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설명
2.1. 면허/등록 기준
3. 목록3.1. 한국
4. 관련 문서3.1.1. 고속버스 회사3.1.2. 시외버스 회사3.1.3. 시내버스(좌석버스 포함), 농어촌버스 회사
3.2. 외국3.1.3.1. 서울3.1.3.2. 부산3.1.3.3. 대구3.1.3.4. 인천3.1.3.5. 광주3.1.3.6. 대전3.1.3.7. 울산3.1.3.8. 세종3.1.3.9. 경기3.1.3.10. 강원3.1.3.11. 충북3.1.3.12. 충남3.1.3.13. 전북3.1.3.14. 전남3.1.3.15. 경북3.1.3.16. 경남3.1.3.17. 제주
3.1.4. 마을버스 회사3.1.4.1. 서울특별시3.1.4.2. 인천광역시3.1.4.3. 경기도3.1.4.4. 강원3.1.4.5. 대전3.1.4.6. 충남3.1.4.7. 충북3.1.4.8. 대구3.1.4.9. 부산3.1.4.10. 울산3.1.4.11. 경남3.1.4.12. 경북3.1.4.13. 광주3.1.4.14. 전남3.1.4.15. 전북3.1.4.16. 제주
3.1.5. 공항버스 회사3.1.6. 전세버스 회사3.1.7. 기타3.1.8. 대형 그룹3.1.9. 없어진 회사1. 개요
버스를 운행하며 사업하는 회사. 관련 법규에서는 '여객자동차운수업체'로 지칭한다.2. 설명
버스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발급한 면허가 필요한데 발급받는 과정부터 어렵다. 도로의 정체와 환경오염, 보조금 부담을 이유로 면허를 쉽게 발급하지 않는다. 환승할인을 실시하는 지역은 환승보조금이 지급되고 지방자치단체의 요청으로 격오지 노선이나 공영버스를 신설하는 경우 적자에도 노선이 운영되도록 보조금을 지급한다. 천연가스를 비롯한 연료에도 보조금이 지급되며 전기버스와 저상버스를 구입해도 보조금이 지급된다. 그래서 버스 회사의 회계 장부에는 각종 보조금 내역이 가득한 것. 준공영제를 실시하는 지역은 차량총량제가 적용되어 면허를 발급할 가능성은 사실상 0이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전체적으로 적자가 불어나서 2004년 이후로 시내버스가 지속적으로 감차되는 중이라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회사를 만들 수가 없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렵게 면허를 발급받아도 기존에 버스를 하던 회사가 기득권을 이유로 노선 신설을 방해하기도 한다.일반적인 시장과 다르게 버스는 일정 수준의 기득권이 인정되는 시장이다. 법원에서도 기존 회사의 기득권을 인정하는데 법적으로 따진다면 운송 면허는 행정법상 특허에 해당하고 신규 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하면 기존 사업자는 특허를 이유로 신규 사업자가 시장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기존 사업자의 소송도 이겨내면 차고지와 사무실, 충전 시설을 비롯한 여러 시설을 설치하고 버스를 구입하는데 드는 비용이 상당히 크다. 기사를 고용하는데 드는 인건비도 다른 사업보다 크다. 아무나 하는 사업이 아니라서 현재는 민간에서 설립하는 회사는 많지 않으며 그나마 설립되는 회사도 기존 회사에서 분리되거나 지방자치단체가 지분을 보유한 회사가 많다. 그래서 버스 회사를 경영하는 가문은 대대로 지역 최대 토호 내지는 만석꾼 대접을 받는다. 경남여객의 남경필 가문과 부산교통의 조규일 가문이 대표적. 하지만 신규 택지지구나 신도시라면 마을버스 회사를 설립하기는 쉽고, 경기도 공공버스, 광역급행버스 등의 경쟁입찰제형 준공영제 하에서 발급되는 한정면허로 증차가 활발한 직행좌석버스를 운행할 회사를 세우기도 그나마 간단하다. 이러한 이유로 경기도는 직행좌석버스와 마을버스는 운행하면서 일반형버스와 좌석버스가 없는 의왕교통도 존재하고, 아예 대중교통 사업과는 전혀 관련이 없던 회사였던 가온누리엠과 더버스도 시내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1] 이 둘은 각각 폐기물 운송업체, 전세버스 업체에서 세운 자회사로, 운수업 회사이긴 하지만 대중교통 사업 기반은 전무한 회사들이었다.
버스 회사를 설립하랴면 버스를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에서 정하는 최소한의 인가대수를 보유해야 한다. 시내버스는 광역자치단체인 시는 40대, 기초자치단체인 시는 30대, 군은 10대. 시외버스는 30대 이상을 보유해야 하고 이 기준에 노선의 운행횟수와 거리를 고려하여 산출한 차량을 보유해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로 붙는다. 이러한 기준에 미달되는 회사는 한정면허 버스로 인가받아 노선의 면허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며 운행하는데 성일운수와 과천여객이 이에 해당한다. 마을버스는 광역자치단체가 7대이고 기초자치단체는 5대이다. 노선버스만 운영하는 회사는 마을버스 회사가 아니라면 드물고 전세버스와 터미널을 비롯한 다른 사업도 겸업하는 편이다. 부동산 사업으로 수입을 올리는 서울승합이나 장기요양센터를 운영하는 군포교통과 화영운수도 존재한다. 좀 더 파보면 사우나를 운영하는 대도운수와 한 때 사우나를 운영했던 신수동마을버스도 있고 희한하게도 카센터와 횟집을 운영하는 부영교통도 있다.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는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데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은 KD 운송그룹의 핵심이고 중앙고속은 대한민국재향군인회의 사업 지원과 재원조성을 목적으로 박정희가 하사한 금액으로 설립된 회사이다.
요금은 운송원가 이하로 책정되고 인건비와 차량에 들어가는 비용이 많아서 지방자치단체에서 지급하는 보조금이 없으면 살림을 꾸리기가 힘들다. 연료보조금과 운행손실보조금을 비롯하여 다양한 명목으로 지급되는 보조금이 억 단위가 넘어가서 버스를 운행하여 발생한 손실도 보조금을 받으면 보완이 가능하다. 하지만 경영도 사람이 하는 활동이라 여러 변수가 존재하고 폐업하는 회사도 많다. 준공영제가 실시되는 지역의 회사는 대부분 재정이 양호하지만 준공영제가 실시되지 않는 지역의 회사를 자회사로 보유한 경우 자회사의 재정이 악화되면 모회사도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2] 최근에는 준공영제가 적용되어 다양한 명목으로 회사에게 지급되는 보조금을 노리고 자산운용사가 버스 회사를 인수하는 사례가 많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많은 회사를 인수한 차파트너스는 미추홀교통과 인천제물포교통을 인수하면서 준공영제가 적용되지 않는 광역급행버스를 신동아교통에 매각한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버스를 민간 회사가 아닌 공공기관에서 운행하는 사례가 많다. 지급되는 보조금이 많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지만 버스는 공공성이 강하여 수익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버스 회사는 대부분 '고속','교통','버스','상운','여객','운수'로 이름이 끝난다. 경영진이 결정한 명칭 다음에 서술된 단어가 붙는 형태. 일본에서는 '운수'는 택배 회사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라 버스 회사가 사용하지 않고 대만에서는 '객운'이나 '공차'가 붙는다. 서술한 단어가 붙지 않는 회사도 많은데 다모아자동차, 대성티앤이, 서울교통네트웍, 서울승합, 한국brt, 신흥기업, 가야IBS, 공영급행, 인천스마트, 삼화PTS, 새천년미소, 금파산업, 금아여행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부산광역시는 태영버스, 대도운수, 삼신교통, 삼화PTS를 제외한 모든 회사가 '여객'을 사용하는 반면 광주광역시는 '여객'을 사용하는 회사가 없고 '운수'를 사용하는 회사가 많다. 대구광역시는 '교통'을 사용하는 회사가 많고 그 다음으로는 '버스'를 사용한다. 충청남도는 경익버스와 서령버스를 제외하면 '교통'이나 '여객'을 사용한다. 성남시내버스, 선진시내버스, 이천시내버스처럼 '시내버스'라는 명칭이 붙기도 하고 세원, 홍성, 명성, 신도양은 별도로 붙는 명칭이 없기도 하다. 과거의 버스 동호인은 회사의 명칭에 따라 친절도를 판단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여객'으로 끝난 회사들이 불친절이 심한 기억이 있다고 소회하였다.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회사가 가장 많은 광역자치단체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이다. 인천광역시는 시내버스가 부산광역시보다 적은데 회사가 많은 이유는 2003년에 마을버스가 모두 지선버스로 전환되고 2000년대 후반에 준공영제를 찬성하는 회사와 반대하는 회사가 표를 늘리려는 목적으로 분리한 늘어났기 때문이다. 만약 마을버스가 지선버스로 전환되지 않았다면 시내버스 회사의 수는 현재에 비해 큰 폭으로 적었을 것이다. 대구광역시의 경우 1990년대에는 회사가 30개가 넘었으나 시간에 흘러 다른 회사에 흡수되면서 줄어들었고 부산광역시도 1990년대 초반에는 회사가 50개가 넘었다. 사실 버스 동호인이 아니라면 버스 회사의 이름과 정보는 중요하지 않아서 회사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더 많다. 버스에 두고 내린 분실물을 찾으려고 자주 이용하는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에 전화를 거는 경우가 아니면 거의 모른다.
도로를 위주로 교통이 발달하던 과거와 달리 2004년에 KTX가 개통한 후 한국의 철도에도 투자가 본격화되고 고속철도와 도시철도가 급증하면서 버스는 하향세를 기록하는 중이다.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수용하는 터미널도 원주고속버스터미널과 성남종합버스터미널의 폐쇄를 시작으로 몰락이 가시화된 상태이다. 강원특별자치도와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대부분인 동서울터미널을 이용하는 회사도 본격적인 철도의 신설로 미래가 밝지 않은 상태이다. 2035년에는 철도가 경유하지 않는 지역을 담당하는 노선만 운행하고 나머지 버스는 도시철도의 역과 환승을 담당하는 마을버스와 시내버스로 역할이 축소될 전망이다.
2.1. 면허/등록 기준
구분 | 특별시 | 광역시 | 시 | 군(광역시의 군 제외) | |
면허 | 시내버스 | 40대 이상 | 40대 이상 | 30대 이상 | - |
농어촌버스 | - | - | - | 10대 이상 | |
시외버스 | - | - | 30대 이상 | 30대 이상 | |
등록 | 마을버스 | 10대 이상 | 10대 이상 | 5대 이상 | 5대 이상 |
면허제인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시외버스는 국토교통부가 발급하는 여객자동차영업면허가 있어야만 운수영업이 가능하다.
등록제인 전세버스, 마을버스는 면허가 없어도 관할 시, 도지사에 영업을 등록해 허가가 나면 운수영업이 가능하다.
3. 목록
3.1. 한국
3.1.1. 고속버스 회사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KOBUS) 회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금호고속 | 동양고속 | 중앙고속 | ||
속리산고속 | 삼화고속 | 천일고속 | 한일고속 | |
대원고속 | 경북고속 | |||
출처: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회원사 현황 페이지 |
3.1.2. 시외버스 회사
대한민국의 시외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고속 | 강원여객 | 금강고속 |
동해상사고속 | 영암고속 | 화성고속 | ||
경기도 | 경기고속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대원고속 | 선진고속 | ||
용남고속버스라인 | ||||
경상남도 | 거제현대고속 | 거창고속 | 경남고속 | |
경원여객 | 경전여객 | 고려여객 | ||
남흥여객 | 동아여객 | 동일고속 | ||
밀성여객 | 밀성여객 | 부산교통•대한여객•영화여객 | ||
신흥여객 | 천일여객 | 태영고속 | ||
푸른교통 | 함양지리산고속 | 해운대고속 | ||
경상북도 | 경북고속 | 금아여행 | 금아리무진 | |
아성고속 | 인터시티경산 | 진안고속 | ||
천마고속 | ||||
전라남도 | 금호고속 | 광우고속 | 광신고속 | |
동방고속 | 동광고속 | |||
전북특별자치도 | 대한고속 | 전북고속 | 전북여객 | |
전주고속 | 호남고속 | |||
충청남도 | 금남고속 | 삼흥고속 | 중부고속 | |
충남고속 | 한양고속 | |||
충청북도 | 대성티앤이 | 서울고속 | 새서울고속 | |
친선고속 | 충북리무진 |
3.1.3. 시내버스(좌석버스 포함), 농어촌버스 회사
3.1.3.1. 서울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colcolor=#fff> 강남구 | 도선여객 | 정평운수 | |
강동구 | 서울승합 | |||
강북구 | 동아운수 | 선일교통 | 삼양교통 | |
영신여객 | 한성운수 | |||
강서구 | 공항버스 | 김포교통 | 다모아자동차 | |
영인운수 | 정평운수 | |||
관악구 | 관악교통 | 보성운수 | 한남여객운수 | |
광진구 | 신흥운수 | |||
구로구 | 군포교통 | 보성운수 | 서울매일버스 | |
금천구 | 범일운수 | 보영운수 | 신인운수 | |
노원구 | 흥안운수 | 삼화상운 | 한성여객 | |
진아교통 | 태릉교통 | |||
도봉구 | 서울교통네트웍 | 아진교통 | ||
마포구 | 다모아자동차 | 유성운수 | ||
서대문구 | 서부운수 | 신촌교통 | 원버스 | |
현대교통 | ||||
서초구 | 대흥교통 | 삼성여객 | 우신운수 | |
우신버스 | ||||
성동구 | 태진운수 | 대원교통 | 대원여객 | |
성북구 | 대진여객 | 도원교통 | 상진운수 | |
송파구 | 남성버스 | 동성교통 | 대성운수 | |
서울버스 | 송파상운 | 진화운수 | ||
한국brt | 한서교통 | |||
양천구 | 관악교통 | 도원교통 | 세풍운수 | |
신길교통 | 양천운수 | 중부운수 | ||
은평구 | 보광교통 | 신수교통 | 선진운수 | |
원버스 | 유성운수 | 제일교통 | ||
종로구 | 동해운수 | |||
중랑구 | 경성여객 | 대원교통 | 메트로버스 | |
보광운수 | 북부운수 | |||
시내버스 업체가 없는 자치구의 버스 회사 목록 | ||||
동대문구 | 동작구 | 영등포구 | 용산구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흥안운수 계열사 | 다모아자동차 계열사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서울특별시 관외에 차고지를 둔 시내버스 회사 목록 |
3.1.3.2. 부산
- 영도구: 남부여객, 신한여객, 유한여객
- 부산진구: 동남여객[3]
- 동래구: 학성여객
- 남구: 시민여객, 신성여객, 창성여객
- 북구: 삼진여객, 태진여객
- 해운대구: 일신여객
- 사하구: 동진여객
- 금정구: 산성교통, 삼신교통, 삼화PTS, 세진여객, 화신여객
- 연제구: 국제여객, 동원여객, 삼성여객, 한창여객
- 수영구: 오성여객, 용화여객
- 사상구: 대도운수, 성원여객[4]
- 강서구: 금진여객, 영신여객, 태영버스
- 기장군: 대진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세익여객, 일광여객, 해동여객
3.1.3.3. 대구
- 동구: 경북교통, 관음교통, 광남자동차, 달구벌버스, 대덕교통, 신일여객
- 서구: 경상버스[5]
- 북구: 동명교통[6], 성보교통, 영진교통, 우주교통
- 수성구: 대일버스, 삼천리버스[7], 세진교통[8], 신진자동차, 우창여객[9], 한일운수[10]
- 달서구: 남도버스, 세운버스, 신흥버스
- 달성군: 경신교통, 대명교통,[11]세왕교통, 세한여객, 우진교통, 현대교통
3.1.3.4. 인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color=#fff> 강화군 | 강화교통 | 군내버스 | |
계양구 | 동화운수 | |||
남동구 | 부성여객 | 삼환운수 | 성원운수 | |
인천교통공사 | ||||
미추홀구 | 해성운수 | |||
부평구 | 성산여객 | 강인교통 | 강인여객 | |
미래교통 | 청라교통 | 대인교통 | ||
태양여객 | ||||
서구 | 선진여객 | 세운교통 | 공영급행 | |
신동아교통 | 마니교통 | 마니버스 | ||
삼성여객 | 수정관광 | 시영운수 | ||
신강교통 | 신화여객 | 원진운수 | ||
청룡교통 | ||||
연수구 | 더월드교통 | 도영운수 | 성민버스 | |
중구 | 미추홀교통 | 삼환교통 | 송도버스 | |
인천스마트 | 인천제물포교통 | 은혜교통 | ||
인강여객 | 신흥교통 | 영종운수 | ||
범례 | ||||
<rowcolor=#fff,#1f2023> 차파트너스자산운용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강인여객 계열사 | ||
동구와 옹진군운 관내에 주사무소(본사)를 둔 업체가 없어 제외. |
3.1.3.5. 광주
3.1.3.6. 대전
- 동구: 산호교통, 동인여객[15]
- 중구: 대전교통, 대전버스
- 서구: 2024년 현재 서구 소재의 버스 업체는 하나도 없다.[16]
- 유성구: 경익운수[17], 협진운수[C]
- 대덕구: 계룡버스[19], 금남교통, 국민버스[C], 대전운수[C], 대전승합, 동건운수, 한일버스
3.1.3.7. 울산
- 남구: 서광여객, 시민교통, 태화여객
- 동구: 학성버스[22]
- 북구: 대우여객[23], 호계민영버스, 우리버스, 율리우리버스
- 울주군: 울산·남성여객, 유진버스, 한성교통[24], 주식회사 세원[25], 웅촌여객
3.1.3.8.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 시내버스 | 세종교통 | 세종도시교통공사 | 세종제일운수 |
DRT | - |
3.1.3.9. 경기
경기도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김포시 |
남양주시 | 부천시 | 성남시 | 수원시 | 시흥시 | |
안산시 | 안성시 | 양평군 | 오산시 | 용인시 | |
이천시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
화성시 | 안양시·군포시·과천시·의왕시 | 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 |||
경기도의 모든 버스 회사 보기 경기도에 차고지를 둔 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보기 |
경기도에서는 유일하게 여주시만 관내 시내버스 회사가 없다.
3.1.3.10. 강원
- 춘천시: 춘천시민버스
- 화천군: 대진교통
- 철원군: 제일여객
- 양구군: 현대운수
- 인제군: 금강고속, 대한교통
- 홍천군: 금강고속, 대한교통, 현대교통
- 횡성군: 명성교통
- 원주시: 동신운수, 태창운수, 대도여객
- 고성군: 동해상사고속
- 속초시: 강원여객, 동해상사고속
- 양양군: 강원여객
- 강릉시: 동진버스, 동해상사고속
- 동해시: 강원여객, 동해상사고속
- 삼척시: 강원여객, 영암고속, 화성고속
- 태백시: 영암고속, 화성고속
- 평창군: 평창운수
- 정선군: 정선군청 직영(정선군 와와버스)
- 영월군: 영월교통
3.1.3.11. 충북
- 청주시: 동양교통, 동일운수, 우진교통, 청신운수, 청주교통[26], 한성운수
- 음성군: 음성교통
- 진천군: 진천여객
- 제천시: 제천교통, 제천운수
- 충주시: 삼화버스공사, 충주교통
- 단양군: 단양버스
- 괴산군, 증평군: 아성교통
- 보은군: 신흥운수
- 옥천군: 옥천버스
- 영동군: 동일버스
3.1.3.12. 충남
- 천안시: 새천안교통, 보성여객, 삼안여객
- 아산시: 아산여객, 온양교통
- 예산군: 예산교통
- 공주시: 공주교통
- 계룡시: 경익버스
- 논산시: 덕성여객
- 금산군: 한일교통
- 당진시: 당진여객
- 서산시: 서령버스
- 태안군: 태안여객
- 홍성군: 홍주여객
- 청양군: 청양교통
- 보령시: 대천여객
- 부여군: 부여여객
- 서천군: 서천여객
3.1.3.13. 전북
- 전주시: 시민여객, 성진여객, 전일여객, 제일여객, 호남고속
- 익산시: 광일여객, 신흥여객, 익산여객
- 군산시: 군산여객, 우성여객
- 김제시: 안전여객
- 정읍시: 대한고속
- 남원시: 남원여객
- 부안군: 부안스마일교통, 부안사랑버스, 위도공영버스
- 고창군: 대한고속
- 무주군: 무진장여객
- 진안군: 무진장여객
- 장수군: 무진장여객
- 임실군: 임순여객
- 순창군: 임순여객
3.1.3.14. 전남
- 목포시: 목포시청, 목포운수, 금호목포시내, 목포BTS
- 영광군: 영광교통
- 함평군: 함평교통, 함평군민교통
- 무안군: 무안교통[27]
- 신안군: 신안군 공영버스[28], 신안여객
- 담양군: 동광담양고속
- 장성군: 군민운수
- 나주시: 나주교통
- 영암군: 낭주교통, 영암교통
- 진도군: 옥주여객, 조도여객, 진도여객
- 해남군: 해남교통
- 완도군: 고금여객, 노화교통, 보길여객, 소안농협, 신지여객, 완도교통, 청산여객
- 강진군: 강진교통
- 장흥군: 장흥교통
- 화순군: 화순교통
- 보성군: 보성교통
- 고흥군: 고흥여객, 대흥여객, 동방고속
- 곡성군: 곡성교통
- 구례군: 구례여객
- 광양시: 광양교통
- 순천시: 동신교통, 순천교통
- 여수시: 동양교통, 오동운수, 여수여객, 광우고속
3.1.3.15. 경북
- 포항시: 포항버스
- 경주시: 새천년미소
- 영천시: 영천교통, 영천여객
- 경산시: 경산버스, 대화교통
- 울진군: 울진여객
- 영덕군: 영덕버스
- 울릉군: 무릉교통
- 봉화군: 봉화여객
- 영주시: 영주여객
- 예천군: 예천여객
- 문경시: 문경여객
- 안동시: 경안여객, 동춘여객, 안동버스
- 영양군: 영양동행버스
- 청송군: 청송버스
- 의성군: 의성여객
- 상주시: 상주여객
- 김천시: 김천버스,일선교통[29]
- 구미시: 구미버스, 일선교통
- 칠곡군: 경일교통, 구미버스[30]
- 성주군: 경일교통
- 고령군: 대가야여객
- 청도군: 청도버스
3.1.3.16. 경남
- 창원시: 창원버스, 동양교통, 대운교통, 대중교통, 마인버스, 마창여객, 신양여객, 신흥여객[31], 제일교통, 동아여객, 진해여객
- 김해시: 김해BUS, 가야IBS, 동부교통, 신어BTS, 태영고속
- 진주시: 부산교통, 부일교통,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 양산시: 푸른교통, 세원
- 밀양시: 밀양교통
- 사천시: 삼포교통, 거창고속, 부산교통
- 통영시: 통영교통, 신흥여객[32]
- 거제시: 삼화여객, 세일교통
- 함안군: 동일고속
- 합천군: 서흥여객, 경전고속[33]
- 창녕군: 영신버스
- 의령군: 경전여객, 의령버스
- 함양군: 함양지리산고속[34]
- 거창군: 서흥여객
- 산청군: 산청교통, 부산교통
- 하동군: 하동버스[35], 에이투어
- 남해군: 남흥여객
- 고성군: 고성버스, 거창고속
3.1.3.17. 제주
3.1.4. 마을버스 회사
3.1.4.1. 서울특별시
자세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업체 문서 참고하십시오.3.1.4.2.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의 마을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교동동북부마을버스 | 교동서부마을버스 | 덕적공영버스운영위원회 | 대청공영버스운영위원회 | 대산마을버스 |
백령면공영버스 | 신시모도농어촌공영버스 | 예성교통 | 영흥면공영버스 | 연지버스 | |
연평공영버스운영위원회 | 삼산마을버스 | 삼환여객 | 선재도공영버스 | 자월공영버스운영위원회 | |
장봉도농어촌공영버스 |
3.1.4.3. 경기도
- 광주시 : 경기고속
- 수원시 : 광교운수, 동방운수, 서부여객, 율전버스
- 용인시 : 경남여객, 구성운수, 동백운수, 마북운수, 상현운수, 수성교통, 승진여객, 연원운수, 용인교통, 죽전운수, 한비운수
- 성남시: 광성운수, 대일교통, 미금마을버스, 분당마을버스, 성남교통, 성남마을버스, 성남시민버스, 성남여객, 성남여객버스, 신도양, 영상교통, 은행마을버스, 진아교통
- 오산시 : 금암마을여객, 오산교통, 오산마을버스, 우남여객, 한신운수
- 화성시 : 금오운수, 매봉여객, 명승교통, 부광여객, 산척여객, 소망교통, 수성여객, 제부마을버스, 청진교통, 향남교통, 화성순환여객
- 평택시 : 가곡여객, 뉴진위여객, 송탄여객, 율포여객, 진위운수, 평택이화운수
- 양주시 : 신암교통, 양주교통, 은현교통, 진명여객, 현성교통
- 의정부시 : 가능교통, 금오교통, 녹양교통, 새말운수, 용현교통, 일상교통
- 남양주시 : 덕소교통, 와부마을버스, 태산운수, 태화상운, 풍양운수, 흥안마을버스
- 구리시 : 구일교통, 행복운수, 미래교통
- 하남시 : 대통운수, 삼성교통, 오륜운수, 은방울교통, 하남마을버스
- 파주시 : 기흥여객, 동원교통, 맑은교통, 명진교통, 문산여객, 신대운여객, 신일운수, 우리교통, 으뜸교통, 한일운수, 한전운수
- 고양시 : 고양도시관리공사, 관산운수, 남정여객, 대림교통, 대화교통, 동일운수, 보람운수, 보은교통, 부광운수, 성우교통, 신일산교통, 신일산운수, 여산교통, 원당교통, 자안운수, 주원교통, 한진교통, 화정교통, 홍성(주)
- 김포시 : 고촌교통, 금파산업, 마송운수, 방주교통, 선진운수, 월곶운수, 조강리마을버스, 통진교통, 하성마을버스, 한강교통
- 부천시 : 부흥운수, 서경운수, 원종여객, 은혜교통
- 시흥시 : 녹색교통, 시흥교통
- 의왕시 : 덕장운수, 백운여객, 의왕운수, 장안운수, 청계운수, 학의운수
- 광명시 : 자경마을버스, 진양교통
- 과천시 : 과천운수
- 안양시 : 대성운수, 동안운수, 만안교통, 신안운수, 편안운수, 평촌운수, 학운교통, 호계운수
- 군포시 : 군포운수, 사랑교통, 오성교통, 행복운수
- 양평군 : 단월면주민자치위원회, 서종면자율방범대, 청운면자율방범대
3.1.4.4. 강원
- 춘천시: 뉴코리아고속관광, 매일관광, 조교마을영농조합, 한일여행사
- 홍천군: 대한교통
- 강릉시: 동진버스, 동해상사고속[B]
- 동해시: 동해상사고속[B]
- 속초시: 속초시시설관리공단[38]
- 양구군: 심포리마을회, 동면의용소방대, 만대리마을회, 현리마을회
- 영월군: 영월군시설관리공단[39]
- 원주시: 원주시시설관리공단[40]
- 인제군: 용대향토기업, 인제군청[41]
- 평창군: 평창군청[42]
- 철원군: 철원군청
- 화천군: 화천누리
- 횡성군: 둔내농업회사법인, 횡성군청, 명성교통[B]
- 고성군: 동해상사고속[B]
- 양양군: 강원여객[B], 동진버스[B]
3.1.4.5. 대전
3.1.4.6. 충남
3.1.4.7. 충북
- 충주시: 엔씨비, 대일운수
3.1.4.8. 대구
3.1.4.9. 부산
※ 사무소 소재지 기준으로 배열함.- 강서구: 강서교통, 녹산버스, 당리교통, 대일교통, 대저여객, 대호교통
- 금정구: 대영버스, 산성버스, 성진버스, 용진교통, 중구버스
- 기장군: 기장교통, 차성교통, 부일여객
- 남구: 감만버스, 대용운수, 범양버스, 부민교통, 부영버스
- 동구: 삼안교통, 수정여객
- 동래구: (주)서호, 금정버스, 성신여객, 세성서비스, 신아교통, 지사버스, 창신교통
- 부산진구: 대도공영, 대명여객, 범우교통, 신지교통, 한국교통, 한창버스
- 북구: 삼진교통, 삼진운수, 태진운수
- 사상구: 동서교통, 동주교통, 부경버스, 성우교통[47], 신라교통, 태영교통
- 사하구: 구덕교통, 동아버스, 동원교통, 동진여객, 삼경여객, 우성버스, 하나교통, 화린교통
- 서구: 세성교통
- 수영구: 광안교통
- 연제구: 연산버스, 연제여객, 태성여객
- 영도구: 대일버스, 영도여객
- 해운대구: 삼강버스, 센텀여객
3.1.4.10. 울산
3.1.4.11. 경남
- 밀양시: 미리벌교통, 삼남교통, 삼랑진교통, 영남교통, 용활교통, 한성교통
- 양산시: 법서교통, 양산비에스, 웅상교통, 웅진교통, 지산마을버스
- 통영시: 욕지마을버스
- 창원시: 창원마을버스, 동창원마을버스, 진해마을버스
- 남해군: 금송운수·보광운수
- 산청군: 두류여객
- 의령군: 의령버스
- 거제시: 세일마을버스
3.1.4.12. 경북
3.1.4.13. 광주
3.1.4.14. 전남
3.1.4.15. 전북
3.1.4.16. 제주
3.1.5. 공항버스 회사
여기서는 한정면허 리무진버스 면허를 보유한 업체만 서술한다.3.1.6. 전세버스 회사
- 대원관광
- 대진고속관광
- 강서관광
- 대화관광
- 신백승여행사
- 삼흥고속관광
- 넷버스여행사
- 이삼화관광
- 동영관광
- 뉴스타고속관광
- 수정관광
- 복사골여행사
- 부산교통
- 신정항공여행
- 제로쿨투어
- 신흥여객
- 광주관광
- 거산관광
- 명진관광
- 뉴영종투어
- 여산관광
- 에스엠여행사
- 현대항공여행사
- 뉴부자관광
- 길벗여행사
- 선진고속관광
- 서천고속관광
- 금호고속관광
- 화이트투어
- 동양고속
- 칠성관광
- 중앙고속
- 신영고속관광
3.1.7. 기타
3.1.8. 대형 그룹
어떤 회사들은 적극적으로 사세를 확장함으로써 시외와 시내 전반에 걸쳐 여러 개의 버스회사를 거느린 경우가 있다. 또한 시외버스 회사의 계열사로 시내버스 회사를 거느리는 등 시외와 시내에 걸쳐 운영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중 버스를 통한 운송사업에 집중해서 여러 회사를 거느린 집단은 아래와 같다.- KD 운송그룹: 수도권, 충청도에서 총 15개의 버스회사(3개는 시외버스)를 운영중이다. 차량 보유 대수는 아시아 최고수준.
- K1 모빌리티 그룹: 자비스인베스트먼트[53]에서 운영하며 소신여객, 화성운수, 남양여객, 제부여객, 경진여객, 수원여객, 용남고속, 현대항공여행사 총 8개의 버스회사를 운영한다.
- 금아버스그룹: 2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1개의 전세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 선진그룹: 경기도, 인천, 전북에서 3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18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선진고속관광이라고 전세버스 사업도 한다.
- 태영운송그룹: 부산권역의 도시에서 5개의 시내버스 회사와 5개의 마을버스 회사를 운영중이다. 최근에는 창원고속을 인수하여 시외버스도 운행중에 있다.
- 경일교통: 대구권역의 도시에서 5개의 시내버스 회사를 운영한다.
- 부산교통: 3개의 시외버스 회사와 진주, 사천, 통영에서 시내버스 및 하동, 산청에서 농어촌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천일여객그룹: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을 운영중이며, 그밖에도 밀양교통이 계열사이다.
- 코리아와이드: 경상북도, 충청북도, 강원특별자치도에서 5개의 고속버스, 시외버스 회사와 4개의 시내버스 회사, 1개의 마을버스 회사, 1개의 전세버스 회사를 운영한다.
- 순천교통: 동신교통, 광양교통 등의 계열사가 있으며 순천-광양간 시내버스를 독점중이다. 그 밖에도 광주의 을로운수, 삼아교통, 현대교통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흥안운수: 서울에서 5개의 시내버스 회사, 남양주에 1개의 마을버스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 대전교통: 대전버스, 대전운수, 대전BRT를 계열사로 두고 있다.
- 삼이택시: 택시회사가 시내버스 회사 2곳이나 계열사로 두고 있다.
- 삼신교통: 삼신교통, 푸른교통, 웅진교통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친선고속: 친선고속, 도선여객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아성고속: 천마고속, 영덕버스, 울진여객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거제현대고속: 거제현대고속, 해운대고속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금남고속: 금남고속, 중부고속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대한상운: 이쪽도 택시회사가 시외버스 회사 서울고속, 새서울고속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 한양고속: 한양고속, 새천안교통, 아산여객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3.1.9. 없어진 회사
- 가온누리엠
- 감천여객 : 부산 60번 버스 등을 운행한 업체. 유한여객에 합병.
- 강남고속
- 건창여객: 2017년 신규법인 새천안교통에 차량 및 면허를 이관 후 폐업.
- 광명운수
- 경기교통
- 경북여객: 국신여객(현 코리아와이드 경북)에 합병
- 경일고속
- 경인여객
- 울산 경진여객
- 경향여객
- 그레이하운드: 1970년대 후반에 한국에서 운행, 중앙고속에 노선을 매각하고 한국에서 철수.
- 금강여객: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로 51번과 80번을 운행했었으며 1998년경 부도로 폐업하였다.
- 금강운수 : 옛 안산 마을버스 업체. 같은 이름의 서울 관악구 마을버스 업체, 비슷한 이름의 시외버스 업체와는 관련이 없다.
- 남부운수 : 1999년 부도로 범일운수에 노선을 모두 양도하고 폐업.
- 남산운수 : 옛 서울시내버스 업체. 1992년에 신진운수에 합병. 같은 이름의 서울 용산구 마을버스 업체와는 관련이 없다.
- 남해여객: 2007년에 남흥여객에 합병.
- 논현버스
- 대신여객
- 대경교통 : 부산 버스 53, 부산 버스 81, 부산 버스 201 등을 운행하던 부산시내버스 업체. 2004년 부도로 폐업.
- 대우운수
- 대영운수: 2003년 영월군에 의해 퇴출되었다.
- 대현교통
- 동래산성교통 : 부산 버스 203을 최초로 운행한 업체. 1981년 대규모 인명 사고를 일으킨 뒤 폐업.
- 동부여객 : 부산 기장군의 시외버스 업체. 기장 지역이 부산에 편입된 뒤 일부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했다. 1990년대 말 폐업.
- 부산 밀성여객 : 191번(하단 - 부산대) 노선 등을 운영했던 부산시내버스 업체. 1989년 폐업. 현존하는 같은 이름의 시외버스 업체와는 관련 없음.
- 백석운수: 2020년 매봉여객으로 인수되었다.
- 범진여객 : 서울 사당동 사당시장 인근에 본사와 차고지가 있었던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업체. 88번, 89번 등의 노선을 운행했으나, 1999년 11월 부도로 폐업. 본사 부지는 지산민영주차장이라는 이름의 주차장으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건물 신축 중. 사당새마을금고 본점이 들어설 예정.
- 부산공항여객
- 삼용버스
- 삼원여객: 1999년 서울시에 의해 강제로 퇴출되었다.
- 수원 삼성여객
- 상마운수 : 96번, 160번, 303번 등을 운행하던 서울시내버스 업체. 2003년 차량과 노선을 한남여객운수에 양도한 후 폐업.
- 서진운수: 2004년에 산호교통에 합병
- 서해고속
- 선진고속(1954년): 2010년에 경기고속에 합병.
- 성보버스
- 성남고속
- 세계버스
- 세종고속
- 세진버스 : 남양주의 옛 시내버스 업체. 세진엔지니어링 버스부문으로 시작한 뒤, 버스 부문 물적분할. 이후 선진그룹을 거쳐 KD 운송그룹이 인수. 현 경기운수.
- 속초여객
- 승준건운 : 서울 금천구에 있었던 마을버스 회사.
- 시민버스: 2010년 적자 누적으로 부도
- 신도여객: 2021년 9월에 대우여객에 모든 노선과 차량을 양도 후 폐업.
- 신장운수: 2001년 이 회사가 운행하던 573번이 KD 운송그룹 노선에 밀려 역사속으로 사라짐.
- 신원교통 : 1997년에 화곡교통에 합병.
- 신원여객
- 신진운수
- 신촌운수
- 신한일고속: 금아버스그룹에 인수되었다.
- 씨케이버스 : 부산 버스 연제3, 부산 버스 연제9 등을 운행하던 부산의 마을버스 업체.
- 아진고속
- 안성여객 : 49번(문화촌-망우리), 51번(문화촌-잠실) 등 서울시내버스를 운행하던 업체. 1978년 부도로 폐업.
- 안전여객 시외부: 전 노선을 전북고속에 매각함에 따라 폐업.
- 영남여객
- 영동교통: 1997년 부도로 폐업.
- 영신운수: 2014년에 부도로 폐업함에 따라 해당 노선도 광산버스에 이관.
- 용일여객
- 서울 유진운수: 과거 104번 운행업체. 2000년에 군포교통에 노선을 양도한 후 폐업. 1990년대 회사 부도로 압류된 차량이 방치되어 당시 뉴스에도 보도된 업체였다.
- 우성버스: 구 성동여객으로 1999년 폐업하였다.
- 인천 동서교통
- 인천여객
- 경북 제일여객 : 시외버스 회사였다. 국신여객(현 코리아와이드 경북)에 합병.
- 부산 제일여객 : 1번(하단-연산교차로) 노선을 운행하던 부산시내버스 업체. 1988년 부도로 폐업.
- 제물포버스
- 충일고속 시외부: 2000년 서울고속으로 매각.
- 코리아와이드 투어: 2021년 한려관광에 매각.
- 코오롱고속: 2005년에 금호고속에 합병.
- 태화상운 시외부: 2018년 선진고속으로 매각.
- 풍양운수: 2010년에 오케이버스에 합병.
- 한진고속: 2006년에 동양고속에 합병.
3.2. 외국
3.2.1. 아시아
3.2.1.1. 일본
일본의 시내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도쿄도 | 홋카이도 | 교토부 | 오사카부 | 아오모리현 |
이와테현 | 미야기현 | 아키타현 | 야마가타현 | 후쿠시마현 | |
이바라키현 | 도치기현 | 군마현 | 사이타마현 | 치바현 | |
가나가와현 | 니가타현 | 도야마현 | 이시카와현 | 후쿠이현 | |
야마나시현 | 나가노현 | 기후현 | 시즈오카현 | 아이치현 | |
미에현 | 시가현 | 효고현 | 나라현 | 와카야마현 | |
돗토리현 | 시마네현 | 오카야마현 | 히로시마현 | 야마구치현 | |
도쿠시마현 | 카가와현 | 에히메현 | 고치현 | 후쿠오카현 | |
사가현 | 나가사키현 | 구마모토현 | 오이타현 | 미야자키현 | |
가고시마현 | 오키나와현 |
3.2.1.2. 중국 홍콩
여러 업체와 개인 사업자가 난립하고 있는 미니버스와 MTR의 연계노선 서비스 등등을 빼면 표면적으로는 5개 회사가 있지만, 사실상 2개 업체가 전부이다.- 시티버스 인터내셔널(Citybus International, 載通國際)
- KMB(Kowloon Motor Bus, 九龍巴士) - 주로 구룡반도 지역에서 운행하며 홍콩 버스 회사 중 가장 규모가 크다. 1933년 창립되어 무려 86년이나 된 회사이다. 금색, 빨간색 도색 버스는 전부 이 회사 버스이다.
- LWB(Long Win Bus, 龍運巴士) - 주로 신계, 란터우 섬, 공항 지역에서 영업한다. 즉 신도시 위주로 운영하는 업체이다. 주황색/하얀색 도색을 적용하고 있다.
- NWS(新創建)
- 시티버스(Citybus, 城巴) - CMB(China Motor Bus, 中華汽車)의 퇴직자가 설립했으며 이후 CMB의 노선을 양수받아 성장한 업체이다. 2000년대에 NWS 그룹에 인수되었다. 사실상 CMB의 후신이며 홍콩 섬 위주로 영업한다.
- 신세계제일버스(New World First Bus, 新世界第一巴士) - CMB가 노선 운영권을 박탈당하면서 기존 노선들을 양수하기 위해 설립된 업체이다. 주로 신계 지역에서 영업하지만 CMB의 흔적인지 홍콩 섬에서도 영업한다.
- 신란터우버스(New Lantao Bus, 新大嶼山巴士) - 란터우 섬 지역에서 영업하며 란터우 자체가 미개발지가 많다 보니 규모도 5개 업체 중 가장 작고 존재감도 작다.
3.2.1.3.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 SBS Transit - 1971년 창립, 2000년대 택시회사 ComfortDelGro 그룹에 인수되었다. 싱가포르 버스의 대부분을 운영했으나 2000년대 이후 점유율이 낮아졌다. 싱가포르 MRT도 동시의 운영 중이다. SBS는 Singapore Bus Service의 약자로, 한국의 SBS와는 하등 관련이 없다.
- SMRT - 싱가포르 MRT를 운영하는 회사로 버스도 운영한다. 본래 별도의 회사였으나 SMRT가 인수했다.
- Tower Transit Singapore - 영국의 Tower Transit의 자회사이다. 차고지(노선) 입찰제를 통해 2016년 입성했다.
- Go-Ahead Singapore - 영국의 Go-Ahead의 자회사이다. 차고지(노선) 입찰제를 통해 2016년 입성했다.
3.2.2. 아메리카
3.2.2.1. 미국
- 장거리 버스
- 퍼스트 그룹
- 그레이하운드
- 볼트버스(저가)
- 스테이지코치 그룹
- 시내버스
3.2.2.2. 멕시코
- 장거리 버스(2등급 이상)
- ADO: 멕시코 동남부지역, 따마울리빠스주
- 에스트레야 데 오로: 게레로주, 라사로 카르데나스 (Lázaro Cárdenas)
- 에스트레야 블랑카 그룹: 멕시코 북부지역 전역, 게레로주와 오아하까주 해안지역 등 남부 일부지역. 멕시코 최대 운송회사이다.
- 플레차 아마리야 그룹: 멕시코 중서부지역. 프리메라 플루스도 이쪽에 속해있다.
- 중/단거리 시외버스(3등급)
- SUR: 멕시코만 일대, 오아하카주, 멕시코시티발 160번 국도 연선.
3.2.3. 유럽
유럽의 경우 시내버스/농어촌버스들은 공기업이 독점하거나(주로 남, 동유럽), 공기업이 주 운영 업체에 민영 업체들이 참여하거나(독일, 네덜란드, 체코, 폴란드, 헝가리 등등), 노선 계획 및 관리/감독은 시 당국에서 하되 실 운영은 민영 업체들이 계약을 맺고 운행하거나(북유럽,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등), 민관합작(제3섹터, 프랑스 등등)으로 운영된다. 완벽한 민영제로 굴리는 곳은 없고, 1990년대부터 공기업 아니면 대형 버스업체로 지형이 재편되어서 수천 대를 보유한 대형 버스업체들이 널리고 널렸다. 유럽연합에서는 교통 기업의 정부/지자체 직접 소유가 불가능하며 공기업들은 법인화해서 지분 100%를 당국이 가지고 있는 형태로 운영된다.- 유로라인(유럽 전 지역 각국 버스회사의 연합체)
- 어라이바(Arriva) - 유럽에서 가장 큰 버스 업체 중 하나이다.
- 아벨리오(Abellio) - NS(네덜란드 철도)의 자회사.
- 트랑스데브 - 본사는 프랑스에 있다.
3.2.3.1. 영국
- 퍼스트그룹(FirstGroup)
- 네셔널 익스프레스(National Express) - 시외/시내버스 겸업 업체. 시외버스가 주력이다. 하지만 서비스가 그다지 좋지는 않은 모양이다.
- 스테이지코치(Stagecouch) - 메가버스(Megabus)의 모회사가 바로 이 회사이다.
- HCT - 사회적 기업이다.
- 타워 트랜짓(Tower Transit)
- 고 어헤드(Go Ahead)
- 유노(Uno)
- 런던 버스 12개사
- 아벨리오
- 어라이바
- HCT
- RATP 자회사
- 런던 소버린(London Sovereign)
- 런던 유나이티드(London United)
- 퀄리티 라인(Quality Line)
- 메트로라인(Metroline) - 싱가포르 ComfortDelGro의 자회사.
- 스테이지카우치
- 설리번 버스(Sullivan Buses)
- 타워 트랜짓
- 고 어헤드
- 유노
3.2.3.2. 프랑스
3.2.3.3. 러시아
- 모스고르트란스(Мосгортранс) - 모스크바 시에서 소유한 공기업으로 지하철을 제외한 버스, 트롤리버스, 트램을 운영하고 있다. 모스크바 자체가 유럽의 최대 도시인 만큼 하루 수송량도 어마어마하다. 러시아 다른 도시들의 버스 도색들이 전부 천편일률적인 초록-하양 도색이거나 마구잡이 도색인데 비해 이 곳은 떡칠이긴 해도 자체 도색도 있고 비록 최근에는 유럽 러시아 도시는 저상버스만 뽑는 추세이긴 하지만 러시아에서 가장 먼저 전 차량 저상버스만 보유한 회사가 되는 등, 전 유럽 통틀어서도 가장 차급이 선진화되고 있는 회사이다.
- 모스트란사브토(Мострансавто) - 모스크바 주 지역에서 영업하는 회사로 러시아 연방정부에서 소유하고 있다. 이 곳도 자체 도색이 있다. 모스크바 주위 광역권과 그 주변 지역들에서만 영업하는데도 총 6497대의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대단히 규모가 큰 업체다. 단일 법인으로 5000대 이상이면 유럽 내에서도 손에 꼽는 거대 버스업체이다.[54] 물론 지역 독점에 공기업이라 가능한 일이긴 하지만 과연 러시아의 기상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3.2.3.4. 독일
- 도이체반 - 철도 회사지만 자회사들을 통해 독일 전역에서 시외/광역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BVG(Berliner Verkehrsbetriebe)
- 뮌헨교통공사(Münchner Verkehrsgesellschaft)
- 함부르크 호흐반, VHH(Verkehrsbetriebe Hamburg-Holstein) - 함부르크 시가 소유한 공기업이다. 호흐반은 지하철도 운영하며 전 유럽 최다 승차 노선인 5번을 운행하는 회사이다.
- 플릭스부스(FlixBus) - 2011년 설립되어 독특한 경영 방식으로 급성장해 이제는 유로라인 상표권까지 따낸 유럽 최대의 시외버스 회사이다. 직접 직원을 고용하거나 차량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게 아니라 지역의 관광/시외버스 회사들과 계약을 맺어서 해당 업체들이 플릭스부스가 제시한 노선대로 운행하는 방식이다. 즉 시외버스 브랜드라고 봐도 된다. 하지만 사실상 유럽 전역을 독과점하는 시외버스 회사(브랜드)라 이런저런 논란이 많다. 그리고 수하물 도난 사고도 심심찮게 보고되는 단점이 있으나 싼 가격에 여행객들이 많이 찾는다.
3.2.3.5. 스페인
- EMT(Empresa Municipal de Transportes de Madrid) - 마드리드의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도색 패턴이 파란색-회색으로 독일 베를린의 BVG 구도색과 유사한데, BVG 도색에서 노란색을 파란색으로만 바꿔주면 된다.
3.2.3.6. 네덜란드
- 커넥션(Connexxion) - 대주주는 트랑스데브, 네덜란드 전역에서 교통수단을 운영한다.
- GVB(Gemeentelijk Vervoerbedrijf) - 암스테르담 시 소유의 공기업이다. 암스테르담의 대중교통을 책임지고 있다.
3.2.3.7. 벨기에
- 더 레인(De Lijn) - 플란데런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으며, 플란데런 지역 전역에서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회사의 뜻은 심플하게 '노선' 이라는 뜻이다.
- TEC(Transport En Commun) - 이쪽은 반대로 왈롱 지방 정부가 소유하고 있으며, 왈롱 지역 전역에서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정식 법인명은 SRWT(Société Régionale Wallonne du Transport;왈롱 교통 회사)이다.
- STIB/MIVB(Société des Transports Intercommunaux de Bruxelles/Maatschappij voor het Intercommunaal Vervoer te Brussel) - STIB는 프랑스어 명칭, MVIB는 네덜란드어 명칭이다. 말 그대로 브뤼셀 수도권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브뤼셀 지역은 두 언어가 함께 쓰이기 때문에 두 언어를 동시에 표기하고, 비슷한 경우로는 SNCB/NMBS/NGBE이 있다.
3.2.3.8. 폴란드
- ZTM(Zarząd Transportu Miejskiego w Warszawie) - 바르샤바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3.2.3.9. 튀르키예
유럽 내에서도 가장 시외버스 운송이 활발한 국가라 거대 규모의 시외버스 업체들이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서비스 질도 유럽 내에서 가장 좋은 편이라고 한다.- İETT, 오토뷔스(Otobüs A.Ş.) - 모두 이스탄불 주 정부가 소유한 회사이다. 이외에도 여러 사기업들이 관리감독 하에 이스탄불 버스들을 운영하고 있다. İETT의 BRT(메트로부스, Metrobus)는 첨두 배차시격 10초에 하루에 800,000명 가까이 되는, 어지간한 지하철은 한 수 접을 수송량을 자랑하는데, 사실 메트로부스가 지나는 곳이 이동량은 어마어마한데 지하철은 안 깔린 상황이라 그렇다.
3.2.3.10. 스위스
- 포스트부스(PostBus Switzerland) - 공기업 스위스 포스트(스위스 우정)의 자회사이다. 스위스 전역에서 볼 수 있다.
- VBZ(Verkehrsbetriebe Zürich) 취리히 대중교통을 전담하는 공기업.
3.2.3.11. 오스트리아
- 포스트부스(Postbus) - 초기에 격오지 지역을 위해 우체국에서 운영하는 포스트부스 제도에서 출발했으며 현재는 이름과 달리 ÖBB의 계열사이다.
- 비너 리니엔(Wiener Linien) - 빈에서 대중교통을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3.2.3.12. 체코
- DPP(Dopravni podnik hl. m. Prahy) - 프라하 시가 소유하고 있는 공기업이며 버스 뿐만 아니라 모든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는 회사이다.
- 레기오젯(RegioJet) - 시외버스 회사이며 동시에 체코 최대 사철인 회사다. Studio Agency에서 소유 중이다. 싼 요금, 서비스로 ČD(체코 철도공사, 공기업)과 경쟁하고 있다.
- 레오 익스프레스(LEO Express) - 역시 레기오젯처럼 시외버스 회사이며 사철 회사이다.
3.2.3.13. 헝가리
- BKK(Budapesti Közlekedési Központ) - 부다페스트 시가 소유하고 있으며 역시 이곳도 모든 대중교통을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Arriva같은 회사가 참여해서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 볼란부스(Volánbusz) - 헝가리 최대의 민영 버스업체. 시외/시내버스 겸업 업체이다.
3.2.4. 오세아니아
3.2.4.1. 호주
- 그레이하운드 호주 - 미국 그레이하운드와는 관련이 없다.
3.2.5. 다국적 기업
- 모빌리티 ADO - 멕시코, 과테말라, 스페인
4. 관련 문서
[1] 가온누리엠은 2024년 10월 14일부로 폐업하였다.[2] 대표적인 사례가 서울 제일여객, 계열사인 신성교통의 경영난으로 인해 회사 자본금이 누출되고 승무사원들의 4대보험 장기연체가 지속중이라고 한다.(…)[3] 실제 본사는 남구 창성여객 본사와 같은 위치이지만, 이곳을 기점으로 이용하는 동남여객 노선은 없고 138번, 138-1번이 회차지로 이용하긴 하지만 그냥 가스 충전을 위한 종점이자 회차지일 뿐이다. 실제 본사 역할을 하고 있는 곳은 부산진구 개금동에 위치한 개금영업소이다.[4] 면허지, 실제 본사는 김해시 삼계동이다.[5] 면허지는 이현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시 자인면 계림리에 있다.[6] 면허지는 읍내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에 있다.[7] 면허지는 사월동으로 되어 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 압량면 부적리에 있다.[8] 면허지는 만촌2동 대일버스 차고지로 되어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 대평동에 있다.[9] 면허지는 사월동으로 되어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 대평동에 있다.[10] 면허는 신매동으로 되어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경산 평산동에 있다.[11] 면허지는 화원읍 구라리로 되어있지만 실제 차고지는 세운버스가 있는 대천동에 있다.[12] 첨단영업소가 본사이고 장등영업소가 제2차고지이다. 둘 다 북구에 위치한다.[13] 현대교통과 차고지를 같이 쓴다.[14] 삼아교통과 차고지를 같이 쓴다.[15] 각 낭월공영차고지[16] 금남교통은 정림동, 대전승합(구 충진교통)은 가수원동에 있었지만 현재는 각각 대덕구 오정동과 신대동으로 옮긴 상태다. 고로 서구 소재의 업체는 현재 하나도 없다.[17] 원내공영차고지. 중구 산성동에서 옮겼다.[C] 오정동에서 옮겼다.[19] 중구 산성동에 있었으나 유성구 대정동, 대덕구 대화동을 거쳐 상서동으로 옮겼다.[C] [C] [22] 꽃바위공영차고지.[23] 농소공영차고지.[24] 이상 율리공영차고지[25] 언양시외버스터미널[26] 코리아와이드가 대주주이다[27] 태원여객, 유진운수의 계열사이다.[28] 업체는 아니지만 편의상 서술한다. 업체가 아닌 이유는 신안군 교통지원과가 직영으로 관리하기 때문.[29] 일부 면허가 김천시 면허다.[30] 일부 면허가 칠곡군 면허다.[31] 창원시내버스 사업부[32] 통영시내버스 사업부[33] 농어촌버스 사업부[34] 농어촌버스 사업부[35] 영화여객에서 분사하였다.[B] [B] [38] 속초시 마을버스를 운행한다.[39] 영월군 행복버스를 운행한다.[40] 원주시 누리버스를 운행한다.[41] 하늘내린버스 직영[42] 우리동네 평화마을버스 직영[B] [B] [B] [B] [47] 해당 문서 1번 문단.[B] [B] [B] [51] 전주시 마을버스를 운행한다.[B] [53] 사모 펀드 회사이다.[54] 어라이바, 트랑스데브 등등 전 유럽이 영업 대상인 회사는 지역마다, 국가마다 법인이 쪼개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