회창이인제로 분열되며 이회창의 끈질긴 추격을 뿌리치고 4수 끝에 대통령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동시에 헌정사상 첫 평화적 정권교체를 이룩했다.

국민회의는 대선을 전후하여 통합민주당 탈당파와 이인제의 국민신당, 그리고 재야/노동운동가 출신 인사들을 대거 영입하며 몸집을 불렸고, 그 결과 민주당계 정당의 대통합이 이뤄지게 되었다.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회의는 DJP 연합으로 연립여당이 된 자민련과의 전국적인 후보 단일화를 통해 광역단체장 16석 중 10석(국민회의 6석+자민련 4석)을 석권하는 등 대승을 거둔다. 여기에 한나라당 출신 의원들을 영입하며 여소야대를 여대야소로 뒤집는 데 성공했다.

4.2.7. 통합민주당(1995년)

통합민주당은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에 따라가지 않고 민주당에 남은 꼬마민주계 인사들이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시민단체 계열의 개혁신당과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그러나 나머지 세 정당이 삼김 중 하나가 이끄는 정당인 상황에서 제4당이 설 자리는 별로 없었고,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15석 획득에 그치며 교섭단체 구성에도 실패했다. 더욱이 국민회의와 통합민주당으로 야권이 분열되며 한나라당이 어부지리로 의석수를 챙기는 결과만 낳고 말았다.

4.2.8. 민주당(1996년)

의석수가 반토막난 통합민주당은 당명을 다시 민주당으로 바꾸었지만, 국회의원 3명이 한나라당으로 이동하며 의석수는 12석으로 더욱 쪼그라들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은 조순 서울시장을 후보로 추대했으나 지지율 부진으로 인해 대선을 포기하고 신한국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되었다. 하지만 여기에 반발한 노무현 등 "국민통합추진회의(통추)" 소속 대부분은 민주당을 탈당해 국민회의에 입당, 5년만에 김대중과 재회하게 되었다.

4.3. 참여정부 ~ 박근혜 정부

기존의 중도 노선에서 다소 벗어나 진보적 성향을 보여준 시기로, 친노 중심의 사회자유주의 성향을 보이던 시기다.

4.3.1. 민주당 직계

4.3.1.1. 새천년민주당
국민회의는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명을 새천년민주당으로 변경했지만, 지난 지방선거와 달리 이번에는 DJP연합에 균열이 가며 단일화를 성사시키지 못했고 결국 4년 전과 마찬가지로 한나라당이 어부지리 승리를 가져가고 말았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민주당 경선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았다. 지난 대선 김대중 승리의 일등공신(?) 이인제동교동계 대표 한화갑, MBC 앵커 출신의 소장파 정동영, 영남후보론을 들고 나온 노무현 등 쟁쟁한 후보들이 경쟁했으며 당초 이인제의 승리가 유력했지만 분수령인 광주 경선을 앞두고 노무현만이 이회창을 이길 수 있다는 여론조사가 발표되었고, 이후 노풍(盧風)이 경선을 휩쓸며 노무현이 최종 후보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어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민주당이 대패하면서 당은 물론 노무현 후보의 입지도 흔들리게 되었다.

한편 2002 월드컵 열풍으로 정몽준이 대선 후보로 급부상했고, 급기야 당내 비노 세력은 후보 단일화 협의회(후단협)를 결성해 노무현 흔들기 및 정몽준으로의 후보 교체를 시도한다. 하지만 단일화 경선 끝에 노무현이 승리하며 그대로 출마하게 되었고, 본선에서 한나라당 이회창을 꺾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참여정부 출범 직후에는 민주당 당내 갈등이 잦아드는 듯 했으나 당 쇄신 관련 논쟁과 대북송금 특검 논란으로 인해 동교동계와 친노의 사이는 최악으로 치달았고 친노가 열린우리당으로 탈당하며 민주당계 정당은 다시 쪼개지고 말았다. 이후 민주당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를 적극 주도했으나 탄핵이 기각되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정면으로 역풍을 맞고 9석짜리 정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민주당은 DJ라면 자신들을 지지해주리라 믿었으나 탄핵에 크게 실망한 DJ는 오히려 열린우리당을 공개 지지하며 확인사살을 시켜주었다.
4.3.1.2.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은 동교동계(호남 구주류)와의 갈등 끝에 새천년민주당을 탈당한 친노 및 천신정 등 호남 신주류가 창당한 정당으로, 출범 당시에는 47석의 초미니 여당이자 역대 최초의 제3당 여당이었다. 그러나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무리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시도로 인해 화난 국민들이 우리당에 표를 몰아주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려 152석을 획득, 단숨에 여대야소로 전세를 뒤집었다. 그러나 정부가 추진하던 4대 개혁 입법과 행정수도 이전이 모두 무산되며 참여정부의 레임덕이 오고, 2005년 대연정 파동으로 당이 분열되면서 열린우리당은 하락세를 걷기 시작한다. 결국 우리당은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몇 차례 재보선에서 전부 패배했고, 당 지지율도 추락하자 대선을 앞둔 2007년에는 소속 의원들이 하나둘 당을 떠나기 시작하며 일명 탈당 엑소더스가 진행되었다.
4.3.1.3. 민주당(2005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하며 광주전남 지역정당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 새천년민주당은 민주당계 정당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해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참여정부의 실책과 당내 분열로 인해 그야말로 폭삭 망해버린 열린우리당보다 나은 성적을 기록하며 약해진 당세에 비해 선방했고, 2006년 재보궐선거에서도 예상 밖의 당선자를 배출하며 재기를 노렸다.
4.3.1.4. 중도통합민주당
중도통합민주당은 김한길중도개혁통합신당새천년민주당이 이름을 바꾼 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그러나 창당한지 1달 반만에 김한길계가 탈당하며 도로 민주당이 되었다. 애초에 두 계파는 합당 이후에도 기존 정당의 홈페이지를 계속 따로따로 사용할 만큼 실질적 통합에 별 관심이 없었다고 하니 그냥 의석수 늘리기용 야합인 셈. 참고로 당적 변경의 아이콘과도 같은 이인제김한길이 잠시나마 함께했던 유한 정당이다.
4.3.1.5. 대통합민주신당
대통합민주신당은 열린우리당, 중도통합민주당에서 탈당한 김한길계, 그리고 한나라당 당권 싸움에서 밀려난 손학규계가 통합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는 정동영이 출마했으나 모두의 예상대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에게 거의 더블스코어로 패배했다. 그나마 여론조사와 달리 무소속 이회창 후보한테 지지 않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 대선 직후 해산하며 역사상 가장 짧게 존속한 여당이 되었다.
4.3.1.6. 민주당(2007년)
중도통합민주당은 김한길계가 빠져나가며 2005년 민주당과 다를 바가 없어지자 당명을 다시 민주당으로 되돌렸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마땅히 낼 후보가 없던 찰나에 국민중심당을 탈당한 이인제가 들어오며 후보 자리를 차지했다(...) 그러나 정계 은퇴를 번복한 이회창이 국민중심당의 지지를 얻으며 출마 선언하자 이인제의 지지 기반이었던 충청도 표가 전부 이회창에게 가버렸고 결국 이인제는 득표율 0.67%를 기록하며 폭망했다.
4.3.1.7.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은 대선에서 나란히 패한 대통합민주신당민주당이 합당하여 만들어진 정당이다. 이 합당으로 2003년 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분당 후 약 4년만에 민주당계 정당이 다시 하나로 통합하게 되었다. 이명박 정부의 허니문 선거였던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연히 패하며 지선-대선-총선 선거 3연패를 당하는 흑역사를 겪었지만, 이후 광우병 논란2008년 촛불집회 정국의 영향으로 지지율 반등을 이끌어냈다.
4.3.1.8. 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은 2008년 7월 창당 5개월만에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민주당은 2008년 촛불집회에 이어 4대강 정비 사업 반대 투쟁, 미디어법 저지 투쟁, 한미자유무역협정 반대 투쟁을 연이어 벌이며 민주화운동 시기를 제외하면 가장 투쟁력이 강한 제1야당으로 손꼽힌다. 다만 압도적인 의석수 차이 때문에 실제로 한나라당의 독주를 막아서지는 못한 건 흠.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상급식 슬로건과 야권연대 성공으로 인해 한나라당에 판정승을 거뒀지만, 정작 수도권인 서울시장과 경기도지사를 내주며 미완의 승리로 남았다. 그리고 방어전 격이었던 2010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야당 지역구를 모두 한나라당에 뺏기면서 민주당 지도부는 상당한 타격을 입게 되었다. 그리고 오세훈의 자살골로 치러진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후보를 내지 못하면서 이대로는 정권교체가 힘들겠다는 위기감에 휩싸이게 된다.
4.3.1.9.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은 민주당문재인 등 원외 친노 및 시민단체 계열의 시민통합당이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슬슬 이명박 정부의 레임덕이 도래하고 있었기 때문에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의 승리가 예측되었으나, 공천 과정에서 열린우리당 출신만 줄줄이 공천하고 호남권 의원들은 물갈이하는 바람에 호남권 의원들의 탈당이 이어지고, 선거혁명이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던 모바일 국민경선에서도 여러 허점이 발견되며 여당 새누리당이 과반을 먹는 동안 밥상을 걷어찬 민주통합당은 패배했다.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도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긴 했으나 통진당의 극단적 성향으로 인해 중도층 표심에는 악영향을 미쳤다는 평이 많다. 특히 공천 홀대로 탈당한 호남권 의원들이 정통민주당을 창당해 민주통합당 표를 갉아먹는 등 공천 실패로 인해 야권연대가 100% 이루어지지도 못했다.

총선 이후에도 계파 다툼이 이어졌지만 당대표에 출마한 친노의 이해찬과 원내대표에 출마한 비노(호남계)의 박지원이 서로를 당내 경선에서 지원해 주기로 합의했고 둘 모두 당선되면서 갈등은 봉합되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 경선에서는 참여정부 민정수석 및 비서실장을 지낸 문재인이 압승하며 후보로 선출되었다. 초반에는 "안철수 신드롬"을 일으키며 제3후보로 떠오른 안철수와의 단일화 합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못하며 1987년의 재림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지만 안 후보가 사퇴하며 단일화가 극적으로 성사되었다. 그러나 단일화에도 불구하고 문재인이 본선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에게 패하며 민주통합당은 다시 비대위 체제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뜬금없이 국민감정과 동떨어진 안철수 책임론을 제기하며 아직 쇄신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결국 201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패하고 말았다.
4.3.1.10. 민주당(2013년)
민주통합당은 2013년 전당대회에서 당명을 민주당으로 변경했고, 같은 날 당대표로 비노, 비주류인 김한길을 선출했다. 새로운 당 강령에서는 2008년 촛불집회한미 FTA 등이 빠지며 확실히 우클릭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당의 상징색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시절부터 써오던 초록색이나 평화민주당, 열린우리당의 노란색이 아닌 파란색으로 바꾸었다. 그러나 김한길의 중앙당 권한 분산 계획에 문재인이 제동을 거는 등 친노와 비노의 갈등은 여전히 존재했다.
4.3.1.11.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은 민주당안철수새정치연합이 합당하여 창당한 정당이며, 당명은 민주당의 "민주"와 안철수의 정치 슬로건인 "새정치"에서 따왔다. 새민련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과 무승부를 거두면서 지난 총선보다는 나은 성적을 냈지만, 무려 국회의원 15석이 걸린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는 정의당과의 야권 단일화에 가까스로 성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낙하산 공천 논란을 비롯한 공천 실패 때문에 4:11로 완패했다. 결국 김한길-안철수 두 공동대표는 재보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동반 사퇴했고 2015년 전당대회를 통해 18대 대선 후보였던 문재인이 새 대표가 되었다. 문재인 대표 체제에서 새민련은 그동안의 당내 혼란을 수습하고 다시 단합하는 듯 했지만, 201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도 높은 정권심판론에도 불구하고 패배하며 위기를 맞았다.

재보선 패배 후 비주류는 문재인 책임론을 제기하며 문 대표의 퇴진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또한 비노 주승용 최고위원이 친노 정청래 최고위원과의 말다툼 끝에 회의장을 박차고 나가고, 문 대표의 최재성 당 사무총장 내정을 두고 이종걸 원내대표 등이 당무 거부에 나서는 등 당내 분위기도 점점 험악해졌다. 새민련 지도부는 당내 통합 및 쇄신을 위해 혁신위원회를 설치하고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이번에는 안철수 전 대표가 민주당의 혁신은 부족하고 실패했다며 정풍 운동을 주장하고 나섰다. 문 대표와 안 의원은 혁신안 및 당대표 재신임 관련 문제에 대해 회동을 나눴지만 결국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그 사이 9월에는 박주선 의원과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탈당해 신당 창당을 추진했으며, 12월에는 문재인 대표 사퇴를 요구하던 안철수 전 대표 역시 탈당했다. 이후에도 비노, 비주류 의원들의 탈당 행렬이 이어졌다.

4.3.2. 민주당 방계

4.3.2.1.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개혁통합신당은 열린우리당에서 탈당한 김한길계 소속 의원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4.3.2.2. 평화민주당(2010년)
파일:평화민주당 2010년 로고.svg
한화갑을 중심으로한 동교동계 정당.
4.3.2.3. 국민행복당
파일:국민행복당(2011년) 로고.svg
허평환을 중심으로 한 동교동계 정당.
4.3.2.4. 정통민주당
파일:정통민주당 로고.svg
제1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천에서 탈락한 동교동계들이 모여서 만든 호남 지역주의 정당. 그러나 야권의 표를 갈라먹으면서 흑역사로 묻혀버린 정당.
4.3.2.5. 국민참여당
유시민 중심의 참여정부 핵심인사들이 창당한 정당으로, 훗날 통합진보당으로 신설 합당하였다.
4.3.2.6. 시민통합당
친노 계열의 시민단체 위주 정당으로, 문재인의 민주당 합류를 위해 탄생한 정당.
4.3.2.7. 민주당(2014년)
민주당은 김민석 전 의원을 중심으로 한 인사들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창당한 정당이다. 비공식적으로 민주당으로 불렸던 새정치민주연합과 그 후신인 더불어민주당과 구별하기 위해 원외 민주당으로 주로 불렸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할 때 분쟁이 생기기도 하였다.

20대 총선을 앞둔 2016년 1월 박준영 전 전남지사가 주도하던 신민당 창준위와 통합하였으나 두 달만에 국민의당으로 이탈하였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신기남 의원이 입당하면서 원내정당이 되었으나 총선에서 모든 후보자가 낙선하면서 다시 원외정당이 되었다. 그 후 동년 9월 18일 더불어민주당과의 통합을 의결하였다.
4.3.2.8. 국민회의
파일:국민회의 2016년 로고.svg천정배가 창당을 주도했으나 국민의당 참여 선언하며 당의 구심점을 잃고 창당 몇 일 뒤 국민의당에 흡수 합당됨.

4.4. 문재인 정부 ~ 현재

4.4.1. 민주당 방계

4.4.1.1. 국민의당
국민의당은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사태로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비노계 중 안철수김한길 전 새민련 공동대표, 천정배국민회의, 그리고 박주선통합신당이 통합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은 민주당의 일명 "호남 홀대론" 덕에 호남 의석의 80% 이상을 석권했으며, 거대 양당에 모두 실망한 유권자들의 표심을 끌어모으며 비례대표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뒀다. 교섭단체를 넘어 40석 가까이 획득하며 120석씩을 얻은 양당 사이 캐스팅보트가 된 건 덤.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에서 국민의당은 최대한 빨리 탄핵하자고 주장한 더불어민주당, 정의당과 달리 새누리당 비박계를 충분히 포섭하고 진행해도 늦지 않다고 이견을 냈다. 처음에는 여론의 반발에 부딪혔지만 결국 비박계 포섭 및 탄핵 인용에 성공하며 국민의당의 주장이 맞았음이 드러났다.

탄핵 이후 치러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는 예상대로 안철수가 출마했고, 한때 민주당 문재인과의 양강 구도를 형성하며 문재인의 지지율을 턱밑까지 추격하기도 했지만 안철수 본인의 환장할(...) 토론 실력과 과도한 네거티브 전략으로 인해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게도 밀린 3위를 기록하고 말았다. 이후 국민의당 제보 조작 사건이 터지며 정당 지지율이 5% 밑으로 추락했고, 지지 기반이던 호남에서도 3~4%를 기록하며 민주당에 큰 격차로 밀리게 되었다. 이렇듯 당이 위기에 놓이자 안철수는 소속 의원들의 탈당 러시로 인해 비슷한 상황에 처한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주장했지만, 동교동계와 호남 의원들은 보수정당과 함께할 수 없다며 격렬하게 반발했다. 결국 안철수가 전당원 투표를 통해 합당을 밀어붙이면서 어떻게든 저지하려다 실패한 호남계는 탈당했고, 남은 친안계는 바른정당과 합당하여 바른미래당이 되었다.
4.4.1.2.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은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을 반대하며 국민의당을 탈당한 호남 중진 의원들이 창당한 정당이다. 문재인 정부를 적극 비판하며 우클릭 행보에 나선 바른미래당과 반대로 민주평화당은 정의당과 함께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등 좌클릭 행보를 보였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평화당은 호남에서만 당선자를 내며 호남 자민련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지만, 긍정적으로 보면 호남에서라도 세력을 어느 정도 확인한 평화당이 전 지역에서 참패한 바른미래당의 상황보다는 낫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당권을 두고 전북의 정동영계와 광주/전남의 박지원계가 다투기 시작했으며, 전당대회 결과 정동영이 대표가 되며 당권을 잡았다. 그러나 2019년 정 대표가 최고위원으로 박주현을 임명하자 비당권파는 지도부 퇴진을 요구하고 나섰고, 당권파가 해당행위라며 반박하자 결국 탈당했다.
4.4.1.3. 대안신당
대안신당은 민주평화당 비당권파인 박지원계, 천정배계가 당권파인 정동영계와의 갈등 끝에 평화당을 탈당해 "변화와 희망의 대안정치연대"(대안정치)를 결성하여 무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20년 초 창당한 정당이다. 하지만 대안정치 시절 전국 지지율이 0%대(...), 기반 지역이어야 하는 광주/전남에서도 1%대 지지율을 기록하며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특히 이미 80을 바라보는 박지원의 뒤를 이을 인물이 없다는 것, 즉 세대교체가 아예 일어나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4.4.1.4. 열린민주당
열린민주당은 손혜원정봉주 등이 현 더불어민주당은 진짜 민주당의 모습이 아니라며 더욱 강하고, 선명하고, 유능한 민주당을 만들겠다는 목표로 창당한 정당이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지역구 후보를 내지 않고 대신 민주당 공천에서 탈락한 인사들을 모아 비례대표로 내보내며 사실상 더불어시민당에 이은 민주당의 제2위성정당이 되었다는 평이다. 하지만 민주당 지도부가 열린민주당과 강경하게 선을 긋고 시민당에 투표할 것을 호소하면서 여권 지지층이 시민당으로 결집해 열린민주당은 3석을 획득하는 데 그쳤다. 이후 제21대 국회에서는 민주당의 위성정당답게 검찰개혁을 주장하고 2021년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김진애 후보가 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단일화하는 등 민주당과 같이 행동하고 있다. 2021년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이재명이 열린민주당에 합당 제안을 했고 2022년 민주당에 흡수합당되며 사라졌다.
4.4.1.5. 더밝은미래당
더불어민주당 더밝은미래위원회와 새로운물결 출신 인물들, 일부 시민사회 활동가들이 모여서 창당되었다. 녹색자유주의, 참여민주주의, 세계주의 등 기존 민주당계 정당과 다소 다른 노선을 주장하고 있으며 창당준비위원회 단계에서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 후보, 김영록 전남도지사 후보 등을 지지하며 선거를 돕는 등 더불어민주당과 친화적인 활동을 이었다.
4.4.1.6. 민생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svg

바른미래당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2020년 2월 24일 창당한 신당이다. 제3지대 정당을 표방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민주당 계열의 주로 호남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구 정치인들이 중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 정치인들은 모두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등으로 떠나고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득표율 2.71%를 획득한 것을 바탕으로 받는 선거보조금에 의존하여 간신히 연명하고 있다. 사실상 남은 정치인들은 없다시피 하고 선거보조금을 나눠먹는 사람들만 남아있으며, 내부 권력 다툼도 심하여 사실상 기능이 마비된 정당이다.
4.4.1.7. 깨어있는시민연대당
파일:깨어있는 시민연대당 로고.svg
민주당에서 탈당한 유재호 성남시의원과 SNS 중심으로 활동하는 문꿀오소리들이 창당한 정당. 제도권 정치인은 유재호 한 명만 있다. 이들은 문파를 자칭하며 이재명 경기지사는 물론 이해찬 전 대표까지 비방한 바 있다.[15] 문재인 지지자 중에서도 아주 극소수만 지지할 것으로 보이고, 실제로도 제21대 총선에서 아주 낮은 득표율인 0.05%, 14,242표를 득표했다. 당명 부터 친노, 친문임을 주장하는 정당이었으나 이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을 지지해 주류 민주당계 정당과 약간은 다른 노선을 걷는 중이다. 정확히는 친노, 친문이면서도 반이재명이라는 이유만으로 친윤인 상태다.
4.4.1.7.1. K정치혁신연합당
4.4.1.8. 새로운미래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4.5. 현재

4.5.1. 민주당 직계

4.5.1.1. 더불어민주당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2024~).svg
현재 대한민국의 제1야당이자 거대 양당 중 하나로, 새정치민주연합이 2015년 12월 28일 당명을 변경한 뒤로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 정당이다. 약칭은 처음에는 더민주로 하다가, 2016년 9월 원외 민주당을 흡수한 뒤로는 주로 민주당을 쓰고 있다.[16][17][18]

새정치민주연합 비주류들이 떠난 뒤에 당명을 개정했기 때문에 새정치민주연합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초기에는 여당인 새누리당의 강세와 비주류등의 탈당으로 흉흉한 당 내외적인 상황으로 인해 당에 위기감이 조성되었다. 그리하여 당에서는 인재 영입 등 나름대로 쇄신작업을 진행하였지만, 야권의 분열, 전통적인 텃밭 호남권에서의 당 지지율 저조, 당시 대통령의 지지강세로 인해 20대 총선에서 패배가 예상됐었다.

그러나 대반전을 이뤄내며 전국 정당으로 도약하게 된다. 수도권 압승과 영남권 약진이 선거 승리에 주효했다. 총 123석을 확보하여 제20대 국회 원내 제1당으로 등극[19]하여 정세균국회의장으로 선출시키기도 했다. 다만, 국민의당에게 민주당계의 텃밭이라고 불리는 호남권 대부분의 의석을 내줘야 했다. 비록 전통적인 텃밭을 빼앗기기는 했지만, 이것이 되려 호남 지역 정당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에 도움이 된 것도 사실이다. 호남 의석 대부분을 다른 당에 내주고도 수도권에서의 압승과 영남권에서의 약진 등으로 원내 제1당으로 등극했기에 더 이상 호남에 연연하지 않아도 충분히 당이 건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줬기 때문이다.

이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일어나고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라는 과정을 겪으면서 범진보 지지층에서의 주류 정당화에 성공했고, 탄핵중도층과 중도 보수층 일부도 지지층으로 끌어오는데에 성공하였다. 그 덕분에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후보가 압승하면서 9년만에 다시 집권 여당의 자리를 되찾고 정권 교체를 이뤄냈다. 선거 기간 정당 지지율이 고공 행진을 했고, 탄핵을 기회로 전국에서의 지지 기반 구축에 힘쓰면서, 정권 교체 이후에도 민주당계 역사상 가장 높은 지지율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었다.

정권 중후반기에 치러지는 2020년 21대 총선은 정권의 중간평가 성격이 있는 선거이기에 특유의 정권심판론 발동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쉽지 않을거란 예측이 있었으나, 이 예측을 깨고 헌정 사상 초유의 '단독 180석'이란 압도적 대승을 거두게 된다.

이로써 더불어민주당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등 전국단위 선거 4연승이라는 헌정사상 최초의 기록을 세우게 됐다. 이에 내부적으로는 더불어민주당이 수권 정당화 및 전국 정당화에 성공했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하지만,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울, 부산에서의 대참패를 겪으며 위기를 맞았고 1년 뒤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패배하면서 정권을 국민의힘에게 넘겨주었으며 이후 진행된 8대 지선에서도 참패하였으나 국회 과반의석은 꾸준히 유지하였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독으로 171석을 얻는 대승을 거두며 화려하게 부활에 성공하였다.

4.5.2. 민주당 방계

4.5.2.1. 원내
4.5.2.1.1. 조국혁신당
파일:조국혁신당 로고.svg
문재인 정부 시기 법무부장관을 역임한 조국 前 장관이 검찰 독재 종식과 사회권 선진국 건설을 강령으로 하여 창당한 정당이다.
4.5.2.2. 원외
4.5.2.2.1. 기후민생당
파일:기후민생당 로고.svg
4.5.2.2.2. 새미래민주당
파일:새미래민주당.png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였던 이낙연원칙과 상식 계열의 김종민을 중심으로 만든 민주당계 성향의 야당. 해당 항목 참조.
* 대표
* 이낙연, 김종민 (공동대표, 2024년 2월 19일 ~ 4월 18일)
* 이석현 (비상대책위원장, 2024년 4월 18일 ~ 7월 14일)
* 전병헌 (대표, 2024년 7월 14일 ~ 현재)
4.5.2.2.3. 소나무당
파일:소나무당.png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창당한 정당이다.
4.5.2.2.4. 열린민주당(2022년)
파일:열린민주당 반전형 로고.svg

열린민주당더불어민주당과의 합당 논의 당시, 합당에 반대하던 당원들이 열린민주당을 재창당한다며 만든 정당.

5. 소속 정치인

5.1. 대통령

대한민국 대통령
파일:대한민국 대통령 문장.svg
이름 임기 선출 방법 정당
취임일 퇴임일
2 파일:President_PSY.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윤보선
(1897 ~ 1990)
4 1960년 8월 13일 1962년 3월 24일 1960년 대선
간선 82.2%
무소속
8 파일:Kim_Dae-jung_presidential_portrait.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김대중
(1924 ~ 2009)
15 1998년 2월 25일 2003년 2월 24일 1997년 대선
직선 40.3%
새정치국민회의 (1998 ~ 00)
새천년민주당 (2000 ~ 02)
무소속 (2002 ~ 03)
9 파일:노무현_대통령.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노무현
(1946 ~ 2009)
16 2003년 2월 25일 2004년 3월 12일 (직무정지) 2002년 대선
직선 48.9%
새천년민주당 (2003)
무소속 (2003 ~ 04)
고건 국무총리가 직무정지 기간동안 권한대행 (2004년 3월 12일 ~ 2004년 5월 14일)
2004년 5월 14일 2008년 2월 24일 탄핵소추 기각 무소속 (2004)
열린우리당 (2004 ~ 07)
무소속 (2007 ~ 08)
12 파일:President-Moon.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문재인
(1953 ~ )
19 2017년 5월 10일
2022년 5월 9일 2017년 대선
직선 41.1%
더불어민주당

5.2. 부통령

대한민국 제1공화국 부통령
이름 임기 선출 방법 정당
취임일 퇴임일
4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장면
(1899 ~ 1966)
4 1956년 5월 15일 1960년 4월 25일 1956년 부통령 선거
직선 46.4%
민주당

5.3. 내각제 총리

대한민국 제2공화국 국무총리
이름 임기 선출 방법 정당
취임일 퇴임일
4 파일:장면 전 국무총리.jpg
파일:external/static.tumblr.com/purple_pixel.png
장면
(1899 ~ 1966)
7 1960년 8월 19일 1961년 5월 18일 장면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안
간선 52.0%
민주당

5.4. 국회의원

5.4.1. 13대 국회

파일:평화민주당 로고.jpg 제13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금식 권노갑 김길곤 김대중 김덕규
김득수 김봉욱 김봉호 김영도 김영배
김영진 김원기 김종완 김주호 김충조
김태식 노승환 류인학 류준상 문동환
박상천 박석무 박실 박영숙 박종태
서경원 손주항 송현섭 신기하 신순범
양성우 오탄 이경재 이교성 이돈만
이동근 이상수 이상옥 이영권 이원배
이재근 이찬구 이철용 이해찬 이협
이형배 이희천 임춘원 정균환 정기영
정대철 정상용 정웅 조세형 조순승
조윤형 조승형 조찬형 조희철 조홍규
채영석 최락도 최봉구 최영근 최훈
한광옥 허경만 허만기 홍기훈 홍영기 }}}}}}
파일:김영삼의 통일민주당.jpg 제13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보성 강삼재 강신옥 권헌성 김광일
김남 김덕룡 김동규 김동영 김동주
김봉조 김성룡 김영삼 김우석 김운환
김일동 김재광 김정길 김정수 노무현
노홍준 문정수 문준식 박경수 박관용
박용만 박재규 박종률 박태권 백남치
백찬기 서석재 서청원 석준규 송두호
신상우 신영국 신하철 심완구 오경의
유기준 유승번 이기택 이인제 이행구
장석화 정상구 정재문 정정훈 조만후
최기선 최정식 최이호 최형우 허재홍
황대봉 황명수 황병태
}}}}}} ||
파일:한겨레민주당.png 제13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박형오 }}}}}}

5.4.2. 14대 국회

파일:Democratic Party 1991 logo.png 파일:민주당글자.png 제14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수림 강창성 강철선 강희찬 국종남
권노갑 김대중 김덕규 김말룡 김명규
김병오 김봉호 김상현 김영배 김영진
김원기 김원길 김원웅 김옥두 김옥천
김인곤 김장곤 김종완 김충조 김충현
김태식 나병선 류인태 류인학 류준상
문희상 박계동 박광태 박규식 박상천
박석무 박실 박은태 박일 박정훈
박지원 박태영 손세일 송천영 신계륜
신순범 신진욱 안동선 양문희 오탄
원혜영 이경재 이규택 이기택 이길재
이동근 이부영 이석현 이영권 이우정
이원형 이윤수 이장희 이철 이해찬
이협 이희천 임복진 임춘원 장기욱
장석화 장영달 장재식 장준익 정균환
정기호 정대철 정상용 제정구 조세형
조순승 조순형 조홍규 채영석 최두환
최락도 최재승 하근수 한광옥 한영수
한화갑 허경만 홍기훈 홍사덕 홍영기
황의성 }}}}}}

5.4.3. 15대 국회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 제15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국창근 권노갑 길승흠 김경재 김근태
김명규 김민석 김병태 김봉호 김상우
김상현 김성곤 김영배 김영진 김영환
김옥두 김원길 김인곤 김종배 김진배
김충조 김태식 김한길 김홍일 남궁진
박광태 박상규 박상천 박정수 박정훈
박찬주 방용석 배종무 설훈 손세일
신기남 신기하 신낙균 안동선 양성철
유선호 유재건 윤철상 이기문 이길재
이동원 이상수 이석현 이성재 이윤수
이해찬 이협 임복진 임채정 장성원
장영달 장재식 정균환 정동영 정동채
정세균 정한용 정호선 정희경 조성준
조순승 조순형 조찬형 조철구 조홍규
채영석 천용택 천정배 최선영 최재승
최희준 추미애 한영애 한화갑 }}}}}}
파일:Democratic Party 1991 logo.png통합민주당 제15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김홍신 권기술 권오을 이규정 이규택
이미경 이부영 이수인 이중재 장을병
제정구 조중연 최욱철 하경근 황규선 }}}}}}

5.4.4. 16대 국회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_가로.svg 제16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성구 강현욱 고진부 곽치영 김경재
김경천 김근태 김기재 김덕규 김덕배
김명섭 김민석 김방림 김성순 김성호
김영배 김영진 김영환 김옥두 김원기
김원길 김운용 김윤식 김충조 김태식
김태홍 김택기 김한길 김홍일 김효석
김희선 남궁석 문석호 문희상 박광태
박병석 박병윤 박상규 박상천 박상희
박용호 박인상 박종우 배기선 배기운
서영훈 설송웅 설훈 송석찬 송영길
송영진 송훈석 신계륜 신기남 심규섭
심재권 안동선 원유철 유삼남 유용태
유재건 유재규 윤철상 이근진 이낙연
이만섭 이미경 이상수 이용삼 이원성
이윤수 이인제 이재정 이종걸 이창복
이해찬 이협 이호웅 이훈평 이희규
임종석 장성민 장성원 장영달 장영신
장재식 장정언 장태완 전갑길 전용학
정균학 정균환 정대철 정동영 정동채
정범구 정세균 정장선 정철기 조성준
조순형 조재환 조한천 천용택 천정배
최선영 최영희 최용규 최재승 추미애
한명숙 한화갑 함승희 허운나 홍재형 }}}}}}

5.4.5. 17대 국회

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 제17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기정 강길부 강봉균 강성종 강창일
강혜숙 구논회 권선택 김교흥 김근태
김기석 김낙순 김덕규 김동철 김맹곤
김명자 김부겸 김선미 김성곤 김영주
김영춘 김우남 김원기 김원웅 김재윤
김재홍 김종률 김진표 김춘진 김태년
김태홍 김한길 김혁규 김현미 김형주
김희선 노영민 노웅래 노현송 문병호
문석호 문학진 문희상 민병두 박기춘
박명광 박병석 박상돈 박영선 박찬석
박홍수 배기선 백원우 변재일 복기왕
서갑원 서재관 선병렬 송영길 신계륜
신기남 신중식 신학용 심재덕 안민석
안병엽 안영근 양승조 양형일 염동연
오시덕 오영식 오제세 우상호 우원식
우윤근 우제창 우제항 원혜영 유기홍
유선호 유승희 유시민 유인태 유재건
유필우 윤원호 윤호중 이강래 이경숙
이계안 이광재 이광철 이근식 이기우
이목희 이미경 이상경 이상락 이상민
이석현 이시종 이영호 이용희 이원영
이은영 이인영 이종걸 이철우 이해찬
이호웅 이화영 임종석 임종인 임채정
장경수 장복심 장영달 장향숙 전병헌
정덕구 정동채 정봉주 정성호 정세균
정의용 정장선 정청래 제종길 조경태
조배숙 조성래 조성태 조일현 조정식
주승용 지병문 채수찬 천정배 최규성
최규식 최성 최용규 최재성 최재천
최철국 한광원 한명숙 한병도 홍미영
홍재형 홍창선 }}}}}}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_가로.svg 제17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김종인 김홍일 김효석 손봉숙 이낙연
이상열 이승희 이정일 한화갑 }}}}}}

5.4.6. 18대 국회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제18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기정 강봉균 강성종 강창일 김동철
김부겸 김상희 김성곤 김성순 김상희
김성곤 김성순 김세웅 김우남 김유정
김재균 김재윤 김종률 김진표 김춘진
김충조 김효석 김희철 노영민 문학진
문희상 박기춘 박병석 박상천 박선숙
박영선 박은수 박주선 백원우 백재현
변재일 서갑원 서종표 송민순 송영길
신낙균 신학용 안규백 안민석 양승조
오제세 우윤근 우제창 원혜영 유선호
이강래 이광재 이낙연 이미경 이석현
이성남 이시종 이용삼 이용섭 이종걸
이춘석 장세환 전병헌 전현희 전혜숙
정국교 정세균 정장선 조경태 조배숙
조영택 조정식 주승용 천정배 최규성
최규식 최문순 최영희 최인기 최재성
최철국 추미애 홍재형 }}}}}}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창조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8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문국현 이용경 이한정 }}}}}}

5.4.7. 19대 국회

파일:democraticunitedpartylogo.png 민주통합당 제19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기정 강창일 김경협 김관영 김광진
김기식 김기준 김동철 김민기 김상희
김성곤 김성주 김승남 김영록 김영주
김영환 김용익 김우남 김윤덕 김재윤
김진표 김춘진 김태년 김한길 김현
김현미 남인순 노영민 노웅래 도종환
문병호 문재인 문희상 민병두 민홍철
박기춘 박남춘 박민수 박범계 박병석
박수현 박영선 박완주 박지원 박혜자
박홍근 배기운 배재정 백군기 백재현
변재일 부좌현 서영교 설훈 송호창
신경민 신계륜 신기남 신장용 신학용
심재권 안규백 안민석 양승조 신동근
신창현 심재권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양승조 오영식 오제세 우상호 우원식
우윤근 원혜영 유기홍 유대운 유승희
유은혜 유인태 윤관석 윤호중 윤후덕
은수미 이낙연 이목희 이미경 이상민
이상직 이석현 이언주 이용섭 이원욱
이윤석 이인영 이종걸 이찬열 이춘석
이학영 이해찬 인재근 임내현 임수경
장병완 장하나 전병헌 전순옥 전정희
전해철 정성호 정세균 정청래 정호준
조경태 조정식 주승용 진선미 진성준
최규성 최동익 최민희 최원식 최재성
최재천 추미애 한명숙 한정애 홍영표
홍의락 홍익표 홍종학 황주홍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1><tablebgcolor=#004EA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1><tablebgcolor=#004EA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기정 강창일 김경협 김광진 김기식
김기준 김민기 김상희 김성곤 김성주
김승남 김영록 김영주 김용익 김우남
김윤덕 김춘진 김태년 김현 김현미
남인순 노영민 노웅래 도종환 문재인
문희상 민병두 민홍철 박광온 박남춘
박민수 박범계 박병석 박수현 박영선
박완주 박혜자 박홍근 배재정 백군기
백재현 변재일 서영교 설훈 송호창
신경민 신계륜 신문식 신정훈 심재권
안규백 안민석 양승조 오영식 오제세
우상호 우원식 우윤근 원혜영 유기홍
유대운 유승희 유은혜 유인태 윤관석
윤호중 윤후덕 은수미 이개호 이목희
이미경 이상민 이상직 이석현 이언주
이원욱 이인영 이종걸 이찬열 이춘석
이학영 인재근 임수경 장하나 전병헌
전순옥 전해철 정성호 정세균 정청래
조정식 진선미 진성준 진영 최규성
최동익 최민희 최재성 추미애 한정애
홍영표 홍익표 홍종학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6241><tablebgcolor=#006241>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6241><tablebgcolor=#00624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권은희 김관영 김동철 김영환 김한길
문병호 부좌현 박주선 박지원 신학용
안철수 유성엽 임내현 장병완 전정희
정호준 주승용 천정배 최원식 황주홍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CA08><tablebgcolor=#FFCA08>
파일:민주당(2014년)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CA08><tablebgcolor=#FFCA0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신기남 }}}
}}}}}}

5.4.8. 20대 국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제20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병원 강창일 강훈식 고용진 권미혁
권칠승 금태섭 기동민 김경수 김경협
김두관 김민기 김병관 김병기 김병욱
김부겸 김상희 김성수 김영주 김영진
김영춘 김영호 김정우 김종민 김종인
김진표 김철민 김태년 김한정 김해영
김현권 김현미 남인순 노웅래 도종환
문미옥 문희상 민병두 민홍철 박경미
박광온 박남춘 박범계 박병석 박영선
박완주 박용진 박재호 박정 박주민
박찬대 박홍근 백재현 백혜련 변재일
서영교 서형수 설훈 소병훈 손혜원
송기헌 송영길 송옥주 신경민 신동근
신창현 심재권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양승조 어기구 오영훈 오제세 우상호
우원식 원혜영 위성곤 유동수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호중 윤후덕 이개호
이상민 이석현 이언주 이용득 이원욱
이인영 이재정 이종걸 이찬열 이철희
이춘석 이학영 이훈 인재근 임종성
전재수 전해철 전현희 전혜숙 정성호
정세균 정재호 정춘숙 제윤경 조승래
조응천 조정식 진선미 진영 최명길
최운열 최인호 추미애 표창원 한정애
홍영표 홍익표 황희 }}}}}}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svg 제20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권은희 김경진 김관영 김광수 김동철
김삼화 김성식 김수민 김종회 김종회
박선숙 박주선 박주현 박준영 박지원
손금주 송기석 신용현 안철수 오세정
유성엽 윤영일 이동섭 이상돈 이용주
이용호 이태규 장병완 장정숙 정동영
정인화 조배숙 주승용 채이배 천정배
최경환 최도자 황주홍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1><tablebgcolor=#004EA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1><tablebgcolor=#004EA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병원 강창일 강훈식 고용진 권미혁
권칠승 금태섭 기동민 김경협 김두관
김민기 김병관 김병기 김병욱 김부겸
김상희 김성환 김영주 김영진 김영춘
김영호 김정우 김정호 김종민 김진표
김철민 김태년 김한정 김해영 김현권
김현미 남인순 노웅래 도종환 맹성규
민홍철 박경미 박광온 박범계 박병석
박영선 박완주 박용진 박재호 박정
박주민 박찬대 박홍근 백재현 백혜련
변재일 서삼석 서영교 서형수 설훈
소병훈 손금주 송갑석 송기헌 송영길
송옥주 신경민 신동근 신창현 심기준
심재권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어기구
오영훈 오제세 우상호 우원식 원혜영
위성곤 유동수 유승희 유은혜 윤관석
윤일규 윤준호 윤호중 윤후덕 이개호
이규희 이상민 이상헌 이석현 이용득
이원욱 이인영 이재정 이종걸 이철희
이춘석 이학영 이해찬 이후삼 이훈
인재근 임종성 전재수 전해철 전현희
전혜숙 정성호 정세균 정은혜 정재호
정춘숙 제윤경 조승래 조응천 조정식
진선미 진영 최운열 최인호 최재성
추미애 표창원 한정애 허윤정 홍영표
홍의락 홍익표 황희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3b02a>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43b02a><tablebgcolor=#43b02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광수 정동영 조배숙 황주홍 }}}}}}}}}


{{{#!wiki style="margin: -7px -10px -9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236736><tablebgcolor=#236736>
파일:대안신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236736><tablebgcolor=#236736>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김종회 박지원 유성엽 윤영일 장병완
천정배 최경환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ba95f><tablebgcolor=#0ba95f>
파일:민생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ba95f><tablebgcolor=#0ba95f>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동철 박선숙 박주선 박주현 박지원
신용현 유성엽 윤영일 이상돈 임재훈
장병완 장정숙 정동영 조배숙 주승용
채이배 천정배 최경환 최도자 황주홍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6cb7><tablebgcolor=#006cb7>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6cb7><tablebgcolor=#006cb7>
더불어시민당
제20대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신창현 심기준 윤일규 이규희 이종걸
이훈 정은혜 제윤경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3e98><tablebgcolor=#003e98>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e98><tablebgcolor=#003e9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손혜원 }}}}}}}}}

5.4.9. 21대 국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제21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득구 강병원 강선우 강준현 강훈식
고민정 고영인 고용진 권칠승 기동민
김경협 김교흥 김남국 김두관 김민기
김민석 김민철 김병기 김병욱 김상희
김성주 김성환 김수흥 김승남 김승원
김영배 김영주 김영진 김영호 김용민
김원이 김윤덕 김정호 김종민 김주영
김진표 김철민 김태년 김한정 김회재
남인순 노웅래 도종환 맹성규 문정복
문진석 민병덕 민형배 민홍철 박광온
박범계 박병석 박상혁 박성준 박영순
박완주 박용진 박재호 박 정 박주민
박찬대 박홍근 백혜련 변재일 서동용
서삼석 서영교 서영석 설 훈 소병철
소병훈 송갑석 송기헌 송영길 송옥주
송재호 신동근 신영대 신정훈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양기대 양향자 어기구
오기형 오영환 오영훈 우상호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동수 윤건영 윤관석
윤영덕 윤영찬 윤재갑 윤준병 윤호중
윤후덕 이개호 이광재 이규민 이낙연
이병훈 이상민 이상직 이상헌 이성만
이소영 이수진(11월) 이용빈 이용선 이용우
이원욱 이원택 이인영 이장섭 이재정
이정문 이탄희 이학영 이해식 이형석
인재근 임오경 임종성 임호선 장경태
장철민 전재수 전해철 전혜숙 정성호
정일영 정정순 정청래 정춘숙 정태호
조승래 조오섭 조응천 조정식 주철현
진선미 진성준 천준호 최기상 최인호
최종윤 한병도 한정애 한준호 허 영
허종식 홍기원 홍성국 홍영표 홍익표
홍정민 황운하 황 희 }}}}}}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제21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권인숙 김경만 김병주 김홍걸 신현영
양경숙 양원영 양정숙 용혜인 유정주
윤미향 이동주 이수진 전용기 정필모
조정훈 최혜영 }}}}}}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21대 총선 당선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강민정 김진애 최강욱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6cb7><tablebgcolor=#006cb7>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6cb7><tablebgcolor=#006cb7>
더불어시민당
제21대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권인숙 김경만 김병주 김홍걸 신현영
양경숙 양이원영 유정주 윤미향 이동주
이수진 전용기 정필모 최혜영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3e98><tablebgcolor=#003e98>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3e98><tablebgcolor=#003e9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민정 김의겸 최강욱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득구 강민정 강병원 강선우 강준현
강훈식 고민정 고영인 고용진 권인숙
권칠승 기동민 김경만 김경협 김교흥
김남국 김두관 김민기 김민석 김민철
김병기 김병욱 김병주 김상희 김성주
김성환 김수흥 김승남 김승원 김영배
김영진 김영호 김용민 김원이 김윤덕
김의겸 김정호 김주영 김철민 김태년
김한규 김한정 김홍걸 김회재 남인순
노웅래 도종환 맹성규 문정복 문진석
민병덕 민형배 민홍철 박광온 박범계
박병석 박상혁 박성준 박용진 박재호
박정 박주민 박찬대 박홍근 백혜련
변재일 서동용 서삼석 서영교 서영석
소병철 소병훈 송갑석 송기헌 송옥주
송재호 신동근 신영대 신정훈 신현영
안규백 안민석 안호영 양경숙 양기대
양이원영 어기구 오기형 우상호 우원식
위성곤 유기홍 유동수 유정주 윤건영
윤영덕 윤영찬 윤재갑 윤준병 윤호중
윤후덕 이개호 이동주 이병훈 이소영
이수진 이용빈 이용선 이용우 이원택
이인영 이장섭 이재명 이재정 이정문
이탄희 이학영 이해식 이형석 인재근
임오경 임호선 장경태 장철민 전용기
전재수 전해철 정성호 정일영 정청래
정춘숙 정태호 정필모 조승래 조오섭
조정식 주철현 진선미 진성준 천준호
최기상 최인호 최종윤 최혜영 한병도
한정애 한준호 허숙정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홍성국 홍익표 홍정민 황희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5BABD><tablebgcolor=#45BABD>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45BABD><tablebgcolor=#45BABD>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종민 박영순 설훈 오영환 홍영표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73cf><tablebgcolor=#0073cf>
파일:조국혁신당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73cf><tablebgcolor=#0073cf>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황운하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A2C7B><tablebgcolor=#1A2C7B>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A2C7B><tablebgcolor=#1A2C7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민정 권인숙 김경만 김남국 김민철
김의겸 송재호 윤영덕 이동주
이용빈 이형석 홍정민 }}}
}}}}}}

5.4.10. 22대 국회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득구 강선우 강유정 강준현 강훈식
고민정 곽상언 권칠승 권향엽 김교흥
김기표 김남근 김남희 김동아 김문수
김민석 김병기 김병주 김성환 김성회
김승원 김영배 김영진 김영호 김영환
김용만 김용민 김우영 김원이 김윤
김윤덕 김정호 김주영 김준혁 김태년
김태선 김한규 김현 김현정 남인순
노종면 맹성규 모경종 문금주 문대림
문정복 문진석 민병덕 민형배 민홍철
박균택 박민규 박범계 박상혁 박선원
박성준 박수현 박용갑 박정 박정현
박주민 박지원 박지혜 박찬대 박해철
박홍근 박홍배 박희승 백승아 백혜련
복기왕 부승찬 서미화 서삼석 서영교
서영석 소병훈 손명수 송기헌 송옥주
송재봉 신영대 신정훈 안규백 안도걸
안태준 안호영 양문석 양부남 어기구
염태영 오기형 오세희 위성곤 위성락
유동수 윤건영 윤종군 윤준병 윤호중
윤후덕 이강일 이개호 이건태 이광희
이기헌 이병진 이상식 이성윤 이소영
이수진 이언주 이연희 이용선 이용우
이원택 이인영 이재강 이재관 이재명
이재정 이정문 이정헌 이춘석 이학영
이해식 이훈기 임광현 임미애 임오경
임호선 장경태 장종태 장철민 전용기
전재수 전진숙 전현희 정동영 정성호
정을호 정일영 정준호 정진욱 정청래
정태호 조계원 조승래 조인철 조정식
주철현 진선미 진성준 차지호 채현일
천준호 최기상 최민희 추미애 한민수
한병도 한정애 한준호 허성무 허영
허종식 홍기원 황명선 황정아 황희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73cf><tablebgcolor=#0073cf>
파일:조국혁신당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73cf><tablebgcolor=#0073cf>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강경숙 김선민 김재원 김준형 박은정
서왕진 신장식 이해민 정춘생 조국
차규근 황운하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5BABD><tablebgcolor=#45BABD>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45BABD><tablebgcolor=#45BABD>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종민 }}}}}}}}}

5.5. 광역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송언종 유종근 허경만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AA7B><tablebgcolor=#00AA7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고건 고재유 심완구 우근민
유종근 임창열 허경만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736D><tablebgcolor=#00736D>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736D><tablebgcolor=#00736D>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광태 박준영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현욱 염홍철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19E33><tablebgcolor=#019E33>
파일:민주당(2008년)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19E33><tablebgcolor=#019E3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완주 박광태 박준영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82CD><tablebgcolor=#0082CD>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82CD><tablebgcolor=#0082CD>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완주 박원순 박준영 송영길
안희정 이시종 최문순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박원순 송하진 윤장현
이시종 이춘희 최문순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4ea2><tablebgcolor=#004ea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영록 박남춘 송철호 송하진 양승조
이시종 이용섭 이춘희 최문순 허태정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기정 김관영 김동연 김영록 오영훈 }}}
}}}}}}

5.5.1. 서울특별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0]
11대 김상돈 (金相敦)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05월 18일 민주당
30대 조순 (趙淳) 1995년 07월 01일 ~ 1997년 09월 09일 민주당
31대 고건 (高建)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36대 박원순 (朴元淳)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
37대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7월 09일 더불어민주당

5.5.2. 부산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1]
25대 오거돈 (吳巨敦) 2018년 07월 01일 ~ 2020년 04월 23일 더불어민주당

5.5.3. 인천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2]
13대 송영길 (宋永吉)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15대 박남춘 (朴南春)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4. 광주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3]
7대 송언종 (宋彦鐘)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민주당
8대 고재유 (高在有)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9대 박광태 (朴光泰) 2002년 07월 01일 ~ 2006년 0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10대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민주당
11대 강운태 (姜雲太)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12대 윤장현 (尹壯鉉)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
13대 이용섭 (李庸燮)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14대 강기정 (姜琪正) 2022년 07월 01일 ~ 현재 더불어민주당

5.5.5. 대전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4]
11대 권선택 (權善宅)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11월 14일 새정치민주연합
12대 허태정 (許泰鋌)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6. 울산광역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5]
7대 송철호 (宋哲鎬)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7. 세종특별자치시장

대수 이름 임기 당적[26]
2대 이춘희 (李春熙)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
3대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8. 경기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27]
8대 신광균 (申光均)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4일 민주당
30대 임창열 (林昌烈)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35대 이재명 (李在明)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10월 25일[28] 더불어민주당
36대 김동연 (金東兗) 2022년 07월 01일 ~ 현재 더불어민주당

5.5.9. 강원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29]
11대 박영록 (朴永綠)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4일 민주당
35대 이광재 (李光宰) 2010년 07월 01일 ~ 2011년 01월 27일 민주당
36대 최문순 (崔文洵) 2011년 04월 28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37대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30]
38대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10. 충청북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1]
10대 조대연 (趙大衍) 1960년 12월 30일 ~ 1961년 05월 24일 민주당
33대 이시종 (李始鍾)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34대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32]
35대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11. 충청남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3]
9대 이기세 (李起世) 1961년 01월 05일 ~ 1961년 05월 24일 신민당
36대 안희정 (安熙正)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37대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3월 06일 새정치민주연합[34]
38대 양승조 (梁承晁)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5.5.12. 전라북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5]
13대 김상술 (金相戌)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3일 민주당
29대 유종근 (柳宗根)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민주당
30대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31대 강현욱 (姜賢旭) 2002년 07월 01일 ~ 2006년 0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32대 김완주 (金完柱)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열린우리당
33대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34대 송하진 (宋河珍) 2014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새정치민주연합
35대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36대 김관영 (金寬永) 2022년 07월 01일 ~ 현재 더불어민주당

5.5.13. 전라남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6]
11대 민영남 (閔泳南) 1960년 12월 31일 ~ 1961년 05월 23일 신민당
31대 허경만 (許京萬) 1995년 07월 01일 ~ 1998년 06월 30일 민주당
32대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33대 박태영 (朴泰榮) 2002년 07월 01일 ~ 2004년 04월 29일 새천년민주당
34대 박준영 (朴晙瑩) 2004년 06월 06일 ~ 2006년 06월 30일 새천년민주당
35대 2006년 07월 01일 ~ 2010년 06월 30일 민주당
36대 2010년 07월 01일 ~ 2014년 06월 30일 민주당
37대 이낙연 (李洛淵) 2014년 07월 01일 ~ 2017년 05월 12일 새정치민주연합
38대 김영록 (金瑛錄) 2018년 07월 01일 ~ 2022년 06월 30일 더불어민주당
39대 2022년 07월 01일 ~ 현재 더불어민주당

5.5.14. 경상북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7]
8대 이호근 (李浩根) 1960년 10월 07일 ~ 1961년 05월 23일 민주당

5.5.15. 경상남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8]
10대 이기주 (李基周) 1960년 12월 29일 ~ 1961년 05월 23일 신민당
37대 김경수 (金慶洙) 2018년 07월 01일 ~ 2021년 7월 21일 더불어민주당

5.5.16. 제주특별자치도지사

대수 이름 임기 당적[39]
32대 우근민 (禹瑾敏) 1998년 07월 01일 ~ 2002년 06월 30일 새정치국민회의
33대 2002년 07월 01일 ~ 2004년 04월 27일 새천년민주당
39대 오영훈 (吳怜勳) 2022년 07월 01일 ~ 현재 더불어민주당

5.6. 기초자치단체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43B02A><tablebgcolor=#43B02A>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43B02A><tablebgcolor=#43B0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성환 박홍률 정헌율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 흰색.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15248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가세로 강임준 강진원 공영민 구복규
권익현 김경일 김돈곤 김미경 김병내
김보라 김산 김성 김순호 김이강
김제선 김철우 김한종 류경기 명현관
문인 박병규 박승원 박우량 박정현
박준희 송기섭 신우철 심덕섭 오승록
우범기 우승희 유성훈 유희태 육동한
윤병태 윤환 이병노 이상익 이순희
이승로 이재영 이재준 이학수 임병택
임택 장세일 장충남 전춘성 정기명
정명근 정성주 정용래 정원오 정인화
정장선 정헌율 조병옥 조상래 조용익
진교훈 차준택 최경식 최대호 최영일
최상기 최승준 최훈식 함명준 황규철
황인홍 }}}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진보당 · 무소속
}}}}}}

5.7. 당대표

파일:한국민주당 글씨(흰색).png 한국민주당 수석총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8000> 초대
송진우
2대
장덕수
3대
김성수
}}}}}}}}}}}}

파일:민주국민당(1949년) 글씨.svg 민주국민당 최고위원 및 위원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adff2f> 최고위원
김성수
백남훈
신익희
지대순
1대 위원장
신익희
}}}}}}}}}}}}

파일:민주당(1955년) 상징.png 파일:민주당(1955년) 선거벽보 글씨(흰색).pn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80,#7ffeff> 임시
곽상훈
초대
신익희
권한대행
곽상훈
제2-5대
조병옥
제6대
장면
}}}}}}}}}}}}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47013> 초대
김도연
}}}}}}}}}}}}

파일:민주당(1963년) 로고(흰색).png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제2대
박순천
}}}}}}}}}}}}

파일:민정당 벽보글씨.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초대
김병로
제2·3대
윤보선
}}}}}}}}}}}}

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28B22> 초대·제2대
박순천
}}}}}}}}}}}}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4대
유진오
제5대
유진산
권한대행·제6대
김홍일
제7대
유진산
권한대행
정일형
제8대
유진산
권한대행
김의택
제9대
김영삼
권한대행
이충환
제10대
이철승
제11대
김영삼
직무대행
정운갑
제11대(복귀)
김영삼
권한대행
이민우
}}}}}}}}}}}}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ED2939> 제1·2대
유치송
제3대
조윤형
권한대행
김준섭
제4대
유치송
}}}}}}}}}}}}


파일:통일민주당 심볼(색반전).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211b7d,#ff193e> 초대
김영삼
권한대행
김상현
권한대행
김명윤
제2대
김영삼
}}}}}}}}}}}}

파일:평화민주당 심볼.svg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24a7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24a70,#8ca8cc> 초대
김대중
권한대행
박영숙
제2·3대
김대중
}}}}}}}}}}}}

파일:민주당 1990년 심볼.svg 파일:민주당 1990년 글자.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da2c43> 초대
이기택
직무대행
김현규
제2대
이기택
}}}}}}}}}}}}

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70ba86> 초대
김대중
}}}}}}}}}}}}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9d68> 초대
김대중
이기택
제2·3대
이기택
제4대
홍영기
박일
}}}}}}}}}}}}}}}

파일:통합민주당 1995년 로고.svg 총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원기
장을병
제2대
이기택
제3대
조순
}}}}}}}}}}}}}}}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가로 로고.svg 총재 및 총재권한대행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
<rowcolor=#009a44> 제1·2대
김대중
총재권한대행
<rowcolor=#009a44> 제1·2대
조세형
제3대
김영배
제4대
이만섭
}}}}}}}}}}}}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와 지명직대표최고위원 병행
<rowcolor=#00aa7b> 초대 총재
김대중
권한대행
한광옥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00aa7b> 제1·2대 대표
서영훈
제3대 대표
김중권
제4대 대표
한광옥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선출직대표최고위원
<rowcolor=#00aa7b> 제5대
한화갑
제6대
정대철
제7대
박상천
제8대
조순형
비대위
한화갑
대표
<rowcolor=#00aa7b> 제9·10대
한화갑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부터 4대까지의 대표최고위원은 총재가 임명하는 지명직 대표최고위원이다. 5대부터 8대까지의 대표최고위원은 선출직 대표최고위원이며 그후 대표로 바뀌었다. }}}}}}}}}}}}

파일:열린우리당 흰색 2차 로고.svg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의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원기
제2대
정동영
제3대
신기남
제4대
이부영
비대위
임채정
제5대
문희상
비대위
정세균
비대위
유재건
제6대
정동영
제7대
김근태
제8대
정세균
}}}}}}}}}}}}}}}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한화갑
제2대
한화갑
장상
제3대
박상천
}}}}}}}}}}}}}}} ||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심볼.svg 파일:중도개혁통합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한길
}}}}}}}}}}}}}}}

파일:중도통합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중도통합민주당 남색 글씨.svg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상천
김한길
}}}}}}}}}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8a303> 초대
오충일
제2대
손학규
}}}}}}}}}}}}

파일:민주당(2007년) 흰색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4대
박상천
}}}}}}}}}}}}}}}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419639> 초대
손학규
박상천
}}}}}}}}}}}}

파일:국민참여당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44414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CCA00> 초대
이재정
제2대
유시민
}}}}}}}}}}}}}}}

파일:민주당(2008년) 아이콘.svg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정세균
비대위
박지원
제2대
손학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39B44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임시
원혜영
이용선
초대
한명숙
권한대행
문성근
비대위
박지원
제2대
이해찬
권한대행
문재인
비대위
박기춘
비대위
문희상
}}}}}}}}}}}}}}} ||

파일:민주당(2013년)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15da9> 초대
김한길
}}}}}}}}}}}}}}}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82ce> 초대
김한길
안철수
비대위
박영선
비대위
문희상
제2대
문재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152484,#fff> 초대
문재인
비대위
김종인
제2대
추미애
제3대
이해찬
제4대
이낙연
직무대행 김태년
<rowcolor=#152484,#fff> 비대위
도종환
비대위
윤호중
제5대
송영길
비대위
윤호중
박지현
직무대행 박홍근
비대위
우상호
<rowcolor=#152484,#fff>
제6대
이재명
직무대행 박찬대
제7대
이재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50%; text-align: left"
}}}}}}}}}}}}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5a132> 초대
안철수
천정배
비대위
박지원
비대위
김동철
제2대
박지원
<rowcolor=#65a132> 권한대행
주승용
권한대행
김동철
비대위
박주선
제3대
안철수
}}}}}}}}}}}}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조배숙
제2대
정동영
}}}}}}}}}}}}}}}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b4b4> 초대
박주선
유승민
비대위
김동철
제2대
손학규
}}}}}}}}}

파일:대안신당 흰색 아이콘.svg 파일:대안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최경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등재
김정화
박주현
유성엽
비대위
이수봉
직무대행 김정기 · 이관승 · 황한웅
제2대
서진희
비대위 직무대행
김정기
이관승
비대위
김정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각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당대회는 유효하다는 대법원 판시, 직무집행정지가처분 취하, 취소의 소급효는 없음(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다4537 판결)
민생당 당헌·당규가 아닌 민법 제691조 긴급이사처리권에 의한 직무대행
법원 확정판결로 무효임이 확정된 비상대책위원회와 2.22 전당대회는 기재하지 않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AC452 0%, #00AA7D 10%, #008CCD 20%, #006CB7 30%, #006CB7); min-height: 31px;"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우희종
최배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50%; text-align: left;" }}}}}}}}}}}}}}}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bc700 5%, #003e9b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3e98,#fbc700> 초대
이근식
비대위·제2대
최강욱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50%; text-align: left;" }}}}}}}}}}}}

파일:깨어있는 시민연대당 배경.svg 파일:깨어있는시민연대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056> 초대
이민구
}}}}}}}}}}}}

파일:새로운물결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김동연
}}}}}}}}}

파일:더밝은로고.png 대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초대
서정미
}}}}}}}}}}}}}}}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svg 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bc700 5%, #003e9b 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3e98,#fbc700> 초대
김상균
비대위
김정원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50%; text-align: left;" }}}}}}}}}}}}

파일:새로운미래 흰색 로고_좌우.svg 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45BABD;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45BABD 72px, transparent 72px); min-height: 31px;"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이낙연
김종민
비대위
이석현
제2대
전병헌
}}}}}}}}}}}}}}}}}}

파일:더불어민주연합 흰색 로고 여백.svg 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윤영덕
백승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width: 50%; text-align: left;" }}}}}}}}}}}}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대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098 16.6%, #004098 16.6%, #004098 33.2%, #0073CF 33.2%, #0073CF 49.8%, #0073CF 49.8%, #0073CF 66.4%, #06275E 66.4%, #06275E 83%, #06275E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조국
권한대행 김준형
제2대
조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D0121C 78px, #1A246B 78px); min-height: 3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송영길
권한대행 황태연
비대위
손혜원
2대
송영길
}}}}}}}}}}}}}}}

6. 역대 선거결과

파일:대한민국 정당별 득표율.png

파일:대한민국국회정당별의석20180716.png

파일:대한민국지방선거정당별당선직20180716.png

6.1. 대통령 선거

후보자 연도 대수 정당 득표수 득표율 결과
이시영 1952년 2대 민주국민당 764,715 10.89% 3위
신익희 1956년 3대 민주당 유세기간 중 사망[40][41]
조병옥 1960년 4대[42] 유세기간 중 사망[43]
김창숙 1960년[44] 4대 29 11.5% 2위
백낙준 3 1.2% 3위
변영태 3 1.2% 3위
김도연 2 0.8% 5위
허정 2 0.8% 5위
김병로 1 0.4% 7위
김시현 1 0.4% 7위
나용균 1 0.4% 7위
박순천 1 0.4% 7위
유옥우 1 0.4% 7위
이철승 1 0.4% 7위
윤보선 208표 82.2% 당선
1963년 5대 민정당 4,546,614표 45.09% 2위
1967년 6대 신민당 4,526,541표 40.93% 2위
김준연 민중당 248,369표 2.24% 4위
김대중 1971년 7대 신민당 5,395,900표 45.25% 2위
유치송 1981년[45] 12대 민주한국당 404 7.70% 2위
김의택 민권당 26 0.5% 4위
김영삼 1987년 13대 통일민주당 6,337,581표 28.03% 2위
김대중 평화민주당 6,113,375표 27.04% 3위
1992년 14대 민주당 8,041,284표 33.82% 2위
1997년 15대 새정치국민회의 10,326,275표 40.27% 당선
노무현 2002년 16대 새천년민주당 12,014,277표 48.91% 당선
정동영 2007년 17대 대통합민주신당 6,174,681표 26.14% 2위
문국현 창조한국당 1,375,498표 5.83% 4위
이인제 민주당 160,708표 0.68% 6위
정근모 참주인연합 15,380표 0.06% 9위
문재인 2012년 18대 민주통합당 14,692,632표 48.02% 2위
2017년 19대 더불어민주당 13,423,800표 41.08% 당선
안철수 국민의당 6,998,342표 21.41% 3위
이재명 2022년 20대 더불어민주당 16,147,738표 47.83% 2위

6.2. 부통령 선거

후보자 연도 대수 정당 득표수 득표율 결과
서상일 1948년 1대 한국민주당 1표 0.51% 6위
김성수 1951년 2대 민주국민당 78표 51.3%[46] 당선
지청천 1951년 2대 2표 1.3% 5위
조병옥 1952년 3대 575,260표 8.1% 3위
장면 1956년 4대 민주당 4,012,654표 46.43% 당선

6.3. 국회의원 선거

연도 국회 정당 전체 의석수 지역구 비례 결과
1948년 1대 한국민주당 29 / 200 29 / 200 -[47] 원내 2당
1950년 2대 민주국민당 24 / 210 24 / 210 원내 1당
1954년 3대 15 / 203 15 / 203 원내 2당
1958년 4대 통일당 1 / 233 1 / 233 원내 3당
민주당 80 / 233 80 / 233 원내 2당
1960년 초대 참의원 31 / 58 31 / 58 원내 1당
5대 175 / 233 175 / 233 원내 1당
통일당 1 / 233 1 / 233 원내 5당
1963년 6대 민정당 40 / 175 26 / 131 14 / 44 (20.1%) 원내 2당
민주당 14 / 175 9 / 131 5 / 44 (13.5%) 원내 3당
자유민주당 9 / 175 6 / 131 3 / 44 (8.1%) 원내 4당
국민의당 2 / 175 2 / 131 0 / 44 (8.8%) 원내 4당
1967년 7대 신민당 45 / 175 28 / 131 17 / 44 (32.7%) 원내 2당
1971년 8대 89 / 204 65 / 153 24 / 51 (44.4%) 원내 2당
국민당 1 / 204 1 / 153 0 / 51 (4.1%) 원내 3당
민중당 1 / 204 1 / 153 0 / 51 (1.4%) 원내 4당
1973년 9대 신민당 52 / 219 52 / 146 -[48] 원내 2당
민주통일당 2 / 219 2 / 146 원내 2당
1978년 10대 신민당 61 / 231 61 / 154 원내 2당
민주통일당 3 / 231 3 / 154 원내 3당
1981년 11대 민권당 2 / 276 2 / 184 0 / 92 (6.7%) 원내 4당
민주한국당 81 / 276 57 / 184 24 / 92 (21.6%) 원내 2당
1985년 12대 35 / 276 26 / 184 9 / 92 (19.7%) 원내 3당
신한민주당 67 / 276 50 / 184 17 / 92 (29.3%) 원내 2당
신민주당 1 / 276 1 / 184 0 / 92 (0.6%) 원내 6당
1988년 13대 평화민주당 70 / 299 54 / 244 16 / 75 (19.3%) 원내 2당
통일민주당 59 / 299 46 / 244 13 / 75 (23.8%) 원내 3당
한겨레민주당 1 / 299 1 / 244 0 / 75 (1.3%) 원내 5당
1992년 14대 민주당 97 / 299 75 / 237 22 / 62 (29.2%) 원내 2당
1996년 15대 새정치국민회의 79 / 299 66 / 253 13 / 46 (25.3%) 원내 2당
통합민주당 15 / 299 9 / 253 6 / 46 (11.2%) 원내 4당
2000년 16대 새천년민주당 115 / 273 96 / 227 19 / 46 (35.9%) 원내 2당
2004년 17대 9 / 299 5 / 243 4 / 56 (7.1%) 원내 4당
열린우리당 152 / 299 129 / 243 23 / 56 (38.3%) 원내 1당
2008년 18대 통합민주당 81 / 299 66 / 245 15 / 54 (25.2%) 원내 2당
창조한국당 3 / 299 1 / 245 2 / 54 (3.8%) 원내 6당
2012년 19대 민주통합당 127 / 300 106 / 246 21 / 54 (36.5%) 원내 2당
2016년 20대 국민의당 38 / 300 25 / 253 13 / 47 (26.7%) 원내 3당
더불어민주당 123 / 300 110 / 253 13 / 47 (25.5%) 원내 1당
2020년 21대 163 / 300 163 / 253 0 / 47 (후보 없음) 원내 1당[49]
더불어시민당 17 / 300 0 / 253 17 / 47 (33.35%) 원내 4당[50]
열린민주당 3 / 300 0 / 253 3 / 47 (5.42%) 원내 7당
민생당 0 / 300 0 / 253 0 / 47 (2.71%) 원외 정당
2024년 22대 더불어민주당 161 / 300 161 / 253 0 / 46 (후보 없음) 원내 1당[51]
더불어민주연합 14 / 300 0 / 254 14 / 46 (26.69%) 원내 4당[52]
조국혁신당 0 / 300 0 / 254 12 / 46 (24.25%) 원내 5당
새로운미래 1 / 300 1 / 254 0 / 46 (1.70%) 원내 7당
소나무당 0 / 300 0 / 254 0 / 46 (0.43%) 원외 정당

6.4. 지방선거

연도 횟수 정당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자치단체의회의원 기초자치단체의회의원
1991년 1991년 신민주연합당 -[53] 165 / 866 -[54]
민주당 21 / 866
1995년 1회 민주당 4 / 15 84 / 230 353 / 875 -[55]
1998년 2회 새정치국민회의 6 / 16 84 / 232 271 / 616
2002년 3회 새천년민주당 4 / 16 44 / 232 143 / 682
2006년 4회 민주당 2 / 16 20 / 230 80 / 733 276 / 2888
열린우리당 1 / 16 19 / 230 52 / 733 630 / 2888
2010년 5회 민주당 7 / 16 92 / 228 360 / 761 1025 / 2888
국민참여당 0 / 16 0 / 228 5 / 761 24 / 2888
창조한국당 0 / 16 0 / 228 0 / 761 1 / 2888
2014년 6회 [[새정치민주연합|새정치민주연합]] 9 / 17 80 / 226 349 / 789 1157 / 2898
2018년 7회 [[더불어민주당|더불어민주당]] 14 / 17 151 / 226 652 / 824 1639 / 2927
민주평화당 0 / 17 5 / 226 3 / 824 49 / 2927
바른미래당[56] 0 / 17 0 / 226 5 / 824 21 / 2927
2022년 8회 더불어민주당 5 / 17 63 / 226 322 / 872 1384 / 2988

7. 전당대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민주당계 정당/역대 전당대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민주당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파일:조국혁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새미래민주당 임시 로고 화이트.svg
이재명 조국 전병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집권정부 장면 내각(윤보선 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정치인 대통령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 장면
대통령 후보 신익희 · 조병옥 · 허정 · 김창숙 · 유치송 · 김영삼 · 정동영 · 이재명
국무총리(내각제) 허정 · 장면
국무총리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당대표
정파 친노/친문 친문 (비문) · 친노 (비노) · 친낙 ·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친명 친명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동교동계 동교동계 · 박지원계 · 호남계
보수파 김한길계 · 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 민평련 · 박원순계
정당연대 더불어시민당 · 더불어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계파 역사
관련 정당 기후민생당 · K정치혁신연합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보수)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대한민국 국군 ·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주한미군 · 해외 주둔 한국군
본부국방부 · 합동참모본부 · 육군본부 · 해군본부 · 공군본부 · 해병대사령부 · 한미연합군사령부
기타국군 의전서열 · 병역의무 · 국방개혁 · 핵무장 · 모병제 찬반론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행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 정당
대한제국 ~ 미군정
(1897 ~ 194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공산정당 조선의 붕당
황국협회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의열단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인국민회
한국혁명당 한국독립당 대한인동지회 흥사단
신한독립당 신간회
민족혁명당 한국국민당 흥업구락부 수양동우회
경성 콤그룹 조선건국동맹 조선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한국독립당
전국평의회 건국준비위원회 조선독립동맹 한국독립당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조선민족당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colbgcolor=#f00000> 조선민주당
독립노농당 남조선로동당 대동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청년조선총동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서북청년회
남조선로동당 사회노동당
근로인민당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남로당파) 진보정당 조선로동당 (연안파) 보수정당 / 민주당계 / 진보정당 }}}}}}}}}}}}}}}

민주당계 정당
제1공화국 ~ 제4공화국
(1948 ~ 1981)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정부 수립 이전
대동청년단 서북청년회 백의사 한국민주당
대한청년단
대한국민당
민주국민당
민주당
신민당 통일당 민주당
강제 해산 (5.16 군사정변)
민정당 자유민주당 민주당 국민의당
민정당 민주당
민중당
민중당 신한당
신민당
자진 해산 (신민회)
신민당 국민당
강제 해산 (10월 유신)
신민당
신민당 민주통일당
강제 해산 (5.17 내란)
제4공화국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
}}}}}}}}} ||

민주당계 정당
제5공화국 ~ 문민정부
(1981 ~ 199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제5공화국 이전
민권당(관제) 민주한국당(관제)
신한민주당 민주한국당(관제)
정당등록취소 통일민주당 신한민주당 신민주당
한겨레민주당 평화민주당 통일민주당 정당등록취소 정당 해산
통일민주당
민주당 3당 합당
정당 해산 신민주연합당
민주당 신정치파일:1px 투명.svg개혁당
새정치국민회의 민주당 신민당으로 합당
개혁신당
통합민주당
한나라당으로 합당
문민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제1공-노태우) 진보정당(문민-이명박)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1998 ~ 2008)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국민의 정부 이전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개혁국민정당
열린우리당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민주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참주인연합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
참여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국민) 보수정당(참여)
}}}}}}}}} ||

민주당계 정당
이명박 정부
(2008 ~ 201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이명박 정부 이전
참주인연합 통합민주당
미래한국당으로 합류*
통합민주당
민주당
국민참여당 민주당 평화민주당
국민참여당 시민통합당
통합진보당으로 합당
민주통합당
국민행복당 정통민주당
정당등록취소
* 보수정당으로 이탈
이명박 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박근혜 정부
(2013 ~ 2017)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박근혜 정부 이전
민주통합당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민주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국민회의 국민의당
국민의당
더불어민주당
박근혜 정부 이후
동일시기 타정당: 진보정당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문재인 정부 ~ 현재
(2017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word-break: keep-all"
문재인 정부 이전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
깨어있는
시민연대당
열린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새로운물결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민생당
더밝은
미래당
열린민주당

더불어민주당
K정치혁신
연합당
더불어민주당 새로운미래
정당 해산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소나무당 기후민생당
새미래민주당
* 위성정당 (2020.3.17. ~ 2020.5.18.)
** 기본소득당 주도의 선거연합정당 (2024. 2. 3. ~ 2024.5.9. )
*** 더불어민주당 주도의 연합위성정당 (2024. 3. 3. ~ 2024.5.8. )
}}}}}}}}}



[1] 이 시기의 '민주당'은 '보수야당'이라 불리기도 했다.[2] 열린민주당, 미래한국당 등 누락되어있는 부분도 있으니 주의[3] 동교동계가 자주 사용하며, 호남을 중심으로 하는 당이 많았다.[4]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미지가 강하다. 그래서 친노에서 즐겨 사용한다. 과거에는 제13대 대통령 선거 직전에 김대중동교동계가 창당했던 평화민주당도 노란색을 썼다.[5] 과거 민주정의당을 시작으로 한나라당까지 보수정당이 오랫동안 상징색으로 사용하던 색깔이라 파격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한나라당이 새누리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면서 미국 공화당처럼 상징색을 빨간색으로 바꾸었기에 파란색이 비어 있는 상황이었다.[6] 색깔 변천: #004EA1#152484[7] 국민의당이 초록색을 선택했을 때, 호남을 타겟팅했다고 해석한 이들도 있었다. 왜냐면 새정치국민회의의 색깔인 초록색을 사용하여 김대중 정신과 호남정신을 당에 결부지으려는 의도로도 읽혔기 때문이다.[8]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지역구 의석수 1위 정당이 전국구 의석의 절반 이상을 가져가는 희한한 규정이 있었다. 이 당시 정치 환경상 지역구 의석수 1위 정당은 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민주자유당이었다.[9] 2021년 재보궐선거, 2022년 3월 제20대 대통령 선거, 2022년 6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23년 재보궐선거[10] 다만 이중 민중당의 후신진 진보당만이 유일하게 차기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의 후신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참여했다.[11] 한민당은 본디 지주 등 유산계급의 정치적 방패막이로 출발했다.[12] 3월 24일 사퇴[13] 4월 20일 사퇴[14] 법원 판결에 의한 직무 정지[15] 이들이 얼마나 이재명을 싫어하냐면 지난 7회 지선 당시 민주당 경기지사 후보가 이재명이라는 이유로 남경필을 지지했을 정도다.[16] 공식 당명을 2024년 6월 현재 8년 6개월 동안 유지함으로써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역대 민주당계 정당 가운데 가장 오래 유지하고 있다. 새천년민주당은 5년 4개월. 민주당계 정당 전체 역사를 봐도 역대 1위인 신민당의 13년 7개월에 이어 2위이다. 그 동안 2위를 유지하던 관제야당인 민주한국당이 7년 3개월 동안 당명을 유지했는데, 더불어민주당은 2023년 3월 28일 7년 3개월을 돌파함으로써 민주한국당을 뛰어넘어 민주당계 정당 역대 2위가 되었다. 그래도 한나라당의 14년 3개월, 민주노동당의 11년 10개월, 자유민주연합의 11년, 정의당의 9년 4개월에는 한참 못 미친다. 또다른 관제야당인 한국국민당도 7년 3개월이다. 한 정당이 공식명칭을 가장 오래 유지한 것은 민주공화당의 17년 8개월.[17] 신설/흡수 합당 없이 당명만 바꾼 걸 이어지는 역사로 계산하면 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의 역사는 2022년 5월 현재 9년 2개월로 신민당에 이어 민주당계 정당 역대 2위가 된다. 새천년민주당민주당으로 개명한 뒤의 역사까지 포함해서 7년 5개월로 민주한국당의 7년 3개월을 앞지른다.이 역사를 끊어낸 정당분쇄기 김한길. 모든 정당을 통틀어서 계산하면 더불어민주당의 9년 2개월은 한나라당 ->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의 22년 3개월, 민주공화당의 17년 8개월, 신민당의 13년 7개월, 민주노동당의 11년 10개월, 진보정의당 ->정의당의 10년 7개월에 이어 역대 6위의 기록이 된다. 갈 길이 멀다.거기다가 정의당은 현재진행형이다.[18] 3당 합당이나 한나라당 창당과 같은 굵직한 합당 말고 군소정당을 흡수하기 위한 서류상 신설 합당을 한 정당의 이어지는 역사로 보면, 더불어민주당의 역사를 새정치국민회의까지 거슬러서 27년 8개월로 볼 수 있다. 이해하긴 어렵지만 역대 1위의 기록이다. 새천년민주당에서 열린우리당이 분당한 것이나, 김한길이 2007년에 정당분쇄 소동을 일으킨 것은 그 정당들이 돌고돌아 결국 하나로 합쳐졌으므로 억지로나마 하나의 역사로 칠 수 있다. 평화민주당 -> 신민주연합당+민주당 -> 민주당 -> 민주당의 역사는 이 정당이 신한국당과 합치며 한나라당을 만드는 바람에 민주당계 정당으로는 계승되지 않는다.그렇다고 보수정당으로 계승되는 것도 아니다. 한편, 이렇게 계산했을 때 국민의힘의 역사는 한나라당 창당 이래 25년 6개월이 된다. 보수정당의 경우에는 민주당계 정당과의 굵직한 합당 때문에 민주정의당의 9년, 민주자유당 -> 신한국당의 7년 10개월을 한나라당과 구분되는 역사로 보아야 한다.[19] 이후 새누리당 탈당파들의 복당으로 2당이 되었다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보수 정당의 분당으로 다시 원내 1당이 됐다.[20] 선거당시 당적[21] 선거당시 당적[22] 선거당시 당적[23] 선거당시 당적[24] 선거당시 당적[25] 선거당시 당적[26] 선거당시 당적[27] 선거당시 당적[28]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전념하기 위해 조기사퇴.[29] 선거당시 당적[30]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31] 선거당시 당적[32]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33] 선거당시 당적[34] 더불어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사퇴서 제출 시점에는 제명 절차 중이었다.[35] 선거당시 당적[36] 선거당시 당적[37] 선거당시 당적[38] 선거당시 당적[39] 선거당시 당적[40] 선거를 열흘 남기고 전주로 가기 위해 전라선 열차를 타던 중 호남선 구간인 함열역 부근에서 뇌일혈로 졸도했고 이리역에 급히 내려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숨을 거두고 말았다.[41] 전체 투표수의 20.5%인 1,856,818표의 무효표를 이승만을 반대하지만 조봉암을 지지하지 않는 민주당 지지층의 표라는 해석이 있다.[42] 3.15 부정선거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43] 후보등록을 하고 나서 위병이 심해져서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으로 가서 복부수술을 받았는데 수술후유증으로 인한 심장발병증으로 사망했다. 이쪽은 상태가 회복되다가 일어난 상태라 암살설이 퍼졌다.[44] 간선제로 실시되어 민·참의원 합동투표로 이뤄졌다.[45] 대통령 선거인단으로 뽑는 간선제였다.[46] 당시에는 국회에서 간선제로 실시했는데, 여기의 수치는 결선투표의 수치이다. 1, 2차 선거는 제2대 부통령 선거 참고바람.[47] 비례대표제 없음[48] 비례대표제 없음[49] 더불어시민당과 합산하여 180석[50] 더불어민주당의 연합정당[51] 더불어민주연합과 합산하여 175석[52] 더불어민주당의 연합정당[53] 광역자치단체장와 기초자치단체장은 그 당시 임명직이다.[54] 기초의원직에 정당공천제가 실시되지 않아 정당 소속이 없었다[55] 기초자치단체의회 없음[56] 보수정당으로도 분류[57] 반독재 투쟁 당시 동교동계와 함께 민주당계 정당의 양대 산맥이었다. 김영삼 총재가 1990년 3당합당으로 인해 보수정당인 민주자유당으로 이동하면서 상도동계들은 보수 정당으로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