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1:37:37

괴력녀



1. 개요2. 특징3. 현실에서4. 캐릭터 유형5. 캐릭터 목록
5.1. ㄱ ~ ㄷ5.2. ㄹ ~ ㅅ5.3. ㅇ ~ ㅊ5.4. ㅋ ~ ㅎ5.5. 숫자, 알파벳
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서브컬쳐내의 창작물에서 자주 등장하는 캐릭터 유형 중 하나로, 여성 캐릭터가 비정상적으로 강한 힘과 내구력을 지니고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2. 특징

파일:a3402f71af68e6a8.jpg

괴력녀는 고전 문학에서부터 현대의 슈퍼 히어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들은 비정상적일 정도의 힘과 내구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내장형 근육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아 반전 매력을 선사한다.

이들은 단순히 강함뿐만 아니라 다양한 캐릭터 유형과 결합되면서 팬들의 관심을 끈다. 전투광 캐릭터나 대식가 캐릭터, 심지어 성격이 천연덕스럽거나 자신의 강함을 의식하지 않는 순수한 캐릭터로도 표현된다.

일본에서는 주로 怪力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며, 서양권의 위키 TV Tropes에서는 Cute Bruiser 또는 Amazonian Beauty라고 부른다. 보통 근육미녀가 괴력녀 속성을 가진 경우를 Amazonian Beauty, 내장형 근육 캐릭터가 괴력녀 속성을 가진 경우를 Cute Bruiser라고 부른다.

괴력녀의 힘은 '타격력'과 '들기 힘'으로 나눌 수 있는데, 타격력은 주로 적을 단번에 제압하는 힘을 의미하고, 들기 힘은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능력을 뜻한다. 이 두 가지 힘을 통해 괴력녀는 다양한 상황에서 강력함을 드러내며, 때로는 정복감을 주는 성인물에서도 인기를 끈다.

3. 현실에서

대부분의 여성은 남성에 비해 체격과 근력이 적어 물리적인 힘이 약한 경향이 있다. 생물학적으로도 여성이 남성보다 근력이 강해지기는 어렵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2013년에 러시아의 13세 소녀 마리아나 나우모바(Maryana Naumova)가 2013 Arnold Classic에서 약 108kg의 바벨을 벤치프레스한 사례가 있다. 같은 해, 러시아의 줄리아 빈스(Julia Vins)가 청순가련한 외모와 상반되는 근육질의 상체로 주목받아 '바비헐크소녀'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처럼 현실에서 근육이 전혀 없는 몸으로 괴력을 발휘하는 여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남성도 근육 없이 힘이 센 사람은 없다.

뉴스에서는 자식이 위험에 처했을 때 어머니가 히스테리컬 스트렝스(hysterical strength)를 발휘해 자식을 구하는 사례가 종종 보도되기도 한다. 이는 극도의 스트레스나 긴급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평소보다 높은 힘을 발휘하는 현상으로, 과학적으로는 아드레날린 분비 등으로 설명된다.

4. 캐릭터 유형

5. 캐릭터 목록

5.1. ㄱ ~ ㄷ

5.2. ㄹ ~ ㅅ

5.3. ㅇ ~ ㅊ

5.4. ㅋ ~ ㅎ

5.5. 숫자, 알파벳

6. 관련 문서


[1] 별호도 아예 열골마(裂骨魔) (뜻은 뼈 찢는 마귀)다.